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al compositi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5초

치악산국립공원의 식생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 송홍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6-365
    • /
    • 2007
  •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 및 종조성표 분류법과 배열법의 군집분류법을 적용하여 치악산국립공원 구역의 식생천이 경과에 따라 변화된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신갈나무림(33.1%)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혼효림(16.2%), 일본잎갈나무림(15.6%), 낙연활엽수림(14.7%), 소나무림(11.1%), 잣나무림(2.3%), 리기다소나무림(0.1%)순이었다. 식생은 당단풍-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까치박달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당단풍-신갈나무군락은 하위단위 군락으로 서어나무-조릿대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노린재나무-대사초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표의 분류법과 배열법의 식물군락 분류는 유사하였다. 식생천이는 산중턱 이상에서 신갈나무(교목층)-당단풍(아교목층)-철쭉(관목층)이 결합하여 극상림을 이룰 것으로 예측되었다.

자연습지 및 인공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본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생 특성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terraces in comparison with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 홍문기;박혜경;남보은;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9-206
    • /
    • 2019
  •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생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물종 구성 및 종풍부도 양상을 대상으로 자연습지 및 인공습지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달뿌리풀은 자연습지(10.8%)나 인공습지(10.8%)에 비해 계단식 묵논습지(23.9%)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관찰된 반면, 갈대는 계단식 묵논습지(18.3%) 보다는 자연습지(43.1%)나 인공습지(35.4%)에서 보다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부들의 경우 계단식 묵논습지(19.7%)에서만 높은 비율로 출현한 반면, 애기부들의 경우 자연습지(21.5%)와 인공습지(32.3%)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와 더불어, 나도겨풀, 미나리, 그리고 개발나물과 같은 몇몇 습지 의존성 식물들의 경우 오직 계단식 묵논습지에서만 관찰되었다. 특히, 계단식 묵논습지($6.3{\pm}2.2$ 종/$m^2$)는 자연습지($4.9{\pm}1.8$ 종/$m^2$) 및 인공습지($3.9{\pm}1.3$ 종/$m^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식물 종풍부도를 나타내었다. 즉, 계단식 묵논습지는 특유의 식생 특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종풍부도 차원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생태적 가치를 보인 것이다. 비오톱으로서 계단식 묵논습지가 갖는 높은 생태적 가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이를 유지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한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지 군락내 식생 특성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 강병화;마경호;심상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9
    • /
    • 2003
  • 휴경지의 식생 특성을 묵밭과 묵논과 같이 토양의 수분상태가 다른 조건과 휴경 연차에 따라 조사하였다. 같은 묵논이라도 습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와 건조한 상태로 휴경한 경우 식생의 차이가 컸으며, 건조한 상태에서 다년생으로의 천이가 빠르게 일어났다. 천이 단계는 휴경 기간보다 휴경지의 토양 조건에 더욱 큰 영향을 받았다. 묵밭의 경우 휴경 2년차에 우점하였던 돌콩, 칡, 쑥, 새팥 노랑물봉선 등은 휴경이 6년간 진전된 경우 칡, 억새, 돌콩, 쑥 등의 순으로 우점도가 변하였다. 논을 건답상태로 휴경한 경우 3년차에는 들깨풀, 돼지풀i 강아지풀 등이 주요 우점 초종이었으나 7년차에는 억새, 미국쑥부쟁이, 쇠치기풀 등이 우점하여 다년생으로 천이되었다. 논을 습답 조건으로 휴경한 경우 수생 잡초가 우점하였다. 7년차에는 갈대, 돌콩, 부들, 고마리가 우점하였으나, 11년차에는 갈대, 줄, 고마리, 부들이 우점하는 초종이었다. 휴경지의 식물종 다양성은 건조한 토양 조건보다 다소 습한 조건의 토양에서 높게 나타났다.

서울 남산공원의 식생변화 (Vegetational Changes of Mt. Nam Park, Seoul)

  • 임양재;양금철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589-602
    • /
    • 1998
  • Mt. Nam (265m), a city park of Seoul, was originally covered with a typical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n Central Korea. However, the park forests have been changed the development for various purpos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astle wall, road way, broadcasting station, theater, hotel and apartments, in addition, to thoughtless plantation or alien plant introduction. Human population growth from ca. 100 thousands persons less in that time established Seoul as the capital of choseon dynasty in 1394 to ten millions over persons at present, accelerated the vegetational changes of the park. mt. Nam boundary in those days of sunjong (1908) also was much shrinked as much the range of 300 m distance in the northern most to 700 or 800m distance in some places. The actual vegetation of Mt. Nam largely can be classified by floristic composition into two plant communitie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four plantations of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and other tree species, and on mixed forest with native and alien tree species in secondary succession stage (Yim et al. 1987). The restoration movement of Mt. Nam toward to the natural condition of forest or biodiversity is moving now. However, in the movement there are some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ecological consideration and the undesirable decision of priority in the practice. A warning should be given, especially, on the undesirable plantation of non-native tree species restricting the forest succession, as in the case of southern slope of Mt. Nam.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ce in Mt. Nam management is that the restoration for natural forest and biodiversity should be carried on the basis of integrated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the site evaluation.

  • PDF

전주시 산성자연공원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 (Vegetation Structure arid Management Planning of the Sansung Nature Park, Cheonju)

  • 최만봉;이규완;오구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1
    • /
    • 1990
  • This study was executed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the vegetation management proposals of the Sansung Nature Park at Cheonju City and the results were as fellows. 1. A damage of vegetation and soil surface around the Namgosa was taken place up to 100m by picnic 2. Pinus rigida forest covered 36.1% of the total area(152.6ha) and total afforested vegetation covered 43.5%, respectively. P. denstflora comm. covered 28.4% arid Carpinus laxiflora Comm. as a climax vegetation in temerate zone covered 0.3%, respectively. 3. 6, 7 and 8 of the degree of human disturbance of vegetation covered 45.3%, 26.6% and 21.4%, respectively and resulted in low quality of naturalness. 4.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pour at high elevation and were poor severely in and around the Namgosa due to human disturbance. 5. Plant community were under rapid succession and had unvalanced structure and heterogeneous composition of species. Rapid vegetational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and Pf. rigida to Carpinus laxifora, Quercus spp. and Robinina pseudo-acacia were taken place.6. The speeies of Raunkiaer's frequency class I as of high frequency class were Pinus dunsiflora, Carpinus alxiflora, Quercus mmongolica, Sorbus alnifolia, Prunrs sargintii, Rhododendron yedoense, Stephanandra incisa and Lespedeza maxinowiczii. 7. Vegetational management proposals were made for three vegetation zones ; Historic landscap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zone, Afforested vegetation zone, Native vegetation conservation zone and recommanded native species for landcape planting.

  • PDF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 이유미;박수현;정승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1-286
    • /
    • 2002
  • 중랑천의 식생구성 상태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6월에 중랑천을 7개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에서 3개 지점씩, 총 21개 조사구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01년 6월부터 9월까지 3회에 걸쳐 중랑천 전지역의 식물상을 파악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생구성 상태는 지역별, 하천 사면의 지점별로 차이가 나타났는데, 우선 근지점의 경우는 갈풀. 개쇠스랑개비, 속속이풀, 흰명아주, 개피, 좀명아주 등이 높은 상재도와 출현횟수를 보였다. 또 중간지점의 경우, 참새귀리, 환삼덩굴, 망초, 개밀 등이, 원지점의 경우, 참새 귀리, 좀명아주, 쑥 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참새귀리, 좀명아주 환삼덩굴, 망초, 개밀, 쑥, 콩다닥냉이 등은 21개 조사구 중 9회 이상 출현하여 출현 빈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지역에서 나타난 귀화 식물은 모두 21과 55속 68종 6변종으로 총 74종류였으며, 이 지역의 전체 귀화율(NI)은 29.2%, 자연파괴도 (UI)는 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랑천 전체지역에서 조사된 식물종류는 50과 159속 224종 1아종 27변종 1품종으로 총 253종류였다. 이들의 생활형을 보면, 휴면형은 일년생식물(Th)의 비율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지중식물(G)과 반지중식물(H)은 각각 7.1%, 17.8%로 상당히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였을 때 중랑천에서는 Th-R$_{5}$-D$_4$-e이 대표적인 생활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년생 자가수분 식물인 동부의 열매 및 종자 생산의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Fruit and Seed Production in Selfing Annual, Vigna unguiculata)

  • 이수진;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57
    • /
    • 1995
  • Some indices of species of the Arundinella hirta communities in Cheolwon area were stud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vegetational date was analyzed from six grass stands selected with the distance away from the DMZ in Cheolwon area.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the stand away from the DMZ than in that neat to it. All six stands are not considered to be free of disturbance. Species composition of the stands might be related to the degree of disturbance. It can be said that the destruction of the vegetation by periodical fire or cutting simplifies the species composition. In the rear district the human inter ference is supposed to be more frequent. But it is supposed to be slight in near the DMZ and that the degree of disturbance is not so destructive. This could be the explanation of high diversity in these stands.

  • PDF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남산공원 식생의 관리대책 (Vegetational Management Planning of the Namsan Nature Park in Seoul on the Basis of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 오구균;이경재;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1호
    • /
    • pp.1-9
    • /
    • 1988
  • 서울시 남산자연공원(南山自然公園)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한 식생관리대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Belt-transect 법(法)과 방형구법(方形區法)으로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남서-북동사면간 식생구조, 주요식물간 경쟁(競爭),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구조를 분석했으며, 이러한 결과와 기 발표된 결과를 토대로 권역별(圈域別) 식생관리대책(植生管理對策)을 제시했다. 남서사면의 출현 종수(種數), 개체수(個體數)가 북동사면보다 높았으나, 종다양성(種多樣性)은 북동사면이 1.0수준으로 남서사면(0.8~1.3) 보다 안정되었다. 양사면간 상이도(相異度) 및 식물상이도계수(植物相異度係數)(FDC)는 70~80%로서 종구성(種構成)이 이질적이었으며 북동사면에는 신갈나무, 남서사면에는 소나무가 우점종이었다. 주요 수종간 경쟁관계에서는 아까시나무>은사사나무>소나무, 신갈나무>활엽수>소나무, 낙엽활엽수>아까시나무 순(順)으로 우세하였다. 남산에 식재된 조림수종 특히, 잣나무, 젓나무, 독일가문비나무 등의 생육상태가 매우 불량하였으며, 인공조림수종들의 추수(推樹)발생지역에서의 밑깍기작업은 종다양성(種多樣性)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인공조성식생(人工造成植生)의 군집구조는 기존 자연식생과 상이(相異)하여 생태계의 천이를 방해하고 있었다. 남산자연공원의 관리는 기존 자연생태계를 보존(保存)하되, 필요시 생태계의 천이를 발전시키는 최소한의 인위적(人爲的)관리를 관리목표로 설정하고 6개 식생관리권 즉, 소나무림지역, 신갈나무림지역, 낙엽활엽수림지역, 인공조림지역, 아까시나무림지역 및 조경수목식재지역별 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

금오산지역(金烏山地域)에서의 레크리이션행위(行爲)가 토양(土壤) 및 식생(植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Recreation Effects on Soil and Vegetation in the Kumo Mountain)

  • 이경재;안준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4권1호
    • /
    • pp.37-46
    • /
    • 1986
  • 금오산도립공원(金烏山道立公園) 야영지(野營場)에서 이용객(利用客)에 의한 토양(土壤) 및 식생(植生)에 대한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극심피해지(極甚被害地)며, 중간피해지(中間被害地), 무피해지(無被害地)에 조사구(調査區)을 설정하고 조사분석하였다. 토양내(土壤內)의 양료(養料) 중 전질소 유효인산 Ca이온 함량(含量)은 이용도(利用度)가 높을수록 크게 감소(滅少)하였다. 낙엽층(落葉層) 및 초본층(草本層)의 면적은 이용밀도(利用密도)가 높을수록 현저하게 감소(減少)되어 극심피해지(極甚被害地)는 나지(裸地)의 면적이 73 %에 달하였다. 토양경도(土壤硬度)는 무피해지(無被害地)가 $1.76kg/cm^2$인 반면 극심피해지(極甚被害地)는 $38.9kg/cm^2$로서 초본류(草本類)가 회복할 수 없는 수준(水準)이었다. 식생조사(植生調査)에서 방형구(方形區)내의 피도(被度) 밀도(密度)는 이용밀도(利用密도)가 높을수록 감소(減少)하였는데, 특히 하층(下層)에서 이러한 경향(傾向)이 뚜렷하였다. 인간간섭(人間干涉)에 의한 답압(踏壓)에 대하여 내성(耐性)이 높은 수종은 갈참나무, 산초나무, 칡, 세모래덩굴, 청미래덩굴이었으며, 내성(耐性)이 낮은 낮은 수종은 단풍나무, 국수나무, 개옻나무, 산딸기, 담쟁이덩굴이었다. 식생구조(植生構造) 분석(分析)결과 이용밀도(利用密도)가 높을수록 식생구조(植生構造)가 단순화(單純化)하여져 종다양성(種多樣性)이 감소(減少)되었다. 조사지간(調査地間)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에 의하면 극심피해지(極甚被害地)와 무피해지간(無被害地間)에는 25.38 %의 낮은 수준(水準)으로 종구성(種構成)이 매우 이질적(異質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II.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Hilly Pasture II. Studies on vegetational succession of abandoned hilly pasture)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맹중;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7-344
    • /
    • 1998
  • 본(本) 시험(試驗)은 관리(管理)를 포기(抛棄)한 산지초지(山地草地)의 식생천이(植生遷移)를 조사(調査)하여 산지초지(山地草地) 관리(管理)에 이용(利用)코자 1993년부터 1996년까지 경기도 여주 야산지(野山地)에 조성(造成)한 초지(草地)에서 수행(遂行)되었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지(草地)의 식생(植生)은 정지초지(整地草地)는 관리포기 후 l년차에, 임간초지(林間草地)는 방치후(放置後) 2년차에 식생이 가장 많이 변하였다. 2. 관리(管理)를 중단(中斷)한 후 초지식생(草地植生)의 생활형(生活型)은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반지중식물(半地中植物), 지중식물(地中植物), 지표식물(地表植物)은 점차 감소하였으나, 1년생(年生) 식물(植物)과 어린나무를 포함한 관목류(灌木類)는 현저히 증가되었다. 3. 식생(植生)그룹간의 유사성(類似性)은 식생구성(植生構成) 초종(草種)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이와 관련하여 초지(草地)의 식생구성(植生構成)이 비슷한 군락(群落)이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가깝게 집단(集團)을 형성하였으며, 유사성(類似性)이 낮은 식생(植生)그룹은 유클리드 거리계수(距離係數)가 보다 먼 곳에서 서로 묶여지는 경향을 보였다. 미세지형(微細地形) 정지초지(整地草地)나 임간초지(林間草地) 공히 관리를 중단(中斷)하면 개량초지(改良草地)와는 다른 산지야초지(山地野草地)나 임야(林野)로 천이(遷移)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