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ve propagatio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답다년생잡초에 대한 영양번식기관의 사멸에 미치는 온도 및 토양분수의 영향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affecting the death to Vegetative organs of perennial weeds)

  • Chang, Yung-Hee;Kusanagi, Tokuich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8
    • /
    • 1979
  • 1. 너도방동산이 (괴경), 올미 (괴경), 가래 (인경)을 공시해서 영양번식기관의 사멸온도 및 수분조건을 밝힘과 동시 사멸에 관여하는 양요인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검토했다. 2. 저온처리에 의한 영양번식기관의 사멸양상은 초종간 차이가 보일뿐 아니라 토양건습에 의해 현저히 달라서 침수토양의 경우 영양번식기관의 저온치사한계는 너도방동산이가 -5^\circ C, 올마-7^\circ C 가래 -6^\circ C로 추정되었다. 이중 내동성은 올미가 가장 강하였다. 한편 건토에서는 초종의 내건성차이를 보여 0^\circ C 또는 -5^\circC가 되어도 너도방동산이와 올미의 괴경은 사멸하나 가래의 인경은 사멸되지 않았다. 3. 침수토, 건토 공히 괴경(인경)을 토양 표면과 상중2.5cm 깊이로 묻은 결과 침수토양에서는 양치상조건에서 사멸의 차이는 거의 없고 건토에서는 각 초종 모두 처리온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4. 괴경 (인경)의 고온치사한계에 있어서는 너도방동산이가 50^\circ C에서 2시간, 올미는 45^\circ C에서 24시간, 가래는 45^\circ C에서 1시간으로 사멸하는 것을 보여 고위도에 분포가 많은 가래가 고온에서 가장 약하였다. 5. 영양번식기관의 내건성에 있어서는 너도방동산이와 올미는 괴경수분이 40~50%에서 발아가 현저히 낮아지나 가래는 인경수분이 45%에서도 대부분 발아가 되어 건조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6. 일광하에서 토양수분별 괴경치상위치와 발아와의 관계를 보면 가래는 토양수분이 3.5~4.5%인 건토(A Plot)에서 표면에 있거나 묻혀있는 경우 발아율이 낮아 고사하지만 토양성분이 17%이상인 경우에는 양치상 조건에서 고사되지 않았다. 그러나 너도방동산이, 올미는 토양수분17%에서 묻을 경우는 발아되지만 표면에 둘 경우는 토양수분25%에서도 2~3일 두면 발아능력을 상실하여 점차 고사하였다. 7 이상의 결과로서 경기에 의해 노출된 괴경의 사멸은 토양건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노출된 괴경은 동계 저온에 의한 것보다는 건조에 의한 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고려인삼의 영양번식에 관한 연구 제1보 NAA의 농도 및 잡목용배지가 인삼경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Vegetative Propagation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1. Effects of the NAA Concentration and the Rooting Media on the Rooting of the Ginseng Stern Cutting)

  • 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7
    • /
    • 1982
  • 고려인삼의 삽목에 의한 영양번식방법을 개발하고저 완전히 전엽된 3매 소엽을 부착한 묘삼경을 삽수로 취하여 NAA의 처리농도가 이들 삽수의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한편 삽목용토 및 삽목방법이 발근 및 발근후의 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AA는 삽목후 관수시 NAA용액으로 관수하였던 바 1.0ppm 용액의 관수가 발근율 및 발근후의 근생장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또한 삽목용토로는 부엽토와 모래의 혼합토가 가장 이상적이었다. 삽목후 삽수에 부착된 엽에서의 증산을 억제하고 삽수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Acril film으로 만든 덮개로 삽수의 지상부를 씌워 주는 것이 삽수의 발근에는 물론 특히 발근후의 근생육에 효과적이었다. 한편 5매의 소엽이 부착되어 있는 2년생 인삼의 엽병을 삽수로 하여 부엽토와 모래의 혼합토에 삽목하고 1.0ppm의 NAA 용액을 관수하였던 바 역시 양호한 발근율과 근생장을 보였는데 근의 생장량은 묘삼에서 취한 경삽보다는 약간 부진하였다.

  • PDF

노란색 비모란 종간교잡종 '황성' 육성 (A New Yellow Graft Cactus(Gymnocalycium mihanovichii × marsoneri) Cultivar 'Hangseong')

  • 정명일;정봉남;박필만
    • 화훼연구
    • /
    • 제16권4호
    • /
    • pp.321-324
    • /
    • 2008
  • 노란색 접목선인장 '황성'은 G. mihanovichii와 G. marsoneri 간의 종간교잡종으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 특작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1998년 IG-124(G. mihanovichii) ${\times}$ IG-223(G. marsoneri) 교배조합에서 2001년 2계통을 선발하였다. 2001년 선발된 두 계통 중 '9834024'를 모본으로 '9834036'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후대를 양성하고 3차의 특성검정 후 황색의 '원교G1-169'을 육성하였다. '원교G1-169'은 2005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황성'으로 명명되었다. '황성'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구색은 모구와 자구가 황색이다. 구의 모양은 편원형으로 7~9개의 깊은 결각을 형성한다. 가시는 갈색으로 길이가 길고 반 직립한다. 생육은 정식 10개월 후에 직경이 49.5 mm로 빠르다. 자구수는 7.2개로 증식력이 우수하다. '황성'은 미국과 유럽지역의 수출용으로 적합하며 품종의 특성은 영양번식에 의하여 유지된다.

The effects of LED light quality on ecophysiological and growth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a Korean endangered plant, in a smart farm facility

  • Park, Jae-Hoon;Lee, Jung-Min;Kim, Eui-Joo;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3호
    • /
    • pp.161-171
    • /
    • 2022
  • Background: Epilobium hirsutum L.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plant in South Korea located in Asia, due to the destruction of its habita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wetland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 light condition suitable for the growth and ecophysiological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those of this plant under treatment with various light qualities in a smart farm were measured. Result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nd growth responses of Epilobium hirsutum L. according to the light qualities, the treatment with light qualities of the smart farm was carried out using the red light: blue light irradiation time ratios of 1:1, 1:1/2, and 1:1/5 and a red light: blue light: white light irradiation time ratio of 1:1:1. As a result, the ecophysiological responses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temperature, transpiration rate, net photosynthetic rate,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to light qualities appea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reatments with light qualities. The increase in the blue light ratio increa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af temperature an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the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and decreased the transpiration rate and the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On the other hand, the white light treatment increased the transpiration rate and intercellular CO2 partial pressure and decrease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eaf temperature and the ambient temperature and photosynthetic quantum efficiency. Conclusions: The light condition suitable for the propagation by the stolons, which are the propagules of Epilobium hirsutum L., in the smart farm, is red, blue and white mixed light with high net photosynthetic rates and low difference between leaf temperature and atmospheric temperature.

카사바 잎 절편 유래 체세포배 배양시 배지조성이 기내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Shoot Regeneration from Leaves of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and Callus Induction)

  • 권영희;이정관;김희규;김경옥;김주형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20
  • The Cassava(Manihot esculenta Crantz) is a tropical root crop, originally from Amazonia, that provides the staple food of an estimated 800 million people worldwide. It belongs to the family Euphorbiaceae which also includes rubber (Hevea brasiliensis) and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Among tropical crops, rice, sugarcane, maize and cassava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calories for human consumption. Problems in the propagation of cassava are virus diseases and low rates of seed germination. So we tried to optimize protocols for mass production of somatic embryo amenable to large-scale vegetative propagation of Cassava. After in vitro eight-week culture of leaves of Cassava, the medium which contained the 2,4-D, BAP and IBA showed the highest callus induction rate, embryogenesis callus formation rate and somatic embryo formation in Cassava culture. In the medium with GA3 and myo-inositol, shoots were most vigorously regenerated from somatic embryos of Cassava.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la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 PDF

조경용 억새의 대량번식을 위한 플러그묘와 삽목번식법 (Seedling Plug and Cutting Method for Multi-propagation of Ornamental Miscanthus Spp.)

  • 황경식;주송탁;하수성;김기동;주영규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75-282
    • /
    • 2018
  • 억새(Miscanthus spp.)는 경관성이 우수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저관리가 가능한 종 들로 알려져 있다. 플러그묘를 통한 대량번식을 위해 4가지 품종의 억새(M. sinensis 'Andersson', 'Strictus', 'Gracillimus', 'Variegatus')와 삽목번식을 위한 3가지 품종의 억새(M. sinensis 'Gracillimus', M. xgiganteus, M. sacchariflorus)를 예비실험을 통해 선발하여 플러그 형성, 정식 후의 생육, 그리고 삽목 활착률 실험을 2015-2016년에 온실과 실험포장에서 실시하였다. 2가지 관수방법과 3가지 플러그 셀 크기로 종자로부터 플러그묘 형성과정 실험에서는 매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와 작은 크기의 플러그 셀이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삽목실험에서 삽수채취 시기, 마디 부위, 삽수의 직경이 활착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억새 공시 3종 모두 하부 마디에서 채취한 삽수가 높은 활착율을 보였으며 삽수 채취 시기는 화서가 발생 하기 전 그리고 목질화가 진행되어 삽수의 직경이 작은 하부마디가 높은 활착율을 보였다. 생존율의 차이가 뚜렷한 M. xgiganteus는 삽수채취 시기와 삽수 부위 및 삽수 직경에 따른 삽목의 성공여부(생존 혹은 고사)는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델(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분석 판정하였다. 그 결과 삽목 시기는 7월이 6월에 비하여 1.64배 정도 활착 성공률이 높았으며, 삽수 채취 마디부위는 1번째 마디를 기준으로 승산비(성공율/실패율)는 3번째 마디와 5번째 마디는 0.12와 0.02로, 각각 8배와 50배의 활착 실패율을 보였다. 즉 늦게 발달한 상대적으로 굵은 신생 줄기 마디는 목질화가 진행된 묵은 마디에 비해 직경은 크지만 생존율은 낮아졌다. 따라서 억새속 삽목번식은 화서가 분화되기 시작하는 9월 이전에 아래쪽 묵은 마디로 삽수로 사용하여 대량 번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독활종자내(獨活種子內)의 발아관여물질(發芽關與物質) 분석(分析) (Analysis of Substances Related to Germination in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 김관수;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7
    • /
    • 1993
  • 본 연구는 독활의 대량증식에 종자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1990년 11월 7일에 종자를 수확하여 독활종자의 발아특성을 파악하고 발아에 관여하는 물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독활종자의 저온습층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종자추출물의 Phenol성 물질은 감소하였다. 2. 보리 무배(無配)종자의 $\alpha-amylase$ 활성실험에 의한 생물검정 결과 활성물질이 존재하고 있는 것 같았으나 저온습층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촉진물질은 감소하였다. 3. 상치종자 발아억제시험에 의한 생물검정 결과 억제물질이 존재하였으나 저온습층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억제물질은 감소되었다.

  • PDF

Survey of Garlic Virus Disease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Garlic Viruses of the Genus Allexivirus Isolated in Korea

  • Koo, Bong-Jin;Kang, Sang-Cu;Chang, Moo-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237-243
    • /
    • 2002
  • A survey of virus infection in garlic plants cultivated in Korea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Most virus-infected garlic plants (Allium sativum) showed typical symptoms on the leaves such as yellow mosaic, stripes, and distortion. Through immunosorbent electron micro-scopy and RT-PCR analysis, the complex mixtures of viruses including garlic viruses of the genus Allerivirus, gaylic strain of Leek yellow stripe virus of the genus Potyvirus, and Garlic latent virus of the genus Carlavirus were identified in the virus-infected garlic plants. Among these viruses, Allexivirus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in the regions surveyed. Using sets of differential primers for Allexivirus genomes, two members of the genus were amplified and sequenced from the purified viruse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for the coat proteins and the nucleic acid binding proteins of two viruses showed high homologies to Garlic virus A (CarV-A) and Garlic virus D (GarV-D) of Allekiviru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GarV-A and GarV-D in Korea. This suggests that Allexivirus in gavlic plants in Korea was mixed and varied. Phylogenetic analyses showed that the genus Allexivirus was diversi(ied by the processes of accumulation and evolution of viruses in garlic plants due to the long period of repeated vegetative propagation.

좀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Blue Edge' 육성 (New Cultivar 'Blue Edge' of Leaf Variegated Hosta minor)

  • 김현진;이종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52-655
    • /
    • 2012
  • 좀비비추 'Blue Edge'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EMS(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잎 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들어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3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Blue Edge'는 잎가장자리에 진한 녹색무늬가 년 중 변함없이 균일하게 발현 되는 것이 특징이다. 잎의 무늬가 독특하여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

비비추의 잎변이 품종 'Yellow Tiara' 육성 (New Cultivar 'Yellow Tiara' of Leaf Variegated Hosta)

  • 김현진;이종석;김재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4-506
    • /
    • 2012
  • 'Yellow Tiara'는 돌연변이 유기용 화학물질인 MMS(methyle methane sulfonate)용액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개체를 유기하고 그 중에서 연두색의 잎을 가진 식물체를 선발하여 영양번식한 품종이다. 2004년부터 3년간 특정검정을 실시하였는데, 'Yellow Tiara'는 잎 전체가 순수한 연두색으로서 년 중 색상에 변함이 없고 특성이 균일하게 발현된다. 잎의 색상이 독특하고 분화 및 화단용 반음지성 지피식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신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