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cination schedul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고양이 3종(FPV, FHV, FCV) 불활화 백신의 효과 (Effect of a trivalent (FPV, FHV, FCV) inactivated vaccine in kittens)

  • 이성민;윤인중;최환원;이근좌;이경열;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1-323
    • /
    • 2005
  •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a trivalent (feline panleukopenia; FPV, feline viral rhinotracheitis; FHV, feline calicivirus infection; FCV) inactivated vaccine in cats. The vaccine was tested for the safety in guinea pigs, mice and cats. Also, it was tested for the efficacy in cats. The vaccine was inoculated to cats at 7~9 and 10~12 weeks of age (conventional schedule) and the serological response to vaccination was assessed and was compared to the unvaccinated group. All cats were bled by jugular venipuncture for FPV, FHV and FCV specific serological test (virus neutralizing antibody, VN) at 7~9, 10~12 and 13~15 weeks. After last bleeding, all cats were inoculated with each virus (FPV : orally $2ml\;10^{7.5}\;TCID_{50}/ml$, FHV : nasally $1ml\;10^{7.0}\;TCID_{50}/ml$ and FCV : nasally $1ml\;10^{7.0}\;TCID_{50}/ml$). The Vaccine verified excellent protective effect in guinea pigs, mice and cats. The VN antibody titers of the unvaccinated group cats against FPV, FHV and FCV were <2~16, on the other hand the vaccinated group cats were $512{\sim}{\geq}4096$, 64~1024 and 64~1024, respectively. When all cats were challenged with virulent viruses, the survival rates of the vaccinated group cats were over 80%, while the survival rates of the unvaccinated group cats were less 20%. The typical clinical signs were not observed in the vaccinated group cats, but the typical clinical signs and histopathological lesions were observed in the unvaccinated group cats. As the result of tests, the VN values obtained in this study appeared to be high enough to protect cats from viral challenges. The trivalent (FPV, FHV, and FCV) inactivated vaccine seemed to be very effective, for prevention of feline viral diseases (FPV, FHV, and FCV).

Comparison of canine vector-borne diseases in rural dogs based on the prevention status

  • Yi, Seung-Won;Kim, Eunju;Oh, Sang-Ik;Oh, Seok Il;Kim, Jong Seok;Ha, Ji-Hong;Lee, Bugeun;Yoo, Jae Gyu;Do, Yoon Ju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45-152
    • /
    • 2019
  • Canine vector-borne diseases (CVBDs) are transmitted by different groups of hematophagous arthropod vectors that are distributed worldwide and can cause significant health problems for do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revalence of selected CVBD pathogens in rural outdoor dogs based on prevention status. Between June 2017 and February 2019,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43 clinically healthy rural dogs composing two different groups: systematically managed dogs (SMD; n=92) and personally managed dogs (PMD; n=251). Vaccination and preventive medications were applied strictly following the programmed schedule for the SMD group; in contrast, in the PMD group, they were applied only when requested by the dog owners. Serological and molecular assessments showed that significantly more dogs in the PMD group were infected with B. gibsoni (P<0.001) and D. immitis (P=0.001) than those in the SMD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egular use of preventive medications and environmental controlling efforts contribute to reducing the prevalence of CVBD pathogen infections. In addition, dogs infected with certain kinds of CVBD pathogens could remain asymptomatic, suggesting that continuous monitoring and periodic preventive treatment should be conducted even for clinically healthy dogs.

일본뇌염 예방접종 후 면역원성 및 중화항체 지속률에 관한 조사: 전향적 다기관 코호트 연구 (Immunogenicity and Protective Effectiveness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 Prospective Multicenter Cohort Study)

  • 김동현;홍영진;이훈재;최보율;김창휘;박재옥;강진한;최병준;김종현;안영민;주영란;정영의;한명국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31-138
    • /
    • 2013
  • 목적: 일본뇌염 백신의 면역원성 및 중화항체 지속률을 평가하여 일본뇌염 예방 사업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6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2-6세의 어린이 중 기초접종력이 확인된 170명을 대상으로 기초접종 완료 경과 기간에 따른 중화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170명 중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 103명, 생백신 접종군 64명, 교차접종군 3명이었다. 항체검사까지의 기간은 불활성화 백신 17.5개월, 생백신 21.0개월이었고 모두 일본뇌염 방어가 가능한 항체가를 보여 불활성화 백신 322, 생백신 266이었다. 추가접종 후 항체역가 변화는 1-4개월에 가장 높았고 이후 서서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의 면역원성과 중화항체 지속률에는 차이가 없고 두 백신 모두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적절한 수준의 면역원성을 갖고 있었다. 향후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포항 지역 소아 및 성인의 A형 간염의 혈청학적 역학조사 (A Seroepidemiologic Study on Hepatitis A in Phohang, Korea)

  • 배순호;권영대;강호석;오세호;이선주;홍지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2권1호
    • /
    • pp.61-66
    • /
    • 2005
  • 목 적 :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대변에서 경구로 전파되기 때문에 개인과 공중위생이 A형 간염의 연령과 유병률에 영향을 준다. 저자들은 포항에서 비 현증 A형 간염과 A형 간염 예방접종 계획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방 법 : 포항시에 거주하고 2004년 1월부터 2005년 2월까지 포항 한동대학교 선린병원, 포항 동국대학교병원, 포항 기독병원에, A형 간염 예방 접종을 하지 않았고, 간질환 이외의 다른 질환으로 입원한 총 6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 3 mL을 채혈하여 원심분리하여 전기 화학 발광 면역 측정법(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ECLIA)으로 A형 간염 바이러스 IgG 항체 양성률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총 603명의 검사 대상자들 중 소아군(15세 미만) 523명, 15세 이상 80명이었다. A형 간염항체 양성률은 소아군에서는 0~5개월 71명, 6~11개월 74명, 12~17개월 79명, 18~23개월 82명, 2~3세 72명, 4~8세 74명, 9~14세 71명이었고, 15~29세 40명, 30대 이상 40명이었고, A형 간염항체 양성률은 소아군에서는 523명 중 101명이 항체 검출되어 19.3%이었고, 15세 이상에서는 80명중 56명이 항체 검출되어 70.0%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다. 연령별로는 소아군에서 0~5개월 73.2%, 6~11개월 14.9%, 12~17개월 8.9%, 18~23개월 7.3%, 2~3세 5.5%, 4~8세 12.1%, 9~14세 16.9%, 15~29세 52.5%, 30대 이상 92.5%의 급격히 높은 항체 양성률를 보였다. 대상자의 성별 항체 양성률은 남/녀 각각 0~5개월 73.7/70.0%, 6~11개월 15.8/13.9%, 12~17개월 9.5/8.1%, 18~23개월 7.0/7.7%, 2~3세 5.5%, 4~8세 12.1%, 9~14세 16.9%, 15~29세 52.5%, 30대 이상 92.5%로 남녀 두 군간의 항체 양성률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한국에서 다른 도시의 과거의 조사와 비교하여 포항시에서 실시한 4~8세와 9~14세의 연령층에서 A형 간염의 항체 유병률이 낮았다. 이에 저자들은 포항이 다른 도시와 비교하여 위생 상태가 적어도 나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3세 후에 A형 간염 유병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3세 까지 A형 간염 예방접종을 마칠 것을 추천하는 바이다.

  • PDF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1, 2상 임상시험 (A Phase I/II Trial of $DCVac/IR^{(R)}$ Dendritic Cell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in Cases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 최영민;이형식;권혁찬;한상영;최종철;정주섭;김창원;김동원;강치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2호
    • /
    • pp.104-112
    • /
    • 2008
  • 목적: 기존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독성과 반응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다발성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암 환자들 중에서 항암화학 요법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병원의 임상윤리심의위원회의 허가를 획득하였고,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들을 임상 시험의 대상으로 등록하였다. 환자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수지상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하였다. 임상시험 일자에 맞추어서 $6{\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바이알(0.5 ml)에 넣어서 디씨백/아이알 주사를 만들었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는 2주 간격으로 간전이암조직에 3회 주사하고, 5주에 내약성 평가를 하였다. 내약성 평가를 통과한 환자에게는 8주에 4번째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하였다. 병의 악화가 없거나 임상시험에 대한 환자의 동의 철회가 없는 경우에는 5, 6번째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각각 12, 16주에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주사할 간전이암 부위에 주사하기 전일 및 당일에 4 Gy씩을 조사하였다. 내약성 평가는 $3{\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로부터 시작하여, $12{\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까지 시행하였다. 내약성 평가의 최대 내성 용량으로 추가 임상시험을 하였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맞은 모든 환자들에서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4회 이상 주사를 맞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10주에 치료 반응을 평가하여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임상시험에 등록한 24명 중 22명에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성약 평가에는 14명이 등록하여 11명에서 평가를 완료하였다. 시험약과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grade 3 이상의 약물반응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12{\times}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내성용량으로 확인하였고, 내성용량인 $12{\times}10^6$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이용하여 8명에서 추가로 시험을 하였다.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내성은 양호하였고, grade 3을 초과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은 발생되지 않았다. 4회 이상의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받은 환자가 17명이었고, 이 중의 15명에서는 종양의 반응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성 평가이지만, 면역치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가 시행된 부위 외의 간전이암에서 반응도를 조사 하였다. 면역치료의 반응은 평가가 이루어진 환자들에서 정지성 병변이 4명, 진행성 병변이 11명 이었다. 결론: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와 병행한 방사선치료는 이론적으로 국소 및 전신 제어에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진행된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은 없었다는 결과와 4예에서의 정지성 병변의 관찰을 보고한다. 수지상세포의 최대 투여 용량, 적절한 투여 방법, 적절한 방사선의 양, 방사선과 수지상 세포의 적절한 투여 간격 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제 2상, 3상 시험으로서의 진행 여부에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Protective Effects of Milk Thistle (Silybum marianum) against Aflatoxin B1 in Broiler Chicks

  • Chand, N.;Muhammad, Din;Durrani, F.R.;Qureshi, M. Subhan;Ullah, Sahibzada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7호
    • /
    • pp.1011-1018
    • /
    • 2011
  • Aflatoxin-contaminated feed cause mortality, suppression of the immune system, reduced growth rates and losses in feed efficiency. This research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immunomodulatory and growth promoting effect of milk thistle as feed additive against aflatoxin $B_1$ in broiler chicks at NWFP Agricultural University Peshawar, Pakistan. Two hundred and forty (240) day old broilers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major groups AfF, aflatoxin free feed; Aflatoxin $B_1$ was present in the feed at the levels of 80-520 ${\mu}g/kg$ of the feed in the remaining three groups. Aflatoxin contaminated feed was provided for 5 weeks. Group AfB was supplemented with toxin binder "Mycoad" at 3 g/kg of feed and group AfT was supplemented with milk thistle at10 g/kg of feed. Each group was further sub divided into two sub-groups, vaccinated against ND (Newcastle disease), IB (Infectious bronchitis) and IBD (Infectious bursal diseases) according to recommended schedule of vaccination or non vaccinated. Each sub group carried three replicates with 10 chicks per replicate. Chicks were reared in pens in an open sided house. Supplementary heat was provided to all the chicks during brooding period. Mean body weight gain and dressing percentage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followed by AfT, AfB and Af. Weight gain and dressing percentage was the same in group AfB and AfT, while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Af. Feed intake, breast, thigh and leg weight were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followed by AfB, AfT and Af. Significantly lower (better) FCR value was recorded in group AfT. Water intak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T and AfF as compared to other groups.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 Mean bursa and thymus weights were foun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F, AfB and AfT followed by Af, while higher spleen weight was recorded in group AfT. Mean antibody titer against ND, IB and IB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group AfT, as compared to other groups. It is concluded that milk thistle at 10 g/kg of feed could effectively be utilized as immunostimulant and growth promotant in the presence of immunosuppressant aflatoxin $B_1$ in the feed.

산후조리원의 표준화 관리 지침을 위한 연구 - 산모와 신생아 관리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anagement Manuel in Sanhujoriwon - Centered on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

  • 정은실;유은광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01-31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rame for standardized manual for Sanhujoriwon by finding out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women & newborn in Sanhujoriwon, like postpartum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95 staffs of 22 Sanhujoriwon agreed on oral consent, in Seoul and Bundang,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5 to Oct. 24, 2001.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ed of 16 ite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bout postpartum care, 31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Cronbach's $\alpha$.93 ), 24 items of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s care(Cronbach's $\alpha$.94 ), 10 items of methods of management of women's postpartum care, 8 items of methods management of newborn's car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postpartum women was 4.1.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was 4.00 & traditional postpartum care(Sanhujori) was 4.20. The degree of management of traditional postpartum care was higher than general postpartum care for women. 2. The degree of management for newborn :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management of newborn was 4.37. 3.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postpartum care and traditional postpartum care($r=.744^{**}$), and postpartum mother care and newborn care($r=.798^{**}$). 4.The basic frame for the management of the women and newborn in Sanhujoriwon. 1) For women: Integrated postpartal care Physical management : Vital sign & BP check, contraction of uterus, form and amount of lochia, management of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breast & breast-feeding, management of postpartum exercise, prevention of infection, symptom & sign of high risk and prevention & management of high risk condition;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mother-baby attachment, emotional state; Educational management : education of vaccination schedule, urinary incontinence, rearing infant, breast-feeding ;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2) For newborn Physical management : check of vital sign, management of umbilical cord, jaundice, prevention of infection, management of diaper rash; Emotional-psychological management : assessment of sleep, crying, activity, response of mother-baby attach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 temperature, humidity, disinfection, cleaning, light, infection control integrated with 6 principles of Sanhujori. In conclusion Sanhujoriwon must be health care center for the postpartum women and newbor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of Sanhujoriwon as a health care center for women and infants future health should be done. The standardized management manual based on the results is absolutely required above all.

  • PDF

우리나라 영아에서 PRP-T(HiberixTM)백신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에 대한 연구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Polysaccharide-Tetanus Toxoid Conjugate Vaccine (PRP-T: HiberixTM) in Korean Infants)

  • 정은희;김예진;김윤경;김동호;서정완;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1호
    • /
    • pp.71-80
    • /
    • 2003
  • 목 적 : b형 Haemophilus influenzae(Hib)의 피막 다당질인 polyribosyl -ribitol-phosphate(PRP)가 Hib 질환의 발병기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한 항체가 있으면 Hib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Hib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단백 결합 백신에는 PRP-D, PRP-T, PRP-OMP 및 PRP-CRM197 등이 있다. Hib 피막 다당질에 대한 항체 반응은 백신에 사용된 결합 단백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인종이나 제조 회사에 따라서 유효성 및 안전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PRP-T에는 기존에 국내에 공급되던 $ActHib^{(R)}$(Aventis)와 최근에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Hiberix^{TM}$(GlaxoSmithKline Biologicals)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아에서 PRP-T 백신인 $Hiberix^{TM}$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3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소아과에 예방접종을 위해 내원한 건강한 생후 2개월 이상의 영아 73명(남아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생후 2, 4, 6개월에 PRP-T 백신($Hiberix^{TM}$)을 필요한 경우에 DTaP, TOPV, B형 간염백신과 같이 접종하였고, 1회 접종 전(2개월), 2회 접종 2개월 후(생후 6개월) 그리고 3회 접종 1개월 후(생후 7개월)에 혈청내 항 PRP 항체가를 효소면역법(ELISA)으로 측정하였다. 매 접종 후 72시간내에 발생하는 국소적, 전신적 이상반응을 관찰하였다. 면역원성은 계획한대로 접종을 완료한 영아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상반응은 1회 이상 접종받은 모든 영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73명 중 63명(남아 37명)이 계획한대로 접종을 완료하였다. 생후 2개월에 측정한 접종 전항 PRP 항체가의 기하 평균치는 0.17 ${\mu}g/mL$(95% CI; 0.13~0.22)이었다. 2회 접종 후(생후 6개월) 항체가의 기하 평균치는 4.14 ${\mu}g/mL$(95% CI; 2.65~6.48), 3회 접종 후(생후 7개월)의 기하 평균치는 14.65 ${\mu}g/mL$(95% CI; 10.83~19.81)이었다. 항체가가 1.0 ${\mu}g/mL$ 이상인 비율은 2회 접종 후 77.8% (95% CI; 67.5~88.0), 3회 접종 후 98.4%(95% CI;95.3~100)이었다.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이상반응중 전신반응으로서 보챔(45.5%)이 가장 많았고 졸음(30.5%), 수유감소(26.7%), 발열(5.6%) 순이었다. 국소반응으로서 동통이 7.9%, 발적(${\geq}5$ mm) 2.8%, 부종(${\geq}5$ mm) 1.8% 순이었다. 이러한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증으로 모두 회복되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PRP-T 백신인 $Hiberix^{TM}$는 우리나라 영아에서 우수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보였으며, 특히 2회 접종으로도 항체가의 기하 평균치가 장기적인 방어 수준으로 상승함은 과거의 다른 PRP-T 백신($ActHib^{(R)}$)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는 소견으로 향후 국내에서 PRP-T 백신의 접종 방법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한국 소아에서 7가 폐렴사슬알균 단백결합 백신의 추가접종 면역원성에 관한 연구 (Immunogenicity of 7-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related to booster immunization in Korean children)

  • 박소은;이현주;임수영;김경효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22-628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면역원성에 근거한 추가접종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9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강남 차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위해 혈액 채취의 기회가 있었던 12-23개월 사이의 소아 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7가 폐렴사슬알균 단백결합 백신의 접종력에 따라 기초접종 군과 추가접종 군으로 나누었다.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4, 6B, 9V, 14, 18C, 19F, 23F)에 대하여 각각의 폐렴사슬알균 피막다당질 항체를 3세대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각 혈청형에 대한 폐렴사슬알균 피막다당질 항체의 기하평균은 기초접종만 완료한 군보다 추가접종을 완료한 군에서 높았다(P<0.05). 폐렴사슬알균 피막다당질 항체가가 $0.35{\mu}g/mL$ 이상인 비율은 기초접종과 추가접종 군 모두에서 90.5-100%였다. 폐렴사슬알균 피막다당질 항체가가 $1.0{\mu}g/mL$ 이상인 비율은 추가접종 군에서 94.4-100%로 혈청형 6B와 14를 제외하고는 기초접종 군 보다 높았다(P<0.05). 폐렴사슬알균 피막다당질 항체가가 $5.0{\mu}g/mL$ 이상인 비율은 추가접종 군에서 50.0-94.4%로 모든 혈청형에서 기초접종 군 보다 높았다(P<0.05). 결 론 : 우리나라 소아에서 추가접종 후의 면역원성은 매우 좋았고 기초접종 이후에도 비교적 좋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 폐렴사슬알균 단백결합 백신의 도입과 접종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면역원성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의 구인강 내 수막구균 보균율과 혈청군 (Carriage Rates and Serogroups of Neisseria meningitides in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 김남희;이진아;이정원;이수영;최은화;김경효;김의종;강진한;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1호
    • /
    • pp.31-39
    • /
    • 2009
  • 목 적: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es)은 패혈증, 수막염 등 침습성 질환의 중요한 원인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수막구균 다당질-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어 영아의 정기 접종에 포함된 국가도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건강한 성인의 보유율에 관한 보고는 있으나 소아에서는 수막구균 보균율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아직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유소아를 대상으로 수막구균의 구인두 집락율과 혈청군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2월과 5월에 서울, 경기지역의 13개 어린이집과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 9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Calcium alginated cotton으로 구인두 점막을 세게 문질러 구인두 도말 검체를 채취한 후 즉시 수막구균 선택배지(modified New York City medium)에 접종하고 $CO_2$ 보육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수막구균 동정은 Vitek NHI card를 이용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crgA 유전자를 검출하여 확인하였다. 확인된 수막구균은 N. meningitides antisera를 이용한 agglutination test로써 혈청형 A, B, C, D, 29E, W135, X, Y, Z에 대한 검사를 하였으며,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org2, siaD 유전자의 다양성에 따라 혈청형 A, B, C, W135, Y 여부를 다시 확인하였다. 결 과: 구인두 도말을 채취한 904명의 소아 중 남아는 468명(52%) 이었고 대상 유소아의 연령 분포는 2세 미만이 59명(6.5%), 2세에서 5세 미만은 486명(53.8%), 5-6세는 338명(37.4%)이었고 7세 이상은 21명(2.3%)이었다. 수막구균은 7명의 구인두 검체에서 검출되어 수막구균 보균율은 0.8%이었다. 남아 3명에서 검출되었고 연령별로는 3세 미만에서는 검출 되지 않았고 3세, 4세, 5세 소아에서 각각 1명씩, 그리고 6세 소아 4명에서 검출되었다. 혈청형은 Y군이 3균주, C군과 A군이 각각 2균주이었다. 2군데 유아원에서 각각 2명씩 분리되었고 3군데 유아원에서 1명씩 분리 되었다. 2명이 분리된 유아원 중 한군데는 모두 혈청형 Y가 분리 되었고 다른 유아원에서는 C군과 Y군이 각각 한 명씩 분리되었다. 결 론: 유아원에 다니는 건강한 소아의 구인강내 수막구균 보유율은 매우 낮았으며, 분리된 수막구균의 혈청군은 A, C, Y군이 고루 분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