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검색결과 4,920건 처리시간 0.037초

산림식생유형에 따른 조류 종다양성 분석 (Bird Species Diversity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 박인환;김유훈;조광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3-52
    • /
    • 2012
  • For this paper, a study targeting 9 forest patches in Dangjin to suggest for the wild birds, was conduc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wild birds and the forest vegetation was analyzed, and the patterns of forest veget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pecies diversity were suggested by classifying wild birds and foraging guild by the type of forest vegetation.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ld birds emerged, more species and bigger population appeared in the vegetation type of mixed stand forest where the natural deciduous broadleaf trees and evergreen needleleaf trees coexisted in the large scale vegetation area. Thus, it was known that the advent of summer migratory birds and resident birds were affected the most by forest patches and vegetation types. As for foraging guild, the larger the forest paches the more the species and the population of the wild birds inhabiting in shrubs and bushes.

Analysis of Some Desert Ecosystems Vegetation in Abu Dhabi Emirate, United Arab Emirates. Effect of Land Use

  • Mousa, Mohamed Taher;Ksiksi, Taoufik Sala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49-55
    • /
    • 2009
  • The present study analyses the effect of land use on the vegetation of some desert ecosystems in Abu Dhabi, United Arab Emirates (UAE). Three sites were selected to represent different types of land use, inside Umm Al-Banadeq forest, outside the forest and along Abu Dhabi-Al Ain Trucks Road. In total, fifty-two stands were examined; including a matrix of 14 species ${\times}$ 52 stands. Based on species cover data, stands were classified using TWINSPAN and ordinated using DCA. Four vegetation groups were generated at level three of classification. Zygophyllum mandavillei was dominant in most vegetation groups; Heliotropium bacciferum dominated vegetation groups inhabited the forest. Species richness, species turnover, relative evenness and relative concentration of dominance of forest vegetation groups were 2.8, 5.7, 0.7, and 2.0,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both natural variability and forestry-induced changes, including change in land use, drainage and ploughing and shading by trees. Vegetation group inhabited Abu Dhabi-Al Ain Trucks Road, that were dominated by Haloxylon salicornicum and Zygophyllum mandavillei have high total cover (8.8 m per $m^{-1}$). Most community and vegetation attribu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side the forest than outside. Human interven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these communities.

  • PDF

자연환경에 대한 주민의 평가와 평가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ident's Evaluation on Natural Environment and the Evaluation Factors)

  • 이동근
    • 환경영향평가
    • /
    • 제6권1호
    • /
    • pp.67-7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sidents' evaluation on valuable animal and vegetation and the naturality of vegetation seen near regional environment. With this purpos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focusing on area of types of vegetation and species of big trees were made in 30 points of midstream of Tama River, Tokyo, Japan.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based on basin environment units in order to be reflective of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its flora and observed the covering area of each points and types through the aerial photograph. In addition, the species of big trees in habitat were listed by the survey. Results as below came out by analyzing the outcome of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vegetation survey by multiple regression. First, residents are most likely not to distinguish precisely betwee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of vegetation. Both of the researches are apt to be influenced by quantitative factors of vegetation. Second, residents are assumed to consider forest of big trees, inhabitant of groups of big trees, highly natural.

  • PDF

工業地域과 中心地의 階層化方法에 關한 檢討

  • 최기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9권
    • /
    • pp.67-75
    • /
    • 1974
  • 본 연구는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북한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지역을 대상으로 식생활력도(vegetation activity)의 시계열적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식생지수의 연중변화 특성을 이용하여 한반도의 식생 분포도를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7년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NOAA-14 위성에서 수신된 AVHRR 자료를 수집하여 정규 식생지수(No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를 구하고 이들을 MVC(Maximum Value Composite) 방법으로 조합하여 월별 NDVI 합성도를 작성하여 식생활력도의 시계열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생장시기인 5월부터 10월까지의 NDVI를 무감독 분류하여 한반도의 식생분포 유형을 도시.나대지가 4.49%, 초지 4.49%, 경작지 27.54%, 활엽수림 25.61%, 침엽수림 38.22%로 나타났다.

  • PDF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사용한 무시멘트 다공성 식생콘크리트의 물리·역학적 특성 및 동결융해저항성 평가 (Physical, Mechanical Properties and Freezing and Thawing Resistance of Non-Cement Porous Vegetation Concrete Using Non-Sintering Inorganic Binder)

  • 김황희;김춘수;전지홍;박찬기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5호
    • /
    • pp.37-44
    • /
    • 2014
  • The physical, mechanical and freezing and thawing properties of non cement porous vegetation concrete using non-sintering inorganic binder have been evaluated in this study. Four types of porous vegetation concrete according to the binder type is evaluated. The pH value, void ratio, compressive strength,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properties were tested. The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physical, mechanical and repeated freezing and thawing properties of porous vegetation concrete using the non-sintering inorganic binder is increased or equivalent compared to the porous vegetation concrete using the blast furnace slag + cement and hwang-toh + cement binders. Also, Vegetation monitoring test results indicate the porous vegetation concrete using the non-sintering inorganic binder have increasing effects of vegetation growth.

지하수위와 연계된 습지 식생의 비선형 동역학 (Non-linear dynamics of wetland vegetation induced by groundwater table)

  • 이옥정;김상단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2-139
    • /
    • 2019
  • 식생과 지하수위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은 습지 식생의 동역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습지 식생의 비선형 동역학이 분석된다. 지하수위에 대한 영향은 습지 식생의 지배방정식에서 손실 항으로 설명되며, 지하수위 변화에 따라서 습지 식생이 어떻게 서로 다른 두 개의 안정적인 상태로 수렴될 가능성이 있게 되는지를 살펴보게 된다. 이러한 개념적 접근법으로부터 지하수위 변화에 따라 현재 습지에 존재하는 식생이 소멸되어 다른 식생 종으로 안정화되는 대변환에 대한 취약성이 분석된다.

Soil water retention and vegetation survivability improvement using microbial biopolymers in drylands

  • Tran, An Thi Phuong;Chang, Ilhan;Cho, Gye-Chu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5호
    • /
    • pp.475-483
    • /
    • 2019
  • Vegetation cover plays a vital role in stabilizing the soil structure, thereby contributing to surface erosion control. Surface vegetation acts as a shelterbelt that controls the flow velocity and reduces the kinetic energy of the water near the soil surface, whereas vegetation roots reinforce the soil via the formation of root-particle interactions that reduce particle detachment. In this study, two vegetation-testing trials were conducted. The first trial was held on cool-season turfgrasses seeded in a biopolymer-treated site soil in an open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test, the most suitable grass type was suggested for the second vegetation test, which was conducted in an environmental control chamber. In the second test, biopolymers, namely, starch and xanthan gum hydrogels (pure starch, pure xanthan gum, and xanthan gum-starch mixtures), were tested as soil conditioners for improving the water-holding capacity and vegetation growth in sandy soils. The results support the possibility that biopolymer treatments may enhance the survival rate of vegetation under severe drought environments, which could be applicable for soil stabilization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평창 두타산 산림식생의 군집유형과 입지환경요인의 상관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Unit and Environment Factor in Forest Vegetation of Mt. Dutasan, Pyeongchang-gun)

  • 이정은;신재권;김동갑;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275-287
    • /
    • 2017
  • 본 연구는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구조를 밝히고, 식생유형분류와 입지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6년 6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인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수행하여 총 46개소의 식생자료를 획득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식생분류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으로 분류되었으며, 신갈나무군락군은 철쭉군락과 거제수나무군락의 2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철쭉군락은 동자꽃군과 철쭉전형군 2개의 군으로 세분되었고 동자꽃군은 박새소군과 동자꽃전형소군 2개의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거제수나무군락은 들메나무군과 박달나무군 2개 군으로 세분되었다. 들메나무군은 병꽃나무소군과 승마소군 2개 소군으로 세분되었다. 두타산 일대 산림식생은 총 6개의 식생단위, 14개의 종군단위, 2쌍의 대별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수관층위구조의 분석결과, 식생단위별로 임관의 계층이 서로 겹치지 않는 단조로운 구조인 박새소군(식생단위 1), 동자꽃전형소군(식생단위 2), 병꽃나무소군(식생단위 4)과 겹치는 복잡한 구조인 철쭉전형군(식생단위 3) 승마소군(식생단위 5),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이 나타났다. 승마소군(식생단위 5)의 수직적 계층구조가 가장 발달하였으며, 박달나무군(식생단위 6)은 초본층 식피율이 가장 낮았다. 일치법에 의한 식생단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 1,100 m, 사면 중부, 경사 $20^{\circ}$, 암석노출도 20%, 교목층 DBH 30 cm를 기준으로 철쭉군락(식생단위 1~3)과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이 분류되었다. CCA 분석 결과 철쭉군락(식생단위 1~3)은 해발, 지형과 정의 상관관계, 거제수나무군락(식생단위 4~6)은 부의 상관관계 분포경향이 나타났다.

내연산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생태학적 연구 - 남쪽 지역을 중심으로 - (Synecological Stud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Pohang City, Korea - Focusing on the Southern Area -)

  • 김학윤;김준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8-328
    • /
    • 2017
  • 내연산일대 산림식생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총 149개의 표본조사구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식생유형을 구분하고 그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은 종조성 측면에서 총 10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2개 군락군, 4개 군락, 6개 아군락 그리고 6개 변군락의 단위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상층 우점종에 의한 상관식생은 총 19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 중 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망개나무군락, 헛개나무군락 등 18개 유형 그리고 인공식생은 일본잎갈나무림 1개 유형이었다. 구성종의 중요치 분석 결과 잠재자연식생 요소인 신갈나무가 다른 구성종에 비하여 대부분의 임분에서 상대적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 인위적 간섭이 없는 한 일부 입지를 제외하고 대부분 신갈나무군락으로의 변화가 예상되었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해 1/5,000 대축척 현존상관식생도를 작성한 결과, 자연식생이 9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식생 패치수는 733개 그리고 패치당 평균면적은 3.93ha로 나타났다.

백두대간 지리산권역(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의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 및 군집 특성 (Phytosociologic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Maruguem (the Ridge Line) Area of Mt. Jirisan (Yuksipryeong to Cheonwangbong), the Baekdudaegan)

  • 송주현;김호진;이정은;조현제;박완근;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1호
    • /
    • pp.19-35
    • /
    • 2022
  • 본 연구는 국토의 생태축이라고 할 수 있는 백두대간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하고자 실시되었으며, 식물사회학적 유형분류를 통해 종조성을 파악하고 식생단위별 군집 특성을 파악하였다. 백두대간(육십령-천왕봉 구간) 마루금 주변을 대상으로 2020년 5월부터 9월까지 총 373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9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정성적 식생유형분류를 정량적 DC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중요치 분석 결과, 아고산지대에 자생하는 종조성으로 묶인 식생단위 1-5는 구상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사스래나무 등 아고산식생 위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해발고도가 높지 않은 마루금에서는 능선 위주의 지형 특성상 소나무, 졸참나무 등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평균해발고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구상나무군락(식생단위 1-5)이 다른 식생단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NMS 결과 및 환경인자와의 상관분석 결과, 식생단위 1, 2, 4, 5와 해발고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 비목군락의 저해발 지역 식생부터 구상나무군락, 가문비나무군과 같은 고해발 지역 식생까지 모두 포함되었고 습윤한 지역의 계곡부 식생이 포함되지 않은 백두대간의 능선 식생을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