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period

검색결과 395건 처리시간 0.029초

군위군 화산습지의 식생: 오리나무림을 중심으로 (Hwasan Wetland Vegetation in Gunwi, South Korea: with a Phytosociological Focus on Alder (Alnus japonica (Thunb.) Steud.) Forests)

  • 김종원;이승은;이정아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70-78
    • /
    • 2017
  • 화산습지는 경북 군위와 영천 경계의 산정 분지 (표고 644~780 m)에 위치한다.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현장 식생조사가 이루어졌고, 현존식생도가 제작되었다. 단위식생의 출현종의 행동양식은 피도와 상대기여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버드나무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산돌배하위군락으로 이루어진 오리나무-백당나무군락이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오리나무 우점림에 대한 선행 기재단위식생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일본갈매나무군집, 버드나무-신나무군집 등)과의 군락분류학적, 군락동태학적 대응성이 논의되었다. 본 군락은 오리나무군강(Alnetea japonicae)에 귀속되고 산간 계류 선상지에서의 분지상(分地狀) 범람원 습생림으로 규정되었다. 화산습지의 잠재자연식생이고 증거 식생형으로서 식생보존등급 [I]의 자연식생으로 평가되었다. 입지의 수리수문 환경조건의 극적인 변화(건생화 및 부영양화)로부터 국가적 보호 전략이 요구되었다.

황폐산지(荒廢山地)에서의 산불이 삼림식생(森林植生) 및 토양(土壤)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IV) (Effects of Forest Fire on the Forest Vegetation and Soil(IV))

  • 우보명;이헌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3호
    • /
    • pp.302-313
    • /
    • 1989
  • 관악산(冠岳山) 암석산지(岩石山地)에서 지표화(地表火)가 발생(發生)한지 5년(年)이 경과(經過)한 후(後) 토양조건(土壤條件) 및 삼림식생(森林植生) 변화(變化)에 미친 영향(影響)을 밝히고자 1988년(年) 7월(月)에 실시(實施)한 조사결과(調査結果)는 다음과 같다.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pH,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산불발생(發生) 후(後) 3년(年)까지는 증가(增加)를 나타낸 후(後) 안정(安定)을 보였다. 5년간(年間) 초본(草本), 목본식물(木本植物)의 상대우점치(相對優占値) 변동(變動)에 의하여 출현종(出現種)들을 산불에 민감종(敏感種), 내성종(耐性種), 수입종(侵入種), 무반응종(無反應種)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다.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 유사도지수(類似度指數) 등(等) 다양성지수(多樣性指數)의 변동(變動)을 고려(考慮)할 때, 산불 후(後) 5년(年)동안에 종구성측면(種構成側面)의 회복(回復)은 이루어 졌으나 수관울한(樹冠鬱閑), 임목성장(林木成長) 등(等) 식생발달측면(植生發達側面)에서의 회복(回復)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현존식생 유형과 생태적 특성 (Vegetation Type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ix kaempferi Plantation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 오승환;김준수;조준희;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530-542
    • /
    • 2021
  • 백두대간 보호지역 일본잎갈나무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본 단위 설정을 위하여 총 119개 조사구에서 수집한 식생 정보를 바탕으로 TWINSPAN과 DCA ordination 분석을 통하여 현존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 배열 상태를 파악, 기술하였다. 현존식생 유형은 신갈나무-철쭉형, 신갈나무-조록싸리형, 층층나무-산뽕나무형, 신갈나무-까치박달형, 비목나무-찔레꽃형, 졸참나무-산초나무형, 졸참나무-조릿대형 등 총 7개 유형이 도출되었고 대개 위도, 해발고도, 성립 기간, 시업 이력, 주변 임분 특성, 교란 정도 등에 따른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일본잎갈나무림과 주변 잠재자연식생(신갈나무림와 졸참나무림)의 종구성적 유사성을 Jaccard 계수에 의해 비교한 결과, 식생유형 간 다소 차이가 있지만 신갈나무림과는 평균 0.21, 졸참나무림과는 평균 0.32로 나타나 아직 전반적으로 종구성이 이질적인 경향이었다.

토마토 생육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diagnosis system for tomato)

  • 이창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673-8678
    • /
    • 2015
  • 본 논문은 토마토 생육 진단 시스템 개발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 생육 진단을 위하여 우선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지표를 정의하였고, 이 지표를 이용하여 토마토 생육 상태에 대한 진단과 이에 따른 조치 정보를 제공한다. 생육에 대한 지표는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생육 상태를 확인하는 측정 지표(Measure Index; MI)와 현재 토마토가 영영생장 단계인지 또는 생식생장 단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지표(Period Index; PI)로 구성되었다. 본 시스템의 관찰일지는 MI와 PI에 대한 기록 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MI인 경우, 진단은 관찰일지에 기록된 데이터와 미리 정의된 해당 지표에 대한 정상 기준(표준) 값을 비교한 결과이다. PI인 경우 미리 정의된 영양 생장 지표와 생식 생장 지표에 체크를 하여 어느 부분에 치우쳤는지 판단하도록 만들어졌다. 진단 결과 정의된 조치를 수행하는 기능을 서비스한다. 본 시스템은 타 작물로 서비스 확장을 고려하여 구현되었다. 본 시스템을 이용하면 농가에게 정확한 생육 진단과 그에 따른 조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The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69-174
    • /
    • 1998
  • This is the review of vegetational history of the post-glacial period in Korea. most of studies for vegetational changes are located in the lowland alluvial plain, especially below the hilly zone of western and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A couple of methods,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have been employed in these studies. These results lead us to establish the pollen zonation in Korea as the followings. Yasuda et al.(1980) classified six period in Yongrang lake of sokcho. These are as follow I. 17,000-15,000yr B.P.: Picea, Abies, Pinus(Haploxylon), Larix stage, II.15,000-10,000yr B.P:Herb, Pteridophyta stage, III.10.000-6,700yr BP.:Quercus stage, IV.6,700-4,500yr B.P.:Pinus, Quercus, Carpinus stage, V.4,500-1,400yr B.P.:Quercus. Pinus stage, VI.1,400yr B.P.-present: Pinus, Herbs stage. Jo(1979) also divided the period into two stages from the outcomes of analysis done in Jumoonjin and other sites I.10,000-6,000yr B.P.:Quercus stage, II.6,000-present: Pinus-Quercus stage, and three substages: IIa.6,000-3,400 yr B.P.:lower Pinus stage, IIb.3,400-2,000yr B.P.:Pinus-Quercus stage, IIc.2,000-present: Pinus stage. Choi(1993, 1996)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I.6,000-5,000yr B.P.:Alnus, Quercus stage, II.5,000-4,000yr B.P.: Alnus, Quercus, Pinus stage, III.4,500-2,600yr B.P.: Alnus, Pinus stage. In the period around 6,000yr B.P. distinct dominant species clearly occupied the lowland of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s. Thus, this strongly supports the fact that even if Korea experienced its warm and wet climate after the lateglacial, it underwent a different environmental change, dry climate, compared to the regions of Japan.

  • PDF

청미천에서 홍수 유황의 변화에 따른 하안식생의 확장 (Expansion of Riparian Vegetation Due to Change of Flood Regime in the Cheongmi-cheon Stream, Korea)

  • 진승남;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322-326
    • /
    • 2016
  • 하천에서 식생의 분포는 수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에서 홍수 유량의 변화에 의한 식생분포의 변화 및 식생 유형과 지난 10년 동안의 홍수 빈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청미천에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홍수 유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13년 이후로는 $160m^3/s$ 이하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홍수 유량의 감소는 2013년 이전에는 식생이 드물게 분포하였던 청미천 점동 구간의 넓은 사주에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의 정착을 야기하였다. 2016년에는 사주의 대부분이 달뿌리풀로 뒤덮였다. 조사대상구간 홍수터의 식생은 우점하는 종에 의해 1년생 습생식물 군집, 다년생 습생식물 군집 및 중건생식물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식생 유형과 홍수 빈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1년생 습생식물, 다년생 습생식물 및 중건생식물 군집은 각각 1년이하의 홍수 범람 범위, 1년에서 10년 빈도의 홍수 범람 범위, 그리고 7년 이상의 홍수 범람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결론적으로, 청미천에서 홍수터 식생의 분포는 홍수 유량 및 빈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욕지도(경남) 산림식생 유형구분과 공간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ypes in Yokjido Island, Korea)

  • 이보라;이호상;김준수;조준희;오승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3호
    • /
    • pp.345-356
    • /
    • 2022
  • 욕지도는 한반도 남동부 남해안의 끝에 위치하고 있는 섬 크기 15 km2의 유인도서로 현존산림은 대부분 대상식생(substitutive vegetation)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욕지도 산림식생의 생태적 보전과 관리에 필요한 기초정보 제공을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현존식생 유형을 구분하고 상관 우점종 중심의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여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2개 군락(community), 4개 아군락(subcommunity), 6개 변군락(variant), 그리고 2개 아변군락(subvariant)의 식생단위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개 인간간섭, 입지환경, 천이단계, 그리고 성립기간 등에 따라 종조성적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종다양성 지수는 현존식생 유형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종풍부도, 종다양도, 그리고 종균재도는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통계적으로 다소 유의한 증가 경향을 보였으며, 초본성 식물종이 가장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비교적 낮은 해발고도를 가진 산지에서는 중간영역효과(mid-domain effect, MDE)로 해발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다양성이 증가한다는 McCain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욕지도 산림식생은 외부간섭이 없는 한 혼효림 도중 단계를 거쳐 잠재적으로 상록활엽수가 우점하는 산림으로 천이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Analysi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ed Area in an Unregulated River and Their Underlying Causes: A Case Study on the Naeseong Stream

  • Lee, Chanjoo;Kim, Donggu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4호
    • /
    • pp.229-245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riparian vegetated area in the Naeseong stream, an unregulated river, in order to analyze the main factors leading to these changes. For this purpose, the land surface cover in the channel area of the Naeseong stream was classified into 9 categories using past aerial photographs collected between 1970 and 2016, which recorded the long-term changes of the Naeseong stream.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vegetated area was calculated for each category using a pair of before and after images. The changes in the vegetated area were divided into 6 periods: the unvegetated channel period (1970 - 1980), the first rapid increase (1980 - 1986), the period of decrease due to flood (1986 - 1988), the period of repetitive man-induced disturbance and vegetation increase (1988 - 2008), the period of gradual vegetation increase (2008 - 2013), and the period of second rapid increase (2013 - 201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ing hydrology, climate, and geomorphology. The major variables found to be involved in the changes in the vegetated area of the Naeseong stream were the discharge during June - July, channel width, and temperature during April - June. Among the three variables, discharge and temperature were respectively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downstream and the upstream reaches as per a single variable model. Channel width was the variable that distinguished the upstream and downstream reaches of the stream. The implication of the long-term increase in the vegetated area in the Naeseong stream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DIS LAI 데이터를 이용한 툰드라-타이가 경계의 식생 공간분포분석 (Vegetation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undra-Taiga Boundary Using MODIS LAI Data)

  • 이민지;한경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5호
    • /
    • pp.27-3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식생의 분포 변화를 관측하였다.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인간 활동 혹은 기후 변화에 따른 신호로 나타나는 식생패턴의 이동을 관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극지의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은 조금의 변화에 대해서도 두드러진 반응을 관찰 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곳에 비해 기후변화에 대한 반응과 확인이 명확하다. 연구 자료로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총 10년간 매년 8월을 Terra위성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로부터 취득한 LAI(Leaf Area Index) 8-Day 자료를 사용하였고, 보조 자료로서 기후지도와 GLC 2000(Global Land Cover 2000)토지피복 지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엽면적 지수의 10년치 장기간 자료를 이용하여 시 공간 분석과 식생의 밀도가 저조한 지역을 중심으로 위도대 별, 토지피복 별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에 대하여 엽면적 지수의 기준값을 바탕으로 한 분석에서 2000년에서 2009년까지 LAI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툰드라 기후에서 식생의 감소가 일어난 면적($22,372km^2$) 보다 식생의 성장을 보인 면적은 $730,325km^2$ 로서 식생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도대 별 면적 분석을 통해 위도 $62^{\circ}$ N의 주위와 위도 $64^{\circ}$ N~$66^{\circ}$ N을 중심으로 면적 증가가 나타났으며, 툰드라-타이가 경계영역의 식생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전반적인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식생 감소가 일어나는 면적 변화는 다소 적은 것에 비해 식생의 성장과 발달이 일어나는 곳의 면적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양 산불지역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식생회복의 영향 (Effects of Vegetation Recovery for Surface Runoff and Soil Erosion in Burned Mountains, Yangyang)

  • 신승숙;박상덕;조재웅;이규송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B호
    • /
    • pp.393-403
    • /
    • 2008
  • 양양 산불 피해 지역 당해년도의 극심한 지표 변화에 따른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을 분석하기 위해 산불 산지사면에 10개의 소규모 조사구를 설치하여, 지형, 토양, 식생, 강우사상별 유출 및 토양침식량을 측정하였다. 조사는 총 15개 단일강우사상을 기준하여 이루어졌다. 산불이후 식생회복이 빠른 지역과 그렇지 않은 사면의 유출 및 토양침식량은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식생회복이 빠른 조사구들은 대조구보다 약 2배 많은 평균 유출량 및 토양침식량을 나타냈으나, 나지상태 조사구들에서는 대조구의 약 10배 이내의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되었다. 지표유출 및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 인자들과의 상관분석에 의하면 강우인자 및 식생인자는 유출과 토양침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유출 및 토양침식 민감도는 식생지수들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산불에 의해 교란된 지표식생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회복되고, 산불초기에 다량의 토사유출이 발생된 이후 사면 토양의 안정화에 따라 전반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식생회복이 안되거나, 식생회복이 더딘 지역은 지속적으로 유출 및 토양침식이 발생하기 때문에 산불 지역별로 차별화된 대응전략 수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