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uum freeze drying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7초

건조방법에 따른 함초 분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김희정;이준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05-109
    • /
    • 2009
  • 함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기능성 부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를 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등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각 시료의 물리화학적 분말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열풍건조하여 제조한 시료의 수분함량이 3.16%로 가장 낮았으며, 진공건조 분말이 3.42%, 동결건조 분말이 3.80%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pH는 6.12-6.27의 범위값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한 시료의 명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았고 적색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결과 동결건조된 시료의 입자가 보다 규칙적이고 치밀하게 배열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다공성구조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동결건조된 시료의 수분 용해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반면 팽윤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한편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Preservation of Coagulation Efficiency of Moringa oleifera, a Natural Coagulant

  • Katayon, S.;Ng, S.C.;Johari, M.M.N.Megat;Ghani, L.A.Abdul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6호
    • /
    • pp.489-495
    • /
    • 2006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terest to use Moringa oleifera as the natural coagulant due to cost, associated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of synthetic organic polymers and inorganic chemicals. However, it is known that M. oleifera as the natural coagulant is highly biodegradable and has a very short shelf life.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packaging methods, and freeze-drying on the preservation of M. oleifera seeds powders. Non freeze-dried M. oleifera was prepared into different packaging namely open container, closed container and vacuum packing, whilst, freeze-dried M. oleifera was stored in closed container and vacuum packing. Each of the packaging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30\;to\;32^{\circ}C$) and refrigerator ($4^{\circ}C$). The turbidity removal efficiencies of stored M. oleifera were examined using jar test at monthly interval for 12 month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on freeze-dried M. oleifera kept in the refrigerator ($4^{\circ}C$) would preserve its coagulation efficiency. In addition, closed container and vacuum packing were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preservation of non freeze-dried M. oleifera, compared to open container. Freeze-dried M. oleifera retained its high coagulation efficiency regardless the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method for up to 11 months. Besides, higher increment in zeta potential values for water coagulated with freeze-dried M. oleifera indicated the higher frequency of charge neutralization and better coagulation efficiency of freeze-dried M. oleifera, compared to non freeze-dried seeds. As a coagulant, M. oleifera did not affect the pH of the water after treatment.

건조방법에 따른 양송이버섯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ushroom(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하영선;박종원;이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5-251
    • /
    • 2001
  • 양송이버섯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건조조건 및 방법에 따른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양송이버섯은 초기수분함량이 90%(w.b.) 이상의 높은 수분함량을 가진 농산물이며, 건조방법에 따른 건조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열풍건조시 가장 빠른 건조시간(12 h)을 나타내었으며, 동결건조의 경우 열풍건조에 비하여 약 8시간정도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차를 나타내는 ${\Delta}E$값은 높은 온도와 빠른 풍속, 그리고 낮은 진공도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색도변화는 동결건조된 양송이버섯이 생버섯과 비교할 때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열풍건조된 양송이버섯은 색차가 크게 나타났다. 갈변도 변화는 열풍건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동결건조에서 갈변도 변화가 가장 적었으며, 건조풍속 및 진공도의 영향보다 건조온도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 경도의 경우 열풍건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동결건조에서 경도변화가 가장 적었다. 재수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동결건조의 경우 조직사이의 공극이 크기 때문에 열풍건조 및 진공건조의 경우보다 흡수량이 많았으며 흡수되는 시간도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효소식품으로서 발아유색미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Germinated Colored Rice as an Enzymic Health Food)

  • 김석신;김상용;노봉수;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19-624
    • /
    • 1999
  • 품질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있는 건강지향성 식품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유색미를 발아시킨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품질특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개시후 5분 이내에 $60^{\circ}C$에 도달한 후 건조시간 내내 $60{\pm}2^{\circ}C$를 유지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개시 30분 경과 후, 진공 건조의 경우는 3시간 30분 경과 후에야 $6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의 경우 건조 3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의 경우 총건조시간 2시간만에 수분함량 0.07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시간 4시간만에 수분함량 $0.17{\sim}0.18\;kg\;water/kg\;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최소한 2시간은 더 건조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는 0.055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가 0.0057 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및 2의 경우의 1/10수준이었으며 건조개시 6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76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함량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2,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1,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여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품질보존효과를 잘 보여 주었다.다. 순으로 나타났으며 $FB_2$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EX> 수준이었으며, 전발효 종료시 알코올 생성은 모두 14% (v/v) 정도로 비슷하였다. 포도주의 숙성기간 중 잡균 오염 방지를 위해 potassium metabisulfite를 40 ppm 이상 첨가하였을 때에는 포도주의 색이 탈색되었다.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되고 있는 국제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식품구입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더욱이 본 연구결과 우리 나라 소비자들은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소비자로서의 알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국내에서 방사선조사 식품이 상업적으로 널리 보급되기에 앞서 방사선조사 식품에 대한 소비자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년령군별 발생양상은 외국의 그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무과립구증 발생양상의 기준상황 자료(baseline data)로써 유용하리라고 판단 된다. 한편 본 조사연구에서 적용한 방법론은 앞으로 특정 질병, 특히 희귀한 중증질환의 전국적인 발생율을 타당하고 신뢰성있게 추정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의 하나라고 평가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하였던 방법을 앞으로 우리

  • PDF

건조방법에 따른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Capsosiphon fulvescens According to Drying Methods)

  • 손석민;권한올;이준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82-1588
    • /
    • 2011
  • 매생이를 열풍, 진공 및 동결건조법을 이용해 건조하고 이들 건조방법이 건조 매생이의 이화학적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탄수화물(38.10~41.54%)이었으며, 다음으로 조회분(31.86~33.28%), 조단백질(17.46~23.03%), 수분(4.14~6.25%) 및 조지방(1.01~1.51%)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총당 함량이 19.5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다음으로 진공건조 시료가 19.22%, 동결건조 시료가 18.18% 순으로 나타났다. 열풍건조 시료의 비타민 C 함량은 진공건조 시료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p>0.05), 동결건조 시료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열풍건조 시료 중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다음으로 proline, aspartic acid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 가지 구성아미노산의 합은 건조방법에 따라 전체 아미노산의 33.34~34.8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생이 건조방법별 무기성분 총 함량은 열풍 및 진공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월등히 많은 무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다량 함유하고 있는 무기성분은 건조방법과 무관하게 Na, K, Mg, Ca, P 순으로 나타났고 그 밖에 미량 무기성분으로 Fe, Mn, Zn, Cu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EG 처리 수침고목재의 농도 및 용매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Compressive Strength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after PEG Treatment with Concentration and Solvent)

  • 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5-99
    • /
    • 2012
  • 처리 농도 및 용매에 따른 PEG의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치수안정화 효과와 비교 하여 전시 및 보관에 적합한 처리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선행된 고함수율 수침고목재의 동결건조를 위한 PEG전처리 농도 및 용매 설정 연구에서 수용액 PEG 40% 전처리 후 진공동결건조가 치수안정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약품의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용매에 있어서는 물이 t-butanol 보다 상대적으로 압축강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용액에서 PEG 40%와 PEG 50%의 강도차가 6.6%(16kgf/$cm^2$)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수침고목재유물의 보존처리에서 치수안정성과 압축강도를 동시에 충족시키고자 할 때, 수용액 PEG 40% 전처리 후 동결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Stability of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Paprika (Capsicum annuum L.) Powder During the Drying and Storing Process

  • Park, Jae-Hee;Kim, Cha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changes in the color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paprika powder under various conditions, as well as to establish the suitable conditions for drying and storage. Paprika was dried using the following methods: freeze-drying, vacuum drying, far infrared-ray drying, and hot-air drying. Measurements of the moisture content, color pigments, and antioxidant compounds (total carotenoids, capsanthin, ascorbic acid, and total polyphenols) were completed during 120 days of storage at 4 and $30^{\circ}C$. We found that drying methods, storage temperatures, and packaging materials affected the American Spice Trade Association (ASTA) and Hunter color values, as well as the antioxidant content of paprika powder.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r=0.87, p<0.01) between the ASTA color and the $a^*/b^*$ value. The loss of red color was closely related to the reduction of moisture content (r=0.81, p<0.01) during storage. Drying paprika with a low temperature in the absence of air resulted in better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Also, as the retention of the carotenoids and ascorbic acid increased, the stability of the red pigment increased. Freeze-drying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drying method for the stability of the antioxidant compounds and red pigment.

PEG처리 수침고목재의 조습건조 (Humidity-Controlled Drying of PEG-Treated Waterlogged Woods)

  • 이광희;김수철;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10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열화된 소나무류를 대상으로 PEG 처리 후 조습건조시 적정 PEG농도, 습도 및 시간을 조사하고자 하였고, 조습건조과정 중 치수안정화 효과를 진공동결건조 및 자연건조한 것과 비교하였다. 조습건조에서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건조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저농도(40%, 50%) PEG 함침 후 조습건조는 치수안정화 효과가 적었고 목재표면 및 내부에 갈라짐이 발생하였으며 PEG의 분포가 불균일하였다. 고농도(60%, 70%) PEG 함침 후 조습건조를 하였을 때 목재의 표면은 흑화현상으로 인해 색은 어두워졌으나, 저농도(40%) PEG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한 것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치수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형발굴수침고목재의 보존처리시 진공동결건조가 불가능할 경우 고농도 PEG(70%) 함침 후 조습건조하는 방법이 가능하고, 이때 건조습도와 건조시간을 충분히 고려해서 건조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진공동결 건조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 (Modification of Conventional Freeze Dryer)

  • 박노현;김병삼;강통삼;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0-356
    • /
    • 1988
  • 식품 산업에서 이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외국 의존도가 높은 진공동결건조기를 reverse enginerring 하여 국산화 개발한 후 그 성능을 시험하였다. 새로 개발한 진공동결건조기는 1 batch 당 8kg의 수증기를 응결시킬 수 있으며, 전도가열에 의해 열판 온도를 $80^{\circ}C$까지 올릴 수 있고 제상방법은 hot gas 방식을 취했다. 진공펌프의 배기시간은 $7{\sim}8$분, cold trap의 온도는 $-50^{\circ}C$까지 유지할 수 있었으며, 잔공동결건조기의 최적 건조능력은 과채류의 경우 batch 당 2kg 정도이며 최고 4kg 까지 건조시킬 수 있었다. 개발한 진공동결건 조기와 기존의 외국산 진공동결건조기를 이용$(^{5,6})$하여 당근을 동결건조시킨 경우 양 장치간에 별 차이는 없었으며, 각 식품의 진공동결건조 특성은 각 식품의 초기 수분 함량 및 초기성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분말마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Yam Powder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이원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9-235
    • /
    • 2000
  • 현재 마차나 마죽의 형태로 이용되고 있는 마분말을 사용하여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 하여 건조를 행하였다. 각 건조 방법별로 마분말의 물리적 특성치인 공극률은 열풍 건조한 시료가 12.26%로 가장 작게 나타났으며, 진공건조 31.17%, 동결건조가 41.00%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공 극 면적 역시 동결, 진공, 열풍건조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극의 평균지름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에서는 초기 수분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다. 또한 총 페놀 함량에서도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그 10-2mg 단위로 량에 있어서는 거 의 비슷하였다. 과실이나 야채류의 저장에서 신선도를 판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Ascorbic acid 의 함량은 건조방법별로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동결건조 제품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 타내었고 증습에 따라 ascorb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저장 적정 수분함량을 구하기 위해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구한 결과는 BET식과 GAB식에서 공히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높은 값을 나타 내었고, 등온 흡습선으로서 두 식의 접합도는 BET식이 건조 방법별로 0.95 이상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 낸 반면 GAB식은 동결, 진공건조의 경우에는 0.99이상의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으나 열풍건조의 경 우에는 다소 낮은 상관계수 값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