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ctor bundle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18초

PSEUDO-UNIVERSAL SPACES OF VECTOR BUNDLES

  • SOHN, KYU-HYUN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41-60
    • /
    • 1981
  • 다양체(多樣體)의 연구(硏究)에서 벡터속(束)의 개념(慨念)은 불가결(不可缺)하며 벡터속(束)의 연구(硏究)에는 엽층구조(葉層構造)의 연구(硏究)가 중요(重要)하다. 본(本) 논문(論文)은 권(圈) $\varrho$(M)의 응사보편공간(凝似普遍空間)에 관한 연구(硏究)(정리(定理) 4.8)로서 R. Bott의 엽층구조(葉層構造)에 관한 연구(硏究)([1])에서 착상(着想)된 것이다. 제이(第二), 삼절(三節)은 제사절(第四節)을 위한 준비(準備)로서, 제이절(第二節)에서는 벡터속(束)및 접속(接續)에 관한 성질(性質)을 논하고, 제삼절(第三節)에서는 위상권(位相圈), 층(層), 엽층구조(葉層構造) 및 $\Gamma_{q}$-cocycle 등에 관한 성질(性質)(명제(命題) 3.5, 3.7과 3.11)을 밝히고, 위상권(位相圈)의 구체적(具體的)인 예(例)(예(例)3.2, 3.3과 3.12)를 들었다. 제사절(第四節)에서는 $GL_{q}-cocycle$, 위상권(位相圈) $GL_{q}$, 집합(集合) $I_{so}(M_{k},\;GL_{q})$, $H^{1}(M_{k},\;GL_{q})$, $I_{so}(\varrho(M))$ 및 응사보편공간(凝似普遍空間)을 정의(定義)하고, 주정리(主定理) 4.8의 증명(證明)에 필요(必要)한 명제(命題)를 몇 개 기술(記述)하였다(명제(命題) 4.2, 4.5와 보제(補題) 4.9).

  • PDF

적외선 온도감응기를 장착한 마이크로파 고정기에 의한 생체조직 고정효과와 조직화학적 특성 (Fixation and Histochemistry of Biological Tissues Using the Microwave Fixator Equipped with Infrared-Temperature Sensor)

  • 신길상;민소연;김완종;손태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17-425
    • /
    • 1995
  • 적외선 온도 감응기를 장착한 기존의 마이크로파 고정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주변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고정기를 개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흰쥐의 혀, 췌장 및 소장을 고정(물리고정)한 후 몇 가지 염색법을 적용하여 염색성을 관찰하였고, 췌장의 내, 외분비 세포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단백질의 양과 bands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결과들을 통상적인 화학고정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마이크로파에 의한 생체물질의 고정효과를 검증하고 조직화학에 응용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흰쥐 혀의 횡단면을 H-E 염색하였을 경우, 두 고정법에서 염색성은 유사하였으나 물리고정에 비해 화학고정에 의한 관찰된 조직은 근육층의 분리가 관찰되었다. 췌장조직을 Feulgen 반응을 이용하여 염색하였을 경우, 물리고정한 군에서 반응산물이 보다 명확하게 관찰되었으며, 십이지장 융모에서 PAS 반응에 의한 염색성도 물리고정의 경우에서 배상세포에 특이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물리고정을 한 후 짧은 시간동안 2차로 화학고정했을 경우, 췌장 내, 외 분비세포들의 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는 막 구조 및 세포기관이나 분비과립등의 보존상태 등에서 통상적인 화학고정법의 결과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물리고정한 시료의 질과 염색성이 우수하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단백질 함량을 조사한 결과, 물리고정시 단백질의 추출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마이크로파로 생체조직을 고정할 경우 대부분의 단백질들의 불용성화가 일어남으로써 미세구조의 고정 및 염색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상에는 반드시 rosy transformant의 염색체 삽입에 의해서 만이 아니라 세포질내에서도 construct내의 rosy 유전자의 발현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형질전환율에 있어서는 Pc[(ry+)B]와p[(ry+)$\Delta$SX9] construct 간에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험 목적에 따라 자율적인 P element 또는 helper DNA를 이용한 비자율적인 P element를 효과적인 vector 로 선택 이용함으로써 특정 유전자를 곤충집단내로 침투 및 고정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