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nishing point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9초

TRANSVERSE HARMONIC FIELDS ON RIEMANNIAN MANIFOLDS

  • Pak, Jin-Suk;Yoo, Hwal-Lan
    • 대한수학회보
    • /
    • 제29권1호
    • /
    • pp.73-80
    • /
    • 1992
  • We discuss transverse harmonic fields on compact foliated Riemannian manifolds, and giv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a transverse field to be a transverse harmonic one and the non-existence of transverse harmonic fields. 1. On a foliated Riemannian manifold, geometric transverse fields, that is, transverse Killing, affine, projective, conformal fields were discussed by Kamber and Tondeur([3]), Molino ([5], [6]), Pak and Yorozu ([7]) and others. If the foliation is one by points, then transverse fields are usual fields on Riemannian manifolds. Thus it is natural to extend well known results concerning those fields on Riemannian manifolds to foliated cases. On the other hand, the following theorem is well known ([1], [10]): If the Ricci operator in a compact Riemannian manifold M is non-negative everywhere, then a harmonic vector field in M has a vanishing covariant derivative. If the Ricci operator in M is positive-definite, then a harmonic vector field other than zero does not exist in M.

  • PDF

A study on the virtual indoor Scene navigation

  • Kim, Yeong-Seok;Jho, Cheung-Woon;Yoon, Kyung-Hyu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53.5-153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modeling system that constructs 3D models from an indoor cylindrical environment map using all of the available geometry of the interior structure such as vertical and horizontal lines and parallel and perpendicular planes. The indoor scene abstract model is created through this system and the navigation through the process of 3D reconstruction. This system first automatically detects the vanishing points in a cylindrical environment map from parallel lines and planes, and determines the indoor scene topology previously defined using this information. The determined topology enables he user intervention UI simply construct a 3D model by using the photogrammetry. The modeling system can be ...

  • PDF

다중 영상을 이용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Robust Vanishing Points Detection from Multiple Images)

  • 차영미;이동훈;김복동;정순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745-747
    • /
    • 2004
  • 소실점은 실 공간의 평행한 직선들이 영상에서 만나는 점으로서 카메라 파라미터 추정. 영상을 사용한 3차원 구조복원 등에서 널리 사용되는 영상 상에 존재하는 3차원 기하에 대한 암묵적인 특징 정보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소실점을 검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단위구 상에서 셀 기반의 소실 공간을 EM 알고리즘의 초기 소실점으로 사용함한 신뢰성 있는 소실점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단일 영상에서 제거되지 않는 이상치에 대해 다중 영상에서 H응 직선이 가자는 사영불변치인 planar collineation과 harmonic range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소실점을 구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다양한 영상을 통해 실험한 결과 안정적이고 신뢰할만한 소실점 검출이 가능하였다.

  • PDF

근심 추정 기반의 내부 카메라 파라미터 보정 (Intrinsic Camera Calibration Based on Radical Center Estimation)

  • 이동훈;김복동;정순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742-74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Orthogonal Vanishing Points)을 이용하여 카메라의 내부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카메라 보정(camera calibration)은 2차원 영상으로부터 3차원 정보를 얻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기존의 소실점을 이용한 대부분의 방법들은 세 개의 직교하는 소실점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론 추정하지만, 실제 영상에서는 세 개의 직교 소실점을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개의 직교 소실점을 사용하여 카메라 U부 보정을 위한 기하적이고 직관적인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주점(principal point)과 초점거리(focal length)는 Thales의 이론을 기초한 기하학적 제약사항으로부터 다중 반구(multiple hemispheres)들의 관계로부터 유도된다.

  • PDF

들뢰즈의 프레임: 영화제작 관점에서 읽기 (Practical Reading of Gilles Deleuze on Frame from Filmmaking Perspective)

  • 김정호;김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527-548
    • /
    • 2019
  • 질 들뢰즈는 프레임을 수많은 하위 세트의 정보를 지닌 닫힌 시스템으로 보았다. 인간과 세계의 관계에서 수학적 세계관과 물리적 세계관의 대립은 프레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수학적으로 보자면, 2차원의 프레임의 좌표나 변수들이 모여 있고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기하학적 시스템이다. 선형 원근법은 프레임에 소실점, 수평선 혹은 지평선을 통해서 2차원 평면에 3차원의 깊이감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엄격한 선원근법의 정착은 프레임 내 소실점을 향한, 즉 내부로 향하는 무한을 그리고 소실점의 반대 방향 즉 프레임의 바깥을 향하는 무한을 상정할 수 있게 해준다. 도화지 안에 있는 도형이나 선들의 관계뿐만 아니라, 도화지 속의 도형과 선사이의 공간이 인식된 것이다. 회화에서 원근법의 발전과 같이, 영화에서도 원근법의 적용과 탈 프레임화가 이뤄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근법은 우리의 눈이 실제 관찰하는 광학적 특성과 어긋나는 점이 있다. 세계를 관성, 가속도, 작용과 반작용의 운동과 끊임없는 변화로 보는 물리적 세계관은 프레임의 중심경향성, 게스탈트적 속성에 주목하게 된다. 우주의 일부를 한정하는 프레임은 분명 프레임과 그 밖을 구분하지만, 결코 단절된 관계가 아니라, 프레임은 우주 안에 있으며 프레임 밖과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시야 바깥에 무한의 정신적인 세계가 있다. 영화는 3차원의 공간을 2차원에 재현하면서 4차원의 시간을 담고 있다. 프레임의 바깥 즉 시야 바깥이 5차원의 영역인 정신을 담고 있는지 모른다.

불완전한 궤적을 고려한 강건한 특징점 추적 알고리즘 (A Robust Algorithm for Tracking Feature Points with Incomplete Trajectories)

  • 정종면;문영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37권6호
    • /
    • pp.25-37
    • /
    • 2000
  • 특징점의 궤적은 인접한 프레임에 존재하는 특정점 사이의 대응관계로 정의할 수 있다. 실제 영상열에서 존재할 수 있는 잘못된 특징점(false positive, false negative)들은 특징점의 대응관계를 결정할 때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특징점의 대응관계를 찾는 문제는 어려운 문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궤적의 나타남, 사라짐 등 불완전한 궤적을 갖는 특징점들을 고려하는 특징점 추적기법을 제안한다. 정합 척도로서 가중치가 부여된 유클리디언 거리를 사용하고 특징점의 운동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그 가중치를 자동으로 조정한다. 대응점 탐색과정에서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애매한 특징점이 존재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인접한 프레임 사이의 정합점 결정을 그래프에 의한 최적 대응점 탐색문제로 해결한다. 제안하는 대응점 탐색 알고리즘은 실제 영상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잘못된 특징점들이 대응관계를 결정할 때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부 최적(local optimal)을 찾게되며, 인접한 두 프레임에 m, n개의 특징점이 주어졌을 경우, 최선의 경우 O(mn), 최악의 경우 O($m^2n$)의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정합과정에서 잘못된 특징점을 고려하고, 특징점의 운동특성을 잘 반영함으로써 대량의 특징점을 추적하는데도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Bi-GRU 이미지 캡션의 서술 성능 향상을 위한 Parallel Injection 기법 연구 (Parallel Injection Method for Improving Descriptive Performance of Bi-GRU Image Captions)

  • 이준희;이수환;태수호;서동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223-1232
    • /
    • 2019
  • The injection is the input method of the image feature vector from the encoder to the decoder. Since the image feature vector contains object details such as color and texture, it is essential to generate image captions. However, the bidirectional decoder model using the existing injection method only inputs the image feature vector in the first step, so image feature vectors of the backward sequence are vanishing. This problem makes it difficult to describe the context in detail.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arallel injection method to improve the description performance of image captions. The proposed Injection method fuses all embeddings and image vectors to preserve the context. Also, We optimize our image caption model with Bidirectional Gated Recurrent Unit (Bi-GRU) to reduce the amount of computation of the decoder. To validate the proposed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 certified image caption dataset, demonstrating excellence in comparison with the latest models using BLEU and METEOR scores. The proposed model improved the BLEU score up to 20.2 points and the METEOR score up to 3.65 points compared to the existing caption model.

외식산업의 수익성 제고를 위한 조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kitchen product system improvement for eating out food business)

  • 문희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9권
    • /
    • pp.131-161
    • /
    • 1998
  • None of us need to be reminded that these are exceedingly times. The evidence in all about us. Between rising costs and lowering prices, many businesses find profits being depressed almost to the vanishing point. The eating out food business is in just such a profit squeeze. Our ability to compete depends not only on our ability to control the price-cost picture, but to improve its kitchen product system. A kitchen product system is incomplete without a series of built-in improvement procedures. They must be a key part of the system. "improvement" means the continual betterment of all aspects of the operation-its personnel, products, sales, and its costs. These improvements create profits. This study is devoted to a discussion of the application of research methods and techniques to develop of modern kitchen system through the job standardization. Their use in executing other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process of kitchen system improvement will also be seen. The steps of setting objectives, gathering data, analyzing and interpreting data, and arriving at solutions, conclusions, and/or recommendations are briefly out lined. The material presented emphasizes the need for an improved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study of problems. It is also implied, of not stated, that the process should not become so mechanical that the principles of creativity are violated. The foregoing steps suggest a systematic approach to kitchen system improvement, finding solutions to problems, improving work methods, instituting changes, followting up on work related to the change. This study has been limited to the truly important points related to each step in the process, it will undoubtedly call to mind other factors for consideration, however, believe that the principles and approach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bring about better methods and improve kitchen operating results.g results.

  • PDF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한 자기보정 및 3차원 형상 구현 (3D Reconstruction and Self-calibration based on Binocular Stereo Vision)

  • 후영영;정경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856-3863
    • /
    • 2012
  •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3차원 형상을 구현함에 있어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로 필요로 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형상구현은 특정 기하학 그룹을 평가하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영상에 존재하는 epipolar 기하 평가로 각 영상에서의 특정점들을 일치시킨다. 2단계는 소실점 방법을 이용하여 투영공간에서 특정평면을 찾는 affine 기하 평가이다. 3단계에서는 카메라의 자기보정을 포함하며 3차원 모델이 얻어질 수 있는 계량 기하 변수를 구한다. 이 방법의 장점은 형상구현을 위해 스테레오 영상을 보정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그 구현가능성을 실증하였다.

'쌍폭 책거리' 그림의 공간배치 연구 (A Study on the arranged space of 'Ssangpok Checkgeori' Pictures)

  • 이미영;김순구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151-160
    • /
    • 2006
  • 조선시대 회화를 보면 산수화나 풍속화 등도 유행을 하였지만 서민층에서부터 사대부층까지 다양한 계층에게 사랑을 받은 것은 민화이다. 민화는 허세와 가식이 없고 애써 기교를 부리지 않아 소박한 매력을 제일로 꼽고 있고, 자연스러우면서도 솔직하고 회화적인 맛 또한 일지 않고 있다. 이러한 민화 가운데에서도 책거리 그림은 유교적 토대 위에 자연과 인간과 그 환경이 조화를 이룬 삼의 공간의 소우주를 표현하고, 인간의 삶을 예술의 중심에 놓은 근대지향성이 엿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책거리 그림 중에서도 '쌍폭 책거리' 그림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그림에 대한 색깔, 사물들의 배치, 사물의 위치, 서로간의 상관관계, 사물의 방향, 다소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쌍폭 책거리' 그림이 가지고 여는 특유한 공간감과 현대의 공간 배치구조와의 상관관계를 연구 한 결과 다소점, 원근의 무시, 역원근법, 평행투시법 등의 표현방법은 평면의 그림에 입체감을 표현하고, 배치되어있는 사물들에 생동감을 더 해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시대 '쌍폭 책거리' 그림의 구도배치가 현대적인 구도배치에 모티브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