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bn

검색결과 628건 처리시간 0.019초

시판새우젓 종류별 이화학적ㆍ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hrimp)

  • 오상희;성태화;허옥순;방옥균;장해춘;신현수;김미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06-1012
    • /
    • 2004
  • 시판되는 새우젓을 종류별(오젓, 육젓, 추젓, 자하젓, 새하젓), 제조자별(재래, 기업), 원산지별(국산, 중국산, 베트남산)로 구입하여 그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기업 새우젓은 염도, VBN및 AN등 이화학적 특성들이 제품별로 거의 일정하였던 반면, 재래 새우젓은 제품별로 차이가 많았다. 기업 새우젓은 재래 새우젓에 비해 염도가 높았던 반면, VBN 및 AN 함량은 낮은 경향을 나타내 낮았다. 재래새우젓은 그 종류별로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대체적으로 기업 새우젓보다 VBN 및 A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새우젓의 VBN 및 AN 함량의 차이는 새우의 어획 및 제조시기의 차이에 따른 차이보다는 그 숙성 정도의 차이로 사료된다. 수입산 추젓의 경우 다른 새우젓에 비해 높은 염도와 낮은 VBN, AN 함량을 보였다. 육젓의 L값과 b값이 높은 반면, 자하젓, 새하젓은 a값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재래 새우젓은 기업 새우젓에 비해 외관의 수용도는 낮았으나, 감칠맛, 전반적인 맛, 전반적인 수용도의 점수가 높았다. 새우젓의 종류별로 볼 때, 재래 및 기업 새우젓 모두에서 육젓의 관능평가 점수가 높았으며, 자하젓과 새하젓은 전반적인 맛 및 감칠맛 정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 PC1에 대해 재래 새우젓에서는 각각 새하젓, 오젓, 자젓이 기업새우젓에서는 육젓이 그리고 주성분 PC2에 대해서는 재래새우젓의 경우 자젓, 육젓이 기업새우젓에서는 추젓이 양의 방향으로 부하 되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수용도와 가까이 위치한 이화학적 특성으로는 재래새우젓에서는 a값, TBA, AN값이었으며, 기업새우젓에서는 L값과 b값이었다.

저장유통 조건에 따른 오징어 품질예측 모델링 (Kinetic Modeling for Predicting the Quality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during Storage and Distribution)

  • 김소이;신지영;김현석;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73-180
    • /
    • 2022
  • 오징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여러 항목 들이 있으나 현장에서 소비자 및 유통업자들의 경우 주관적인 관능평가에 의존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어류 구매의사 결정에 부패취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관능적 평가를 입증 할 수 있는 과학적인 품질인자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온도와 저장시간에 따른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과학적 품질인자로는 TVC, Pseudomonas spp., pH, VBN 으로 선정하였으며 세 가지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였다. 이취발생검지시점은 R-index를 이용해 측정하고 kinetic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모델링 결과 활성화 에너지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이 51.210 kJ/mol, TVC는 42.888 kJ/mol, Pseudomonas spp.는 50.283 kJ/mol, VBN은 72.594 kJ/mol, pH는 41.990kJ/mol 으로 나타났다. Pseudomonas spp., TVC, pH, VBN 순으로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에 근사하였으며, 특히 Pseudomonas spp.는 이취발생검지 시간의 활성화 에너지와 가장 유사하였다. 따라서 오징어의 이취발생 indicator는 이취발생시간과 가장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는 Pseudomonas spp.로 판단 할 수 있었다.

냉면육수의 보존중 겨자의 첨가효과 (Effects of Mustard Seed (Brassica juncea) during Preservation of Soup for Naengmyon)

  • 서권일;강갑석;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1-56
    • /
    • 1997
  • 겨자의 항균성 및 식품보존제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겨자의 첨가에 따른 냉면육수의 보존 중 그 효과를 조사하고, 대장균의 형태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겨자를 첨가시킨 냉면육수의 적정산도는 처음에 겨자 무첨가 육수에 비하여 높았으나 24시간 보존 후에는 겨자 무첨가 육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겨자 첨가 냉면육수의 생균수 및 대장균수는 처음에 겨자 무첨가시보다 감소하였으며, 겨자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폭이 크게 나타났고, VBN 함량은 보존기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고, 겨자가 첨가된 냉면육수가 겨자 무첨가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겨자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더욱 낮게 나타났다. 겨자 물추출물로 처리한 대장균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균체표면이 수축되고 표층구조가 허물어져 심한 형태학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hermal Properties of Muscle Proteins and Pork Quality

  • Kuo, Hsiu-Lan;Chen, Ming-Tsao;Liu, Deng-Cheng;Lin, Lieh-Ch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427-43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erformed as model study using four animals to investigate the correction between the changes i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rmogram of muscle proteins during storage and meat freshness. M. longissimus dorsi of pork was obtained immediately after slaughter and chilled/stored at either $-2^{\circ}C$ or $25^{\circ}C$ for up to 96 h for analyses. DSC thermogram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pH values, ATP-related compounds, K-value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levels, bacterial counts and electrophoretic behavior. Changes in pH, bacterial counts, VBN and K-value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The levels of pH values, bacterial counts, VBN and K-values of pork samples stored at $25^{\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ork samples stored at $-2^{\circ}C$. ATP concentration decreased faster in samples stored at $25^{\circ}C$. Only IMP increased in samples stored at $-2^{\circ}C$,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hypoxanthine and inosine increased in samples stored at $25^{\circ}C$. One exothermic peak and two endothermic peaks appeared on the thermograms of pork stored at either temperature. Lower transition temperature of myosin, sarcoplasmic protein and actin peaks were observed. The freshness parameters of K-value, VBN and hypoxanthine showed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0.742- -0.9980) to the changes in transition temperature. Therefore, the shift temperature on DSC thermogram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freshness parameters of meat.

굴 조미 젓갈 제품의 숙성 중 품질 변화에 관한 연구 (The Processing of Seasoned and Fermented Oyster and Its Qulaity Changes during the Fermentation)

  • 이헌옥;이성갑;이성;김동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81-87
    • /
    • 2001
  • 굴을 대상으로 조미 양념 젓갈(salt-fermented oyster)과 전통적인 게장의 제조법을 이용한 젓갈 제품(oyster in soy sauce)으로 새로운 형태의 젓갈을 제조하여 각각 진공 및 무진공 상태로 저장하면서 숙성 형태별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성분의 변화를 살펴 보았다. 굴 젓갈에 있어서 pH는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감소했으나, 아미노태 질소(AN)와 휘발성 염기 질소(VBN)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함량에 있어서는 AN의 경우 진공 숙성시에, VBN은 무진공 숙성시에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는 어느 정도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은 비슷하나 진공 숙성에 비해 무진공 숙성시에 더 현저하였다. 총 구성 아미노산에 있어서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진공의 경우 함량이 증가했거나 감소한 경우라도 무진공 숙성시에 비해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무진공 숙성시보다 진공 숙성시 숙성이 지연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숙성 지연으로 인한 젓갈의 품질 유지 기간의 연장에도 진공 숙성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되었다.

  • PDF

Soybean koji와 Rice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액젓의 상온 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변화 (Changes in the Physiochemical Quality of Sailfin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Sauces Fermented with Soybean Koji or Rice Koji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 전준영;임영선;이미향;김병목;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01-108
    • /
    • 2016
  •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hysiochemical quality of sailfin sandfish sauces fermented with two kojis during long-term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ur fish sauces, including a control, were prepared by salt-fermentation with soybean koji (S-koji) or rice koji (R-koji) after autolysis. During storage, for 12 months, the color and levels of amino acids, total volatile base nitrogen (T-VBN) and organic acids but not moisture, salt or total nitrogen levels or pH differed markedly according to fish sauce type. The total nitrogen level was highest in S-koji,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increase in amino acid levels among the four fish sauces during storage. The T-VBN, of autolysis and S-koj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R-koji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P<0.05). The initial organic acid level did not differ among the four fish sauces, whereas it was notably higher in R-koji than in the other sauces at the end of storage. Hunter L, a and b values decreased in all fish sauce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In conclusion, soybean koji may enhance the levels of nitrogen compounds as well as T-VBN in fish sauce, while rice koji reduced the formation of excess T-VBN and increased organic acid levels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Effects of Preheated Additiv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grass Silage

  • Yunus, M.;Ohba, N.;Tobisa, M.;Shimojo, M.;Masu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64-1567
    • /
    • 2001
  • Hydrolysis of plant protein to non-protein nitrogen (N) or ammonia can reduce quality of silage crops. Heating or non-enzymatic browning is a treatment to inhibit this hydrolysis.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heated soybean meal and molasses on the fermentation quality of napiergrass silage. The initial growth of napiergrass was harvested at 85 days of age and immediately chopped into about 1 cm length. About 700 g of the grass was ensiled into a laboratory silo (1.0 liter polyethylene container) and incubated for 30 days at room temperature ($28^{\circ}C$). No additives (control), molasses, soybean meal and molasses + soybean meal treatments were prepared. All additives were non-heated or heated in an oven at $150^{\circ}C$ for 30 minutes before ensiling. Molasses was added at 3% on the fresh weight basis and soybean meal was added at 0.5% N, respectively. After opening the silo, pH, total nitrogen (T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lactic acid (LA), acetic acid (AA), butyric acid (BA) and dry matter (DM) contents were determine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analysis of variance. Compared with control, molasses add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pH value, VBN/TN, AA and BA and increased LA production. Soybean meal addi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N and VBN/TN of silage. Both molasses and soybean meal addition significantly reduced pH value, AA, and BA and increased DM and LA contents of silage. The heating of additives was only effective to reduce VBN/TN production compared with non-heated additives in soybean meal and soybean meal with molasses addition.

카르노스산에 의한 화이트소시지의 항산화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Carnosic Acid on White Sausage)

  • 이조원;최일신;김완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9-232
    • /
    • 2013
  • 로즈마리의 주요성분으로는 carnosic acid, carnosol, rosmarinic acid, ursolic acid 등의 폴리페놀(polyphenolic)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기원의 페놀혼합물은 항산화 작용과 항균작용을 포함한 유용한 기능과 영양적인 효과에 주목을 끌고 있다. 본 연구는 로즈마리 추출물의 하나인 카르노스산을 화이트소시지 원료에 첨가한 후 실온 저장기간 동안 pH, TBARS, VBN, 전자공여능 및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카르노스산의 첨가는 무첨가구인 대조구에 비해 낮은 pH, TBARS값, 그리고 VBN값을 보여 주었으며, 높은 항산화 작용과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활성은 카르노스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카르노스산의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병원성균(E. coli KCCM 11234와 S. enteritidis KCCM 12021)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화이트소시지에 있어서 카르노스산은 천연보존제로서 충분히 이용 가능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신선도표시계를 이용한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 측정 및 품질 변화 (Use of Freshness Indicator for Determination of Freshness and Quality Change of Tofu During Storage)

  • 신희영;구경주;박상규;송경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58-162
    • /
    • 2006
  •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판정 할 수 있는 신선도표시계를 제작하여 두부의 표면에 부착하여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부패시점을 판정하기 위하여 pH, VBN, TBARS, 총균수 및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두부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신선도표시계의 반응 시점과 같은 저장 8일째에 두부는 부패초기수준에 도달하여 pH는 5.6, 총균수는 7.63 log CFU/g의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VBN, TBARS 값도 상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도 저장 8일 이후에는 이취 및 표면에 점질물 생성 및 조직의 저하 등 가식이 불가능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신선도표시계는 두부의 저장 중 신선도를 실시간으로 나타내줌으로써 두부의 유통기한 확립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쑥 분말 첨가가 등급이 다른 돼지고기로 제조한 소시지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cass Grade and Addition of Mugwort Powder on the Storage Stability of Pork Sausage)

  • 정인철;강세주;김미숙;양종범;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5-291
    • /
    • 2003
  • 도체등급과 쑥 분말의 첨가가 소시지의 저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B 등급육과 E 등급육(경산 모돈육)에 쑥 분말을 0.3% 첨가한 것과 첨가하지 않은 소시지를 제조하고, 4$\pm$1$^{\circ}C$에서 8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휘발성 염기태질소(VBN) 함량, TBARS 값, 일반세균수 및 아질산염 잔류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소시지의 pH는 B 등급육으로 제조한 소시지가 낮고,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현저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비교적 낮았다. VBN 함량은 원료육과 쑥 분말 첨가에 의한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TBARS 값은 원료육의 등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낮게 나타났다. 일반 세균수는 원료육의 등급에 의한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냉장 중 쑥 분말을 첨가한 소시지가 적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잔류량은 원료육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냉장 중 쑥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