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om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독사의 생태학적 특징 및 독성, 교상빈도에 관한 조사, 연구 (Ecological Study on Poisonous Snake and Investigation of the Venom Characteristics, Snakebiting Frequenty in Korea)

  • 심재한;손영종;이상섭;박경석;오희복;박영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8-77
    • /
    • 1998
  • 한국에 서식하는 독사는 살모사과(Viperidae)의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쇠살모사(Agkistrodon ussuriensi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등, 총 3종이고, 뱀과(Cloubridae)의 유혈목이(Rhabdothis tigrinus tigrinus) 등, 총 4종(16종 중에서 4종 : 25%)으로서, 이들 4종의 교미시기는 7,8월이며, 살모사류 3종은 난태생 그리고 유혈목이는 난생으로 번식한다. 또한 활동기는 4월부터 9월까지며, 이 기간중 적절한 온도는 20$\circ $C~29$\circ $C이다. 외부온도가 10$\circ $C 이하로 내려가는 10월말부터 11월 중순에 땅속, 바위밑 틈, 돌담 그리고 논둑 등지로 숨어 동면에 들어간다. 4종의 독사가 보유하고 있는 독액에는 혈액성독소(Hematoxin), 세포성독소(Cytolysin), 신경성독소(Neurotoxin) 그리고 심장독소(Cardiotoxin)가 있으며, 이 독소가 동물의 몸에 주입되었을 때 전신증상으로는 현기증(25.7%), 구토(23.1%, 발열(22%), 시각장애(18%), 두통(17.7%) 그리고 호흡곤란(17.6), 국소증상으로는 환부변색(54.2%), 출혈(20.2%), 수포형성(10.7%, 피부궤양(10.8%) 등이 나타난다. 전남대, 조선대, 그리고 충남대를 대상으로 1972년부터 1992년까지 집계된 독사교상 환자는 년 평균 25.6명이나 실지로 우리나라 전체 인원은 년 평균 2,700여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월별 독사교상 환자수의 비교에서 독사의 활동이 가장 완성한 8월에 약 25%로 가장 많았고, 사망자수는 1.8%(26/1,430)였다. 성별 비교에서 남자가 64.5%로 여성에 비하여 2배였고, 연령별로는 50대가 19%로 가장 많이 교상을 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사교상 장소는 밭(48.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산(26%)과 논(10.4%)이었다. 가장 많이 교상당한 부위는 손(47.8%)과 발(39.5%)이었으며, 교상독사는 쇠살모사(27.1%), 살모사(22.6%) 그리고 까치살모사(9.6%) 순이었다. 미동정 교상독사는 40.7%였으며, 수입항독소에 의하여 치료된 환자수는 75.9%(1,068/1,407)였다.

  • PDF

봉독의 세포자멸사를 통한 LNCaP 세포증식 억제 (Bee Venom Inhibits LNCaP Cell Proliferation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이홍선;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59-74
    • /
    • 2008
  • 목적 : 이 연구는 봉약침의 봉독과 그 주요성분인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억제와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전립선 암세포주인 LNCaP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LNCaP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의 관찰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자멸사 조절단백질의 변동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 세포자멸사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를 시행하였으며, LNCaP에서 봉독이나 멜리틴과 $NF-{\kappa}B$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transient transfection assay를 시행 시 세포생존율과 $NF-{\kappa}B$의 활성 변동을 측정하였다. 결과 : LNCaP 세포에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전립선암세포의 성장, 세포자멸사의 유발,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NF-{\kappa}B$의 활성, $NF-{\kappa}B$의 p50 치환 후 $NF-{\kappa}B$의 활성과 LNCaP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가 유도되어 세포성장이 억제되었고, 세포자멸사 관련 단백질 중 분리된 PARP, caspase-9, Bax는 유의한 증가를, Bcl-2, p-Akt, MMP 13, XIAP, cXIAP는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LNCaP 세포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3. LNCaP 세포에서 $NF-{\kappa}B$ p50를 치환하여 작용기를 없애고 봉독이나 멜리틴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NF-{\kappa}B$의 활성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봉독이나 멜리틴이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으로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그 기전에서 봉독이나 멜리틴은 기존연구와 달리 $NF-{\kappa}B$ p50의 작용기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심화 연구를 요한다.

  • PDF

PC12 세포에서 봉독약침액의 Acetylcholinesterase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Bee Venom Herbal Acupuncture Solution on Acetylcholinesterase in PC 12 Cells)

  • 최양식;김종인;최도영;이재동;고형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9
    • /
    • 2008
  • 목적 : Acetylcholine은 콜린과 아세트산의 에스테르로 인체에서 중요한 신경전달물질로 Acetylcholine-sterase(AChE)라는 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Alzheimer's disease, ataxia, myasthenia gravis, Parkinson' disease 등의 질환에 AChE 억제제가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한약재의 AChE 억제 효능에 관한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 봉독은 관절염, 통풍 등의 질환에 응용되어 왔으며 진통효과 및 항염증작용에 대한 임상적, 실험적 연구가 많이 보고되어 왔으나 AChE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봉독약침액과 봉독의 과민반응 유발항원 중 하나인 Phospholipase A2 억제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백피를 혼합한 상백피봉독약침액의 AChE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 PC12 세포주에서 추출한 AChE와 0.1, 0.01 and $0.001mg/m{\ell}$ 농도의 봉독약침액 및 상백피봉독약침액을 60분간 반응시켰다. 효소면역측정법(ELISA)을 이용하여 흡광도를 10분, 30분, 60분 경과시 각각 측정한 후 효소활성저해도(%)를 계산하였다. 효소활성저해도(%) = [(Cc - Ce)/Cc] ${\times}$ 100 Cc : 대조군 흡광도, Ce : 실험군 흡광도 결과 : 1. 봉독약침액은 0.1, 0.01, $0.001m{\ell}/mg$의 농도에서 30분 경과 후부터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2. 상백피봉독약침액은 $0.1m{\ell}/mg$ 농도에서 10분 경과 후부터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0.01m{\ell}/mg$ 농도에서 30분경과 시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 봉독약침액과 상백피봉독약침액의 AChE 억제효과 비교에서 봉독약침액의 억제효과가 상백피봉독약침액 보다 뛰어났다. 요약 : 봉독약침액과 상백피봉독약침액의 AChE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두 군 모두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알츠하이머병이나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봉독의 임상적 활용 및 보다 넓은 범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

꿀벌 Apis mellifera에서 유래 한 특성화 되지 않은 항균성 펩티드의 동정 (Identification of Uncharacterized Anti-microbial Peptides Derived from the European Honeybee)

  • 박희근;김동원;이만영;최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4-69
    • /
    • 2020
  • 꿀벌(Apis mellifera)에는 많은 항균성 펩티드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많은 종류의 펩티드를 기능을 알려지지 않았다. 따라서, 알려지지 않은 기능성 펩티드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새로운 항균성 펩티드(AMP)를 분석 하였다. 우리는 Apis mellifera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Illumina HiSeq 2500 차세대 시퀀싱(NGS) 기술을 사용하여 15,314 개의 펩티드 서열을 생성하여 새로운 AMP를 선발 하였다. AMP로서 기능을 가지는 AMP를 선발 하기 위해 AMP 서열의 특성 과 특징을 분석을 기초로 하여 알려지지 않은 펩티드 및 알려진 44 개의 펩티드가 확인 되었다. 그 중에서도 AMP5라는 특성화 되지 않은 펩티드를 선발 하였다. AMP5는 표피, 지방체, 독낭에서 발현된다. 항균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KACC 10005 및 Bacillus thuringiensis KACC 10168에 대한 항균 활성을 합성한 AMP5 처리하여 시험 하였다. AMP5는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MIC50 = 22.04±0.66 μM). 일벌에 Escherichia coli을 주사했을 때 AMP5는 체내에서 항균성 펩티드로 발현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파킨슨병의 침구치료 동향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 이은;강기완;김락형;강세영;선승호;한창호;장인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23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possibility of acupuncture or moxibustion for th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by reviewing literature about its effectiveness. Methods : In this review, PubMed, SCOPUS, Science Direct and CINAHL of EBSCOhost were used to search medical journals, using keywords "Parkinson's disease and acupuncture" and "Parkinson's disease and moxibustion". The search rang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about Parkinson's disease combined with another disease and other treatments with acupuncture or moxibustion.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nRCT), case study, animal experiment, human experiment, review, survey, essay, letter, and protocol for review were excluded. Results : From 311 studies, 111 were selected during the title and the screening. Finally, 16 RCTs (15 for acupuncture research and one for moxibustion)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fter scanning and match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number of patients varied between 5 and 88. A total of 12 studies using electroacupuncture (EA) were classified into acupuncture studies. The body acupuncture studies numbered 4, scalp acupuncture 4, body and scarp acupuncture mixed studies 4, and bee venom, ear and abdomen acupuncture were each one study. In evaluation methods, total effective rate method was used in 9 studies, the Unified Parkinson's Disease Rating Scale (UPDRS) was used in 8, and the Webster score in 2. In addition, the Berg balance scale (BBS), 30 m walking time, steps to walk 30 m, PD motor function score, and Motor Performance Series by Schoppe (MLS) method were used for evaluation. In 15 of the 16 studies, the verum acu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9 studies using total effective rate method, the effective rate was reported as 80.0-97.3% in verum acupuncture groups and 52.6-86.4% in controls. Conclusions : Acupuncture may be a plausible alternative method to care for the long term symptoms and treat movement impairment of Parkinson's disease. However, to confirm this result, high quality studies including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trials are warranted.

멜리틴 항균펩타이드를 생산하는 형질전환누에 (Production of the melittin antimicrobial peptide in transgenic silkworm)

  • 김성완;구태원;김성렬;박승원;최광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55-6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누에체액에서 melittin 항균펩타이드를 생산하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누에유래의 액틴3 프로모터를 이용하여 melittin 항균펩타이드를 발현시켰다. 누에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해서는 3xP3 promoter와 EGFP 유전자를 이용하여 선발하였고, 300개의 누에알에 microinjection 하여 F1 세대에서 11 bloods의 누에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누에형질전환체는 초기배 단계의 눈과 신경조직, 유충과 번데기 그리고 성충의 눈에서 EGFP 형광단백질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2 세대 누에형질전환체를 5령 5일 유충까지 사육 후, 체액을 채취한 후 전처리 하였다. 이 시료를 항균활성검정을 하였고, 총 10마리의 누에를 선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선발 된 누에는 서로 교배를 통해서 계대사육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선발된 G3세대 누에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앞의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할성을 검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시그마사의 melittin(0.016 mg/ml)과 거의 동일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melittin 항균펩타이드를 생산하는 누에형질전환체가 성공적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에 대한 약침치료의 국내 동물모델 연구 현황 (The Current Research Methodology of Pharmacopucture for the Treatment of Animal Cancer Models in Korea)

  • 유희경;구본혁;석경환;이주현;류수형;이수연;김민정;박연철;백용현;박동석;서병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81-97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current research methodology of pharmacopucture for the treatment of animal cancer models. Methods : Four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for anim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September 2014 onward using these search terms "cancer, anticancer, pharmacopuncture, beevenom". Selected articles were described about animal cancer models. The methods used to induce cancer and the outcome measure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on animal cancer models were analyzed. Results : 37 articles were included. For producing animal cancer models BALB/C mice(n=22) and C57BL/6 mice(n=17) were selected. And intravenous injection of B16-F10 melanoma cells into tail vein(n=14) o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arcoma-180 cells(n=14) were frequently used to induce cancer. Various pharmacopunctures were injected into acupoints $CV_{12}(n=19)$, $ST_{36}(n=8)$, $BL_{18}(n=8)$ or peritoneal cavity(n=6), tumor site(n=2), tail vein(n=2). Outcome measures were categorized into anti-cancer, anti-metastasis, general condition, cytotoxicity, immune response, toxicity. Median Survival Time(MST) and increase of life span(ILS)(n=26) was frequently used for evaluating anti-cancer effects. And pulmonary colonization assay(n=13) was frequently used for evaluating anti-metastasis effects Conclusions : Based on these data, further research would be needed to ascertain the effectiveness of pharmacopuncture for treating cancer and broaden the range of clinical applications.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폴리드나바이러스 복제와 산란 습성 (Polydnavirus Replication and Ovipositional Habit of Cotesia plutellae)

  • 김용균;배상기;이선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5-231
    • /
    • 2004
  • 내부기생봉의 일종인 프루텔고치별(Cotesia plutellae)이 배추좀나방(Plutellae xylostella)을 대상으로 생물적 방제제로 이용되고 있다. 이 기생봉은 생식기관에 폴리드나바이러스를 공생시키고, 이 바이러스의 존재는 기생봉의 성공적 기생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암컷 프루텔고치벌 성장에 따라 플리드나바이러스의 복제시기를 결정하였으며, 또한 교미나 기주 요인에 따른 암컷의 생식 능력을 분석하였다. 기생봉은 $25^{\circ}C$ 발육조건에서 용화 2일째 겹눈과 날개와 같은 성충조직을 발달시키기 시작했으며, 5일째에는 촉각을 포함한 모든 성충조직이 발달되어 우화 직전 단계의 모습을 보였다. 프루텔고치벌 폴리드나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성항체에 의한 면역블로팅 분석은 용화 4일째에서 바이러스 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러스 입자들은 용화 5일째 산란관 내부에서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되었다. 우화후 난소소관의 길이는 변하지 않았지만, 독샘과 난소받침의 크기는 증가했다. 교미한 암컷은 $25^{\circ}C$에서 약 8일관 생존하였으며, 초기 4일동안 집중된($60\%$ 이상) 산란을 보였다. 미교미 암컷은 교미한 암컷에 비해 낮은 산란을 보였으며, 이 미수정난은 모두 수컷으로 발육하였다. 프루텔고치벌은 배추좀나방과 미국흰불나방(Hyphantria cunea)모두를 기생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배추좀나방에서 더 빠르고, 높은 기생율을 보였다.

흰쥐 타액선내에서의 DENDROASPIS NATRIURETIC PEPTIDE(DNP)의 분포 (Localization of Dendroaspis natriuretic peptide (DNP) in the rat salivary glands)

  • 김재곤;이영수;백병주;박병건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7-463
    • /
    • 2001
  • Dendroaspis natriuretic peptide(DNP)는 Dendroaspis angusticeps의 뱀독으로부터 추출된 natriuretic peptide의 새로운 일원으로서, 사람의 혈장과 심방 근육에 존재하고 실험동물에서 혈관확장과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심장 이외의 다른 기관내에 DNP가 존재하는지 또한 이들이 현재까지 알려진 기능 이 외의 또다른 생리적 기능을 나타내는 지의 여부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타액전 내에서 DNP의 기능을 규명하기 위한 전단계로, 먼저 흰쥐의 타액선내에 DNP가 존재하는지를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고 또한 DNP의 수용체가 타액전 또는 구강점막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생체외 방사선자기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DNP의 면역반응은 악하선과 설하선 및 이하선에서 주로 도관부위에서 관찰되었고, 선포부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의 면역반응 역시 악하선과 설하선 및 이하선에서 DNP 면역반응과 유사하게 주로 도관부위에서 관찰되었다. DNP에 특이한 수용체가 타액선에는 저밀도로 존재한 반면 경구개와 혀 점막상피부위에서는 고밀도로 존재하였다. 경구개와 혀 점막상피부위의 DNP수용체는 주로 상피의 기저층과 기저층에 인접한 유극세포층에 국한되어 존재하는 것을 미세방사선자기법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DNP가 타액선과 구강점막 부위에서 어떠한 생리적 기능을 나타낼 것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구강점막 부위에서는 점막상피세포의 성장과 성숙과정에 관여하리라 추정된다.

  • PDF

태계(太谿)(K3) 전침자극(電針刺戟)이 fMRI상 뇌활성변화(腦活性變化)에 미치는 영향 (fMRI study on the cerebral activity induced by Electro-acupuncture on Taixi(K3))

  • 박기영;이병렬;이현;임윤경;홍권의;김연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94-208
    • /
    • 2003
  • Objective : Recently, many studies have showed the evidences of the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through scientific methods. We performed electro-acupuncture on Taixi(K3) and observed the change of brain activity using fMRI. Methods : To see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Taixi(K3),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on twelve healthy volunteers, using the gradient echo sequence with the 3.0T whole-body fMRI system(ISOL). After the needle insertion on K3, 2 Hz of electric stimulation was given for 30 seconds, repeated five times, with 30 seconds' intervals. Result & Conclusions : Unilateral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K3 increased the brain activity in Brodman Area 8, 6, 9, 13, 21, 22, 38, 40, 43, 2, 5, 10, 20, 24, 32, 34, 37, 39, 41, 42. and decreased the brain activity in Brodman Area 9, 13, 38, 22, 31, 3, 6, 10, 21, 25, 29, 30. Group Averaged Brain activity induced by Unilateral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K3 was increased in Brodman Area 10, 22, 42, 43, 44 and was decreased inn Brodman Area 6 and pyrogen test of Bee venom. Bilateral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k3 increased the brain activity in Brodman Area 22, 3, 19, 4, 13, 17, 21, 41, 42, 2, 5, 6, 7, 18, 23, 29, 30, 31, 40 and decreased the brain activity in Brodman Area 18, 6, 39, 4, 13, 2, 10, 19, 36, 40, 45, 46, 47. Group Averaged Brain activity induced by Bilateral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on K3 was increased in Brodman Area 22, 13, 4, 3, 29, 38, 43 and was decreased in Brodman Area 18, 3, 19, 22, 39. Motor Stimulation activated Brodmann Area 6, 43, 18.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