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distribution

검색결과 1,012건 처리시간 0.023초

하천 미지형 및 하상저질에 따른 갯버들과 달뿌리풀군락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according to Micro-landforms and Substrates of the Stream Corridor)

  • 전승훈;현진이;최정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8-68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x gracilistyla and Phragmites japonica communities known as obligatory riparian species according to physical factors such as micro-landforms, substrates, etc., at Soo-ip stream corridor. Firstly four vegetation types - Salix gracilistyla dominant type, Phragmites japonica dominant type, mixed type of two species, and mixed type of two species to other species,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UPGMA-Euclidean distance. Also these vegetation types showed many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s in response to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view along the stream corridor and substrate composition. Salix gracilistyla was major component of dominant vegetation types developed at attack point of bending reach and on substrates composed of rock fragments, but contrastly Phragmites japonica was most important component of dominant vegetation types at point bar of bending reach and floodplain, and on substrates composed of soil materials. Secondly the species and environment biplot form CCA strongly supported the vegetation types divided by classification. Namely Salix gracilistyla was closely correlated with rock fragments and steep slope, which is resistant to physical action even though located near running water. But Phragmites japonica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oil particles sedimented at floodplain by divergent flow.

  • PDF

탄천 하도사주의 지형 형성과정과 식생분포 연구 (A Study of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Sand-bars on the Tan-cheon River)

  • 최미경;이삼희;최정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6-105
    • /
    • 2010
  • 본 연구는 하천 경관요소 중에서 비교적 단시간에 걸쳐 변화하는 사주 지형과 식생 분포의 역동적 형성과정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 대상 하천은 2002년 이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관리되고 있는 탄천 하류부 구간이다. 이를 위해서 사주지형의 변화는 항공사진과 경관사진을 통해 그 형성과정을 파악하고 현재 사주 지형 위에 형성된 식생의 분포를 현장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후반에 직강화 되었던 하도 내에서 1990년대에 들어 사주의 발달이 현저하여 다양한 형태의 사주가 형성되었고 이는 지속적으로 변화하였다. 초기에 사주가 형성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하도 내 흐름 특성에 따라 사주의 면적과 높이가 변하였다. 둘째, 식생의 분포에 있어서는 물과 접촉 빈도가 높은 하안부는 교란의 정도가 심하기 때문에 무식생 상태이거나, 간헐적인 식생이 분포하여 피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고수부지 쪽으로 형성된 사주에는 목본류나 정수식물군락이 활착되면서 식생 피도가 높게 나타나 안정식생역을 형성하였다. 셋째, 사주와 식생형성과정의 관계는 사주의 형태와 식생의 안정성 여부에 따라 저수로변 사주, 불안정 식생 저수로변사주, 안정식생 하중주 그리고 불안정식생 하중주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밝힌 하도 내 사주와 하천식생의 형성과정에 있어서의 상호관계는 모래하상의 하천부지에서 식물종이나 식재위치 선정에 유용할 것이나, 하천생태계 복원을 위한 실행사업의 식재 지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하천에 대한 보다 폭 넓은 사례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Feasibility of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for monitoring desertification in Bulgan, Mongolia

  • Yu, Hangnan;Lee, Jong-Yeol;Lee, Woo-Kyun;Lamchin, Munkhnasan;Tserendorj, Dejee;Choi, Sole;Song, Yongho;Kang, Ho Duck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21-629
    • /
    • 2013
  • Desertification monitoring as a main portion for understand desertification, have been conducted by many scientists. However, the stage of research remains still in the level of comparison of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 In other words, monitoring need to focus on finding methods of how to take precautions against desertification. In this study, Vegetation Temperature Condition Index (VTCI), derived from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was utilized to observe the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 The index can be used to monitor drought occurrences at a regional level for a special period of a year, and it can also be used to stud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rought within the region. Techniques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ere combined to detect the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 with VTCI. As a result, assuming that the moisture condition is the only main factor that affects desertification,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Bulgan, Mongolia could be predicted in a certain degree, using VTCI. Although desertification is a complicated process and many factors could affect the result. This study is helpful to provide a strategic guidance for combating desertification and allocating the use of the labor force.

한반도 하구에 분포하는 식생(염생식물 군락)과 환경요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Halophyte Communites)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Estuaries in Korea)

  • 성낙필;문정숙;김종학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19-34
    • /
    • 2022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수행 중인 하구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연구용역의 일부이며, 2016년~2018년까지 수행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5개의 하구 중 식생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25개 지점을 제외한 300개 하구에서 총 187개의 식물군락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염생식물 군락은 53개로 28.3%였다. 하구순환 유형에 따라서는 열린하구에서 41개, 닫힌하구에서 26개 염생식물 군락이 확인되었다. 분포하는 식생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상관분석(CCA) 결과 수질요인에서는 염도(전기전도도) 및 T-N, T-P 농도가 상관성이 강했으며 하상재료 요인 중에서는 Silt, Sand, Pebble 구성비율이 가장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한반도 해안 하구에 분포하는 염생식물 군락의 분포 특성은 해역, 하구순환 유형, 염도에 대한 내성, 하상재료 분포 비율 등에 따라 각 우점종의 입지가 차별화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강화 동검도 염습지 식생의 대형저서동물군집 분포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형곤;윤건탁;박흥식;홍재상;이재학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2호
    • /
    • pp.115-128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benthic distribution pattern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alt marsh vegetation in Donggeomdo, Ganghwa on the west coast of Korea. Nine stations were fixed on a transect across the salt marsh vegetation, and field sampling was carried out monthly from July 1997 to June 1998. A total of 38 species of macrobenthos were recorded: each of faunal groups, 13 (34.2%) Arthropoda, 12 (31.6%) Polychaeta, 8 (21.1%) Mollusca, and 5 (13.2%) others. The mean density was $2,659individuals/m^2$, with a mean biomass of $178.6gWWt/m^2$. Mollusca dominated in terms of abundance and biomass, with a mean density of $2,172individuals/m^2$ (81.7%) and a mean biomass of $131.9gWWt/m^2$ (73.9%). The number of species decreased in winter (January-February), while mean density increased in the spring (May-June). The biomass was relatively in Summer and Fall (July-November), than any other season.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pure stands of Suaeda japonica in the lower salt marsh vegetation, and the mean density and biomas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Two Mollusca, the bivalve Glauconome chinensis and gastropod Assiminea lutea, were dominant. The densities of these two species were high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in the middle salt marsh vegetation.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show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four groups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idal levels and halophytes. Spearman's rank correlation revealed that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ere related to environment variables such as salinity of the substrates, exposure time, and grain size compositions of the sediment in the salt marsh vegetation. Particularly,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some dominant species showed differences along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halophytes.

Mapping Vegetation Volume in Urban Environments by Fusing LiDAR and Multispectral Data

  • Jung, Jinha;Pijanowski, Brya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1-670
    • /
    • 2012
  • Urban forests provide great ecosystem services to population in metropolitan areas even though they occupy little green space in a huge gray landscape. Unfortunately, urbanization inherently results in threatening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the recent urbanization trends drew great attention of scientists and policy makers on how to preserve or restore green infrastructure in metropolitan area. For this reason, mapp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green infrastructure is important in urban environments since the resulting map helps us identify hot green spots and set up long term plan on how to preserve or restore green infrastructure in urban environments. As a preliminary step for mapping green infrastructure utilizing multi-source remote sensing data in urban environm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ap vegetation volume by fusing LiDAR and multispectral data in urban environments. Multispectral imageries are used to identify the two dimensional distribution of green infrastructure, while LiDAR data are utilized to characterize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identified green structure. Vegetation volume was calculated over the metropolitan Chicago city area, and the vegetation volume was summarized over 16 NLCD classe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vegetation volume varies greatly even in the same land cover class, and traditional land cover map based above ground biomass estimation approach may introduce bias in the estimation results.

미기상 수치모의를 위한 다층식생모델의 식생 팍라메타가 바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getation parameter characteristics of the multi-layer vegetation model on wind for numerical simulation of micro-meteorology)

  • 오은주;이화운;정용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05-613
    • /
    • 2003
  • In order to make use of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by the vegetation, it examined whether it should make what vegetation form and arrangement using the 2-dimensional non-hydrostatic model. When the foliage shielding factor increases, it becomes hard to take in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in a residential section. When it makes height of vegetation high, it becomes hard to take in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with height. In the comparison in the case where vegetation high is gradually made low toward wind-stream from a vegetation, and the case of making it low gradually, although former tends to receive the protection effect against wind by the vegetation, attenuation of wind velicity becomes large. In the comparison in the case where foliage shielding factor and distribution of density of leaf are gathered gradually toward wind-stream from a vegetation. It has been understood to evaluate to height the influence that the vegetation multi-layer model by which the heat revenue and expenditure in the direction of the vegetation height is considered is used, and to characterize the vegetation group by the parameter setting.

염포산 산림식생의 군락 구조 및 공간 분포의 경시적 변화 (Changes Over Time in the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on Mt. Yeompo, Ulsan City, South Korea)

  • 오정학;김준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2호
    • /
    • pp.145-156
    • /
    • 2020
  • 울산광역시의 대표적인 고립된 도시숲인 염포산을 대상으로 2000년과 2018년에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그 구조, 조성 및 공간 분포 변화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총피도(/100㎡)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자연식생에서는 약 9%의 증가율을 보였다. 구성종의 중요치는 그 순위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변화가 있었으며 난대성 수종인 비목나무와 오염내성이 강한 때죽나무가 각각 835%, 269%의 매우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종풍부도(S)와 종다양도(H')는 각각 약 22%, 약 8%의 감소율을 보였는데 주로 하층 식생 발달에 따라 임상 식생 구성종이 자연 감소한 결과로 판단되며 모두 인공식생이 자연식생에 비해 다소 높은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생활형 조성 체계는 2000년과 2018년 모두 'MM-R5-D4-e'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전체 산림식생의 유사도(Jaccard 계수)는 약 75%로 종구성적 특성이 거의 동질적으로 나타났다. 지표종은 2000년 16종에서 2018년 7종으로 9종이 감소하였으며 대부분 교란에 민감한 반지중식물(H), 지중식물(G) 그리고 일년생식물(Th) 등 초본식물이었다. 상관식생 유형 간 공간 분포 면적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산림경관 요소인 패치(patch)의 개수는 2000년 537개에서 2018년 721개로 약 25%의 증가율을 보인 반면, 그 평균 크기는 2000년 1.28 ha에서 2018년 1.03 ha로 약 20%의 감소율을 보였다.

NOAA-AVHRR data를 이용한 증발산량추정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using NOAA-AVHRR data)

  • 신사철;택본정수;김치홍
    • 물과 미래
    • /
    • 제28권1호
    • /
    • pp.71-80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NOAA-AVHRR data 를 이용하여 광역 지표면에서의 증발산량과 그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는 것이다. 증발산을 지배하는 많은 인자들은 그 점의 식생조건에 의해 잘 반영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점의 식생의 량과 활성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지표로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NOAA data로부터 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NDVI의 계절변화로부터 한반도의 개략적인 피복상황을 분류하고, NDVI의 histogram과 증발산량과의 상관관계로부터 한강유역에 있어서의 증발산량과 그의 공간분포를 구하였다.

  • PDF

실험수로에서 식물군락에 의한 유사거동 양상에 관한 실험적 고찰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eam Vegetation and Sediment Transport by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 이삼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753-76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치수안전도의 정확한 평가는 물론 자연환경에 대한 평가에 중요한 하천식물군락에 주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천식물군락과 유사거동에 따른 하도변화와의 상관관계의 규명에 관심을 두었다. 하도수리학 관점에서 하천내 식생분포 특성에 대한 하도현장을 조사한 결과, 하도변화를 야기하는 여러 물리적 요인이 있지만, 하천식생에 의한 하도변화, 특히 하천식물군락에 의한 유사퇴적이 하상변동을 야기시키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수리학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하상경사 1/200인 자갈하천에 우점하는 달뿌리풀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의 내용은 평균입경 0.3 mm의 소류사를 총 1 시간동안 27 kg을 균등하게 공급한 결과, 거의 동일한 수리량 조건하에서 식물군락의 밀도와 배치에 따라 흐름의 변화와 퇴적/세굴양상이 분명히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도내 퇴적 및 세굴이 하천식물군락의 분포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하천식물군락과 유사거동에 따른 하도변화는 상호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