• 제목/요약/키워드: ventral fin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2초

New Record of Gadella jordani and Redescription of Physiculus japonicus (Pisces: Moridae) in Korea

  • Jang, Seo Ha;Kim, Jin-Koo;Park, Jeong-Ho;Song, Young S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2권1호
    • /
    • pp.28-37
    • /
    • 2016
  • We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wo morids, Gadella jordani and Physiculus japonicus, belonging to the order Gadiformes, based on Korea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ocean. Two specimens of Gadella jordani was first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the East Sea, Korea, in 2013-2014.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8, 67-69 dorsal fin rays, 66-71 anal fin rays, 5+13 gill rakers, no barbel on the lower jaw, no vomerine teeth, and a ventral luminous organ closer to the anus than to the interventral line. We described it as the first record to the Korean fish fauna, and proposed the new Korean name "Min-su-yeom-dae-gu-sok" for the genus Gadella, and "Min-su-yeom-dae-gu" for the species G. jordani. Physiculus japonicus was first reported by Koh and Moon in the year 1999 based on a single specimen in Korea. However, no study has been attempted to describ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Korea since then. In 2013-2014, three specimens of P. japonicus was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and the East Sea, Korea, and we redescribe P. japonicus in detail.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9-10, 63-64 dorsal fin rays, 70-73 anal fin rays, 3+7-8 gill rakers, a short barbel on the lower jaw, and a ventral luminous organ equidistant between the interventral line and the anus.

앞동갈베도라치 Omobranchus elegans (STEINDACHNER)의 자치어기의 형태 (ON THE MORPHOLOGY OF POST-LARVAL AND YOUNG STAGES OF OMOBRANCHUS ELEGANS(STEINDACHNER))

  • 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7-303
    • /
    • 1979
  • 1978년 6월과 1979년 5월에 경상남도남해군산동면 지족리와 설천면사이의 수도에 설치된 죽방염에서 채집된 125개체의 앞동갈베도라치의 자치어를 재료로하여 초기생활사에 따른 형태변화과정중 안상부의 형태, 기조수의 변화, 색소포의 발달과정 및 전새개골극의 발달상태등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1. 두부외곽은 두정부와 눈의 윗부분이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으나 성장함에 따라 정중선 중앙부위가 팽출되어 둥글게 된다. 2. 등지느러미는 전장 5.55 mm일때 18개 연조이던 것이 성장함에 따라 전장 10.7 mm일 때 정수에 달한다. 뒷지느러미는 전장 5.5mm일 때 15개 연조이던 것이 성장함에 따라 정수에 달한다. 배지느러미는 매우 작은 돌기로 분화하여 전장 12.9 mm일때 2연조로 완성된다. 꼬리지느러미는 하엽로부터 분화하기 시작하여 전장 6. 15mm일때 $1\~2$개의 마디가 생기며, 성장함에 따라 각 연조마다 5개 이상의 마디로 분화된다. 3. 색소포의 발달은 초기에 두정부에 2계의 점으로 시작하여 아가미뚜껑과 등쪽으로 확산분포해 가며, 전장 18.0mm일때에 반문은 거의 완성되어 성어의 형태와 닮아 가며, 꼬리지느러미 줄기의 기저면에 점상으로 분포하는 흑색포는 다른 치어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다. 4. 전새개골극은 성장함에 따라 길이가 길어져 가슴지느러미기저에 까지 달하지만 전장 15.0mm 이후 부터는 점점 짧아져서 아가미뚜껑 후연까지 이른다.

  • PDF

한국산 말뚝망둥어속(屬)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및 1신종 (A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Periophthalmus (Pisces : Gobiidae) from Korea with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 이용주;최윤;유봉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0-127
    • /
    • 1995
  • 1983년 9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채집된 말뚝망둥어속(屬) 어류의 분류학적인 위치와 특징을 재검토한 결과 말뚝망등어 Periophthalmus modestus와 큰볏말뚝망둥어 (국명신칭) P. magnuspinnatus n. sp.의 두 종(種)으로 분류되었으며, 지금까지 국내에 출현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P. cantonensis는 P. modestus의 동종이명으로 확인되었다.

  • PDF

한국산 투라치과(Lampridiformes: Trachipter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achipteridae (Lampridiformes) from Korea)

  • 지환성;윤상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우리나라 동해, 남해 및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투라치, Trachipterus ishikawae (Jordan and Snyder, 1901) 7개체, 홍투라치, Zu cristatus (Bonelli, 1820) 4개체 및 1미기록종인 Desmodema polystictum (Ogilby, 1897) 2개체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한국산 투라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종인 D. polystictum는 배쪽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체측에 어두운 수십개의 둥근 반문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여, 새로운 한국명으로 "점투라치"를 제안한다. 홍투라치는 제1~제6 등지느러미 연조 및 배지느러미 연조가 길게 신장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투라치는 배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돌기가 나 있으며, 체형은 가늘고 긴 일직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투라치(178~195개), 홍투라치(137~148개), 점투라치(125~13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는 투라치(80~83개), 점투라치(72~74개), 홍투라치(64~68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A New Record of Juvenile Chromis mirationis (Perciformes: Pomacentridae) from Korea, Revealed by Molecular Analysis, with a Comparison to Juvenile Chromis notata

  • Song, Young Sun;Kwun, Hyuck Joon;Kim, Jin-Koo;Senou, Hirosh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63-267
    • /
    • 2014
  • A single juvenile pomacentrid specimen (5.9 mm standard length)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Strait in October 2010. The specimen is characterized by punctate-stellate melanophores scattered on the operculum and dorso-ventral region in front of the caudal peduncle, the lack of melanophores on the posterior end of the anal fin base, the presence of 14 spines and 14 soft rays on the dorsal fin, and the presence of 2 spines and 12 soft rays on the anal fin. A molecular analysis based on mitochondrial DNA 16S rRNA sequences showed that this specimen is closely related to adult Chromis mirationis (d = 0.002), but that it differs from Chromis notata (d = 0.017). Juvenile C. mirationis differ from juvenile C. notata in having no melanophores on the posterior end of the anal fin base.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tti-ja-ri-dom" for C. mirationis.

A New Record of a Spot-fin Porcupinefish, Diodon hystrix (Diodontidae, Pisces) off Jeju Island, Korea

  • Kang, Jung-Ha;Kim, Yi-Kyung;Park, Jung-Youn;Yu, Hyo Jae;Ryu, Jung-Hwa;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81-384
    • /
    • 2014
  • A single specimen belonging to the family Diodontidae was collected from Seo-gwi-po, Jeju Island, Korea in July 2013 and was identified as Diodon hystrix Linnaeus, 1758, a species new to the Korean fish fauna. The species is characterized by 14 dorsal fin rays, 14 anal fin rays, spines on the dorsal and ventral surfaces of the caudal peduncle, and many small black spots on all fins except the anal fin. The most similar species, Diodon holocanthus, is well distinguished from D. hystrix by the absence of black spots on the dorsal and caudal fins, and the lack of a spine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caudal peduncle. Accordingly, we describe herein the morphological traits of D. hystrix and suggest its new Korean name, "Jan-jeom-bak-i-ga-si-bok".

Semiautomatic 3D Virtual Fish Modeling based on 2D Texture

  • Nakajima, Masayuki;Hagiwara, Hisaya;Kong, Wai-Ming;Takahashi, Hirok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1996년도 Proceedings International Workshop on New Video Media Technology
    • /
    • pp.18-21
    • /
    • 1996
  • In the field of Virtual Reality,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Especially, there are many studies on generating virtual creatures on computer syst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o automatically generate 3D fish models from 2D images which are printed in illustrated books, pictures or handwritings. At first, 2D fish images are captured by means of image scanner. Next, the fish image is separated from background and segmented to several parts such as body, anal fin, dorsal fin, ectoral fin and ventral fin using the proposed method“Active Balloon model”. After that, users choose front view model and top view model among six samples, respectively. 3D model is automatically generated from separated body, fins and the above two view models. The number of patches is decreased without any influence on the accuracy of the generated 3D model to reduce the time cost when texture mapping is applied. Finally, we can get any kinds of 3D fish models.

  • PDF

제주도에서 채집된 촉수과 어류 1미기록종, Upeneus tragula (First Record of the Freckled Goatfish, Upeneus tragula (Mullidae, Perciformes) from Korea)

  • 김병엽;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44-248
    • /
    • 2013
  • 촉수과에 속하는 Upeneus tragula 2개체가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한국 미기록종으로 기재한다. 이종은 가슴지느러미 연조 수 13개, 측선 비늘 수 29개, 새파수 19개를 갖고 있다. 그리고, 첫 번째와 두 번째 등지느러미에 다소 불규칙한 무늬가 있으며 몸의 측면에는 작은 크기의 점들이 비교적 넓게 분포하였고, 특히 꼬리지느러미의 상엽과 하엽에 여러 개의 짙은 줄무늬가 뚜렷하게 존재하여 우리나라에 현재 보고된 Upeneus속 3종과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된다. 따라서, 이 종의 새로운 국명은 "검은줄촉수"로 제안한다.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rphometric Changes in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in the Early Period of Growth

  • Lim, Sang Gu;Han, Hyoung Kyun;Kang, Jung Ha;Park, Hye Jung;Oh, Ji Su;Lim, Ji Su;Goo, In Bon;Park, In-Seo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3호
    • /
    • pp.257-268
    • /
    • 2013
  • Morphometric changes in the Ussurian bullhead, Leiocassis ussuriensis, and the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growth. Yolk length, yolk height, and yolk volume in the two species decreased within 9 days post-hatching (DPH) (p<0.05). The body lengths and body heights of both species increased gradually to 150 and 130 DPH, respectively (p<0.05).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the anteriormost extension of the head ${\times}$ the verticality position of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rays, and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rimary dorsal fin ${\times}$ the anterior insertion of the pectoral fin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However, the relative sizes of the head region, pectoral fin, ventral fin, and anal fin were greater in the Ussurian bullhead than in the Korean bullhead (p<0.05), and relative body depth and the size of the outer-mandible barbel were greater in the Korean bullhead than in the Ussurian bullhead (p<0.05). The growth curves of the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of both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흰점꺼끌복,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58)의 형태 및 골격 (Description of Morphology and Osteology of the Whitespotted Puffer,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58))

  • 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2-298
    • /
    • 2007
  • 분류학적으로 참복과에 속하는 흰점꺼끌복, Arothron hispidus (Linnaeus, 1785)은 2003년 7월에 전라남도 고흥군 녹동연안에서 저층 트롤로 3마리(체장 62.7~71.0 mm)를 채집하였다. 체색은 전체적으로 검회색이지만 색의 변화가 다양하며, 측면 관찰 시 가슴지느러미를 기준으로 위쪽에 하얀 반점이 분포하며, 가슴지느러미 아래쪽으로 반원의 흰색 띠가 배를 덮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등지느러미 줄기수는 11~12개이며, 뒷지느러미 줄기수는 10~11개, 가슴지느러미 줄기수는 17개, 꼬리지느러미 줄기수는 5+6=11개였다. 두개골은 총 13개의 골편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같은 속 꺼끌복에 비하여 사골 길이, 액골의 크기에 차이를 보였다. 악골은 위턱에 전상악골과 주상악골, 아래턱에 치골, 관절골 및 각골로 구성되어 있고, 꺼끌복에 비해 각골과 관절골의 크기는 크게 나타났다. 현수골은 구개부가 7개, 새개부는 4개의 골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견대부의 상쇄골과 쇄골은 T-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척추골은 크게 복추골과 미추골로 나누며, 그 수는 8+10=18개였고, 등지느러미를 지지하는 담기골식은 $7{\ast}1231$으로 꺼끌복의 7*1232와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