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scular bundle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겨우살이과 식물의 형태와 기주별 흡기 특징 (Anatomy of the Korean mistletoe and their haustorial features in host plants)

  • 최경;박광우;김혁진;이재동;구자춘;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11
    • /
    • 2009
  • 한국에 자생하는 겨우살이과 4종, 겨우살이, 참나무겨우살이, 동백나무겨우살이, 꼬리겨우살이 등에 대해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과 기주식물별 2차 흡기구조의 해부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잎과 줄기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한국산 겨우살이과 4 분류군을 종과 속 수준에서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잎에서는 향축면과 배축면의 축, 중앙맥에 발달된 유관속 형태, 후벽세포의 발달 여부 등이, 줄기에서는 횡단면에서 줄기의 전체적인 형태, 큐티클층의 발달 정도, 유관속의 배열, 후벽세포와 수의 발달 여부 등이 표징형질로 조사되었다. 기주별 2차 흡기의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에서 각각 7종류 및 5종류의 기주식물을 대상으로 지상부 흡기 발달 정도, 종단면에서 2차 흡기의 모양과 플랜지 발달 여부, 기주내 침투 지역과 흡기 축의 발달 여부, 2차 흡기에서 흡기세포의 위치와 짧은 흡기 가도관의 발달 여부 등 형질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형질에서 참나무겨우살이와 동백나무겨우살이는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한편, 기주식물의 강도와 흡기의 발달 정도에 따라 2차 흡기의 전체적인 형태가 기주별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침투 지역, 흡기 짧은 가도관 세포의 발달 등 정성적인 형질들은 기주와 발달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하여 계통학적으로 의미 있는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임목(林木)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발근(幼茎揷穗発根)의 해부학적(解剖学的) 연구(研究) (Anatomical Studies on Root Formation in Hypocotyl and Epicotyl Cuttings of Woody Plants)

  • 최만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30
    • /
    • 1981
  • 임업적(林業的)로 또는 조경적(造景的)으로 이용가치(利用価置)가 높은 24속(屬) 34종(種)의 목본식물(木本植物)을 대상(対象)으로 하여 배축(胚軸) 또는 유경삽수(幼茎揷穗) 발근현상(発根現象)을 해부학적(解剖学的)으로 관찰(觀察)하였다. 사용(使用)된 재료(材料)의 제반특성(諸般特性)과 각종(各種) 실험조건(実驗條件)들의 자세(仔細)한 내용(內容)은 Table 1과 같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횡단면상(橫断面上)에서 본 외형(外形)은 원형(圓型), 타원형(楕圓形) 및 부정형(不定形) 등(等)으로 삼대별(三大別) 할 수 있으며, 또한 부정형(不定形)은 원형(圓型)에 가까운 것, 타원형(楕圓形)에 가까운 것, 4각형(角形)에 가까운 것 그리고 삼각형(三角形)에 가까운 것 등(等)으로 구분(区分)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들의 외형(外形)은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보이고 있으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적(大体的)으로 유사(類似)한 경향이었으며, 속(属)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FAA액(液)에 고정(固定)시킨 조직(組織)에서 관찰(觀察)되는 사실(事実)에 입각(立却)한다. 2.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기부(基部) 횡단면(橫断面)에서 본 유관속(維管束)은 대부분(大部分) 병립유관속(並立維管束)으로서, 배열(排列)은 6 가지의 기본형(基本形)으로 종합(綜合)할 수 있었고, 속간(属間)에는 현저(顕著)한 차이(差異)를 나타내나 동속내(同属內)의 종간(種間)에는 대체(大体)로 유례(類例)한 경향(傾向)이었으며 간혹 예외(例外)도 있었다. 3. 공시수종(供試樹種)의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아래와 같이 6가지 부위(部位)로 종합(綜合)할 수 있다. 1)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 : 측백나무(Photo. 4), 천지백(5), 아기단풍나무(6), 단풍나무(7), 은단풍나무(8), 박태기나무(16), 싸리나무(24), 일본목련(28), 함박꽃나무(29), 예덕나무(30), 고추나무(46). 2) 형성층(形成層) 및 사부조직(篩部組織) : 편백(Photo. 1), 화백 2), 자귀나무(12), 회양목(13), 박태기나무(16), 사철나무(17), 벽오동(18), 배롱나무(22), 쥐똥나무(25), 버들쥐똥나무(26), 목련(27), 일본목련(28), 예덕나무(30), 뽕나무(31), 탱자나무(33), 가시나무(40), 찔레나무(44), 때죽나무(47), 쪽동백(48). 3) 제일차방사조직(第一次放射組織) : 사철나무(Photo. 17), 때죽나무(47). 4) 엽(葉) 적(跡) : 상수리나무(Photo. 37), 갈참나무(39). 5)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 : 가중나무(Photo. 10) 6) 유합조직(癒合組織) : 밤나무(Photo. 15), 배롱나무(23), 갈참나무(39), 가시나무(41), 졸참나무(43). 4. 일반적(一般的) 경향(傾向)으로 배축삽수(胚軸揷穗)의 발근(発根)은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으로 부터, 그리고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엽적(葉跡)과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각각(各各) 시원(始源)되었다. 그러나 특수(特殊)한 예(例)로서 가중나무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피층유조직(皮層柔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시원(始源)되었으며, 벽오동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타수종(他樹種)에서의 일반적(一般的)인 양상(樣狀)과는 달리 유관속간(維管束間) 유조직(柔組織)과는 관계(関係)없이 유관속계(維管束系)의 목부외위(木部外圍)에 존재(存在)하는 사부유조직(篩部柔組織)으로 부터 근원기(根原基)가 기원(起源)됨을 볼 수 있었다. 5. 발근난이수종별(発根難易樹種別) 배축(胚軸) 및 유경삽수(幼茎揷穗)의 발근(発根)은 모두가 증류수(蒸溜水)를 채운 수관병내(水管甁內)에서 가능(可能)하였으나, 발근(発根)이 곤란(困難)한 수종(樹種)에 있어서는 대개 후막조직(厚膜組織)이나 사부섬유조직(篩部纖維組織) 등(等)이 발달(発達)하고 있어 발근(発根)이 늦어진듯 하며, 용이(容易)한 수종(樹種)에서는 그러한 조직(組織)이 없이 발근(発根)이 빨랐다. 그리고 발근난이수종간(発根難易樹種間)의 발근부위(発根部位)는 뚜렷하게 구분(区分)되지 않았고, 각수종별(各樹種別)로 다양(多樣)하였다. 6. 유관속(維管束)의 수(数)가 많은 수종(樹種)은 적은 수종(樹種)에 비(比)하여 대체(大体)로 발근(発根)이 늦었고, 배축(胚軸)의 유관속(維管束) 구조(構造)가 근계(根系)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아직 탈피(脱皮)하지 않은 단계(段階)의 삽수(揷穗)에서는 완여(完余)히 정상적(正常的)인 줄기의 유관속체계(維管束体系)를 갖춘 것에 비(比)하여 발근(発根)이 빨랐다. 발근(発根)이 더 용이(容易)하였다는 사실(事実)은 이 경우 삽수하단조직(揷穗下端組織)이 근경전이부(根茎転移部)에 접근(接近)해 있었다는 가능성(可能性)을 암시(暗示) 할 수 있다. 7. 침활엽수(針濶葉樹) 공(共)히 배축(胚軸)을 삽수(揷穗)로 사용(使用)하였을 경우엔 성숙지(成熟枝)의 삽수(揷穗)와는 달리 대체(大体)로 유관속(維管束) 부근(附近)의 유조직(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主要) 위치(位置)가 되며, 침활엽수간(針濶葉樹間)에 뚜렷한 구별(区別)이 어렵다. 8. 유경삽수(幼茎揷穗)에서는 엽적(葉跡)에서 인접(隣接)한 사부(篩部) 및 형성층세포(形成層細胞)들과 관련(関聯)하여 또는 유합조직(癒合組織)으로부터 근원기(根原基)가 형성(形成)되는 예(例)가 많으며, 배축삽수(胚軸揷穗)에서는 주(主)로 유관속간유조직(維管束間柔組織)이 근원기형성(根原基形成)의 주요위치(主要位置)가 되었다가 조직(組織)이 점차 발달(発達)되어감에 따라 그 위치(位置)가 유관속형성층(維管束形成層)으로 바꾸어져 간다.

  • PDF

A pathogen-induced osmotin-like protein gene, CAOSMl, from pepper: Differential expression and in situ localization in pepper tissues during pathogen infection and abiotic stresses

  • Hong, J.K.;Jung, H.W.;Lee, B.K.;Lee, S.C.;Hwang, B.K.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78.1-78
    • /
    • 2003
  • An osmotin-like protein (CAOSMl) gene was isolated from pepper leaves infected with the avirulent strain Bv5-4a of Xm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The cDNA encodes a polypeptide of 250 amino acids with a molecular mass of 27, 361 Da. Its amino acid sequence is highly homologous to various osmotin-like proteins from other plant species. The CAOSMl gene expression was organ- and tissue-specifically regulated In pepper plants. The CAOSMl mRNA was intensely localized in the endodermis area of root tissue and in the phloem cells of vascular bundles of red fruit tissue, but not in leaf, stem, and green fruit tissues of healthy pepper plants. Infection by X. c. pv vesintoria, Colletotrichum coccodes, or Phytopkhora capsici iinduced CAOSMl transcription in the leaf or stem tissues. Expression of the CAOSMl gene was somewhat higher in the incompatible than the compatible interactions of pathogens with pepper. The CAOSMl mRNA was prevalently localized in the phloem cells of the vascular bundle of leaf tissues infected by C. coccodes. The CAOSMl gene was activated in leaf tissues by treatment with ethylene, methyl jasmonate, high salinity, cold acclimation and mechanical wounding, but not by abscisic acid (ABA) and drou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pper CAOSMl protein functions in response to Pathogens and some abiotic stresses in pepper plants

  • PDF

Salsola속 Kranz구조내 광합성조직의 구조분화 (Structural Differentiation of Photosynthetic Tissue in Kranz Anatomy of Salsola Species)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4호
    • /
    • pp.367-374
    • /
    • 2001
  • Salsoloid Kranz구조를 지닌 다육질성의 Salsola komaravii의 두 단계 잎의 광합성 엽육조직에 대하여 LM 및 TEM에 의한 구조적 분화발달 양상을 연구하였다. 수분저장조직을 둘러싸는 내부 유관속세포층 및 외부 엽육세포층으로 구성된 두 층의 광합성조직은 어린 잎에서는 연결되어 발달하나 성숙한 잎에서는 불연속적으로 발달하였다. 중앙의 유관속 외 다수의 미세맥들은 대개 내부 유관속세포층과 접하여 형성되며 발달초기에는 이 두 세포층의 구조적 차이는 뚜렷하지 많았다. 이들 엽육조직이 신장 발달하면 franz구조 내 내부 유관속 세포층과 외부 엽육세포층은 세포형태, 세포소기관의 분포, 엽록체의 내부 특성, 세포벽의 비후, 원형질연락사의 발달양상 등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이며 구조적으로 분화하였다. 특히 이들이 지닌 엽록체의 미세구조 및 원형질 연락사 등의 특성은 생화학적으로 알려진 NADP-ME 유형과 거의 일치하였다. 이들은 세포특이성을 나타내는 C-4 광합성 효소의 발현양상을 조사하는 세포 면역화학법과 접목되어 연구될 것이다.

  • PDF

대화형대두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Growth Habi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sciated Soybean, var. Buchai-kong (Glycine max L. Merrill))

  • 윤성중;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7-172
    • /
    • 1986
  • 우리나라의 재래종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정상형 대두인 단엽콩과 비교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1. 대화형 대두인 부채콩의 주경은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대화가 심해졌고 정상형인 단엽콩에 비해 출엽이 불규칙하였으며 주경엽수는 단엽콩보다 훨씬 증가하였으나 총엽수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2. 부채중의 주경대화정도는 약 3.1정도였으며 대화정도는 정상형인 단엽콩의 주경과 분핵의 생육량과 유관하였다. 3. 부채콩의 분지수는 단엽콩보다 적었으나 분지가 대화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엽병의 대화도 관찰되었다. 4. 부채콩은 협의 대부분이 주경 선단부에 집중 분포하였다. 5. 부채콩의 수량은 단엽콩의 60%정도였으며 수량감소의 주원인은 종실중과 협당입수의 감소였다. 6. 주경 횡단면의 유관속수는 부채콩이 많았으나 각 유관속은 단엽콩이 발달하였다.

  • PDF

중국 재배지역별 단삼의 내부형태 및 이화학적 패턴 연구 (A Study on Internal Morphology and Physicochemical Pattern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Root According to Cultivation Regions in China)

  • 구법성;유지현;길기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2
    • /
    • 2019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obtaining excellent quality of Salvia miltiorrhiza (SM) root. Methods : SM cultivated in Anhui Bozou, Henan, Shandong, Henan Wenxian, Zhejiang, Hebei, Liaoning, Shanxi, Shaanxi Shangluo, Sichuan Zhongjiang, Sichuan Minyang and Jiangsu in China were gathered and its internal morphology and physicochemical patterns were analyzed. Results : Cross-section of sang plants according to cultivated regions in China showed that cork layers consisted of cells with four to six layers, cortex width was wide, and phloem was semilunar-shaped. Although there are forms layers, yet boundary was vague. It was observed that eight to ten vascular bundles were arranged in wooden parts in all directions and as a single line of vascular was distributed nearby form layers as it nears to the center. Tanshinon IIA identified a spot in the same location with standard product near by Rf 0.9 in the test identifying TLC of SM according to cultivated areas in China. The largest amount was 0.535% identified in Shandong and the lowest amount of 0.05% in Hebei. Salvianolic acid B identified a spot in the same location with standard product near by Rf 0.7 in the test identifying TLC of SM according to cultivated areas in China. The largest amount was 2.72% identified in Liaoning and the lowest amount of 0.825% in Jiangsu. Conclusions : The results are assum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obtaining excellent quality of SM oriental medical hers and distinguishing authentic or fake herbs.

인태아 수지굴근건의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lexor Digital Tendon of the Hand in Human Fetus)

  • 윤재룡;안호범;남광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2호
    • /
    • pp.157-175
    • /
    • 1996
  • The development of flexor digital tendon of the hand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9 mm to 260 mm crown rump length. The primordium of tendons was first identified as discrete collection of mesenchymal cells at 25 mm fetus. Synovial sheath formation had commenced by 40 mm fetus and was complete by 70 mm fetus. Cell junction or adhesion sites at all ages were noted between the tendon cells. When dilatation of the synovial cavity occurred, two types of synovial cells were observed. A-type cells had numerous vesicles and large vacuoles. In contrast, B-typ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abundant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well-developed Golgi complex. By $150mm{\sim}260mm$ fetuses, a mojority of the synovial cells were type B. The most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he synovial cells of full-term fetus and adult was the larger amount of collagen fibers in the latter. The vascular buds were first observed between the individual fibril bundles in the interfascicular space at 150 mm fetus. At 25 mm fetus, collagen fibrils were first noted within narrow cytoplasmic recesses which were continued with the extracellular space. Collagen fibrils were filled in almost entire extracellular space at 150 mm fetus. Besides collagen fibrils in the extracellular space small elastic fibers were also identified and followed in their development.

  • PDF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Husk from Korean Rice

  • Adya P. Singh;Park, Byung-Dae;Wi, Seung-Gon;Lee, Kwang-Ho;Yoon, Tae-Ho;Kim, Yoon-Soo
    • Plant Resources
    • /
    • 제5권2호
    • /
    • pp.95-103
    • /
    • 2002
  • Microscopic techniques were used to observe the microstructure of rice husk. Mic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at two main components of husk, lemma and palea consisted of outer epidermis, layers of fibers, vascular bundles, parenchyma cells, and inner epidermis, in sequence from the outer to the inner surface. The outer epidermal walls were extremely thick, highly convoluted and lignified. The underlying fibers were also thick-walled and lignified. Parenchyma cells were thin-walled and unlignified. Inner epidermal cells were also unlignified. The outer surface of both lemma and palea were conspicuously ridged, but the lower surface had a flat appearance. As part of a detailed study to characterize rice husk using microscopic and micro-analytical techniques, distribution of silica was also examined, and is presented elsewhere. Rice husk can potentially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making composite products and the observations presented here form valuable background information for our future work related to product development.

  • PDF

Effect of Ensiling with Acremonium Cellulase, Lactic Acid Bacterial and Formic Acid on Tissue Structure of Timothy and Alfalfa

  • Asian, Aniwaru;Okamoto, M.;Yoshihira, T.;Ataku, K.;Narasaki, 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6호
    • /
    • pp.593-598
    • /
    • 1997
  • The changes of tissue structure in timothy and alfalfa during ensiling process with silage additives; lactic acid bacteria, cellulase and formic acid, were observed with a video microscope. Stem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second internode, and cut to divide into 2 pieces. One piece was for observation of ensiled material and the other was for silage. The latter piece was put into a nylon cloth bag, and ensiled with grass for 50 days in a small experimental silo Lignification of the plant tissues was checked by acid phloroglucinol. Natural silage fermentation resulted in some degradation of less lignified parenchyma in both plant species. However, lignified sclerenchyma and vascular bundles remained intact. The cellulase enhanced the degradation of parenchyma tissue, while the formic acid suppressed the degradation. The effect of lactobacillus was small. The percentage of remained cross sectional area of stem and the loss of NDF and ADF by silage fermentation confirmed the observation.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tained between the remained area and loss of fibrous components during silage fermentation in both plants, and between the loss of fibrous components and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n timothy but not in alfalfa.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의 분류학적 검토 (A taxonomic study on genus Rhynchospora Vahl in Korea)

  • 오용자;이창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93-409
    • /
    • 2003
  • 한국산 골풀아재비속 3종을 대상으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였다. 줄기와 잎의 단면, 및 수과와 잎의 표피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줄기, 잎, 잎싸개, 포,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길이와 너비, 암술머리의 수, 꼬마이삭, 비늘조각, 수과의 모양 등의 외부형태형질과 줄기와 잎의 횡단모양, 유관속의 수, 수과의 표피 세포의 모양, 잎표피의 규소체의 형태, 기공복합체의 빈도, 부세포의 모양 등의 미세형태형질이 이들 분류군의 유용한 분류형질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검색표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