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2 - f 모델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P-toluenesulfonanilide, $C_{13}H_{13}NO_2S$의 결정 및 분자구조 (The Crystal and Molecular Structure of P-toluenesulfonanilide, $C_{13}H_{13}NO_2S$)

  • 박권일;조성일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8
    • /
    • 1995
  • X-ray 회절법을 이용하여 P-toluenesulfonanilide, C13H13NO2S의 결정 및 분자구조를 규명하였다. Methanol 용액으로부터 얻은 무색 단결정은 단사정계, 공간군은 P21/c이며, a=8.777(1)Å, b=9.784(2)Å, c=15.139(2)Å, β=99.00(1)°, Z=4, V=1284.0(6)Å3, Dc=1.28g/cm3, λ(Mo-Kα)=0.71069Å, μ=2.3cm-1, F(000)=520, Temperature : 293±3K, 직접법으로 개략적인 분자모델을 설정하고 3.0σ이상인 711개의 독립 회절반점에 대하여 완전행렬 최소자승법으로 정밀화하여 최종신뢰도값 R=0.038인 최종적인 분자모형을 구하였다. 두 벤젠고리의 이면각이 68.4°이며 분자들은 c축 방향 2회선 나선형으로 이상적으로 충진되어 있으며 분자간은 van der Walls 결합력으로 이루어져있다.

  • PDF

비정질 RE-Co 합금막의 자기광학 스펙트럼 (MAGNETO-OPTICAL KERR SPECTRA FOR AMORPHOUS RE-Co ALLOY FILMS)

  • Y. J. Choe;S. Tsunashima;S. Uchiyama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4-159
    • /
    • 1994
  • 비정질 RE-Co(RE=Ce, Nd, Pr, Gd, Tb, Er, Ho) 합금막의 자기광학 스펙트럼(${\lambda}=250~700nm$)을 Y-Co의 그것과 비교하여 RE 부격자에 의한 자기광학효과를 추정하였다. RE에 의한 자기광학효과는 단파장 영역에서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e, Pr, Nd 및 Gd은 Co의 자기광학효과에 더해지는 방향으로 일어나고, Tb, Ho 및 Er은 Co와 반대방향으로 일어난다. 자기광학 천이 모델에 의하면, Pr과 Nd은 $4f{\uparrow}->5d{\uparrow}$, Ce과 Gd은 d->p, Tb은 $4f{\downarrow}->5d{\downarrow}$ 또는 $5d{\downarrow}->4f{\downarrow}$ 그리고 Ho과 Er은 $4f{\downarrow}->5d{\downarrow}$ 밴드간 천이에 의한 것으로 각각의 자기광학횬과를 설명할 수 있다.

  • PDF

단락에 대한 이산 추론을 요구하는 한국어 기계 독해 (Reading Comprehension requiring Discrete Reasoning Over Paragraphs for Korean)

  • 김경민;서재형;이수민;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39-443
    • /
    • 2021
  • 기계 독해는 단락과 질의가 주어졌을 때 단락 내 정답을 찾는 자연어 처리 태스크이다. 최근 벤치마킹 데이터셋에서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빠른 발전을 보이며 특정 데이터셋에서 인간의 성능을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락 내 범위(span)에서 추출된 정보에 관한 것으로, 실제 연산을 요구하는 질의에 대한 응답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범위 내에서 응답이 가능할 뿐만이 아니라, 연산에 관한 이산 추론을 요구하는 단락 및 질의에 대해서도 응답이 가능한 기계 독해 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 DROP (Discrete Reasoning Over the content of Paragraphs, DROP) 데이터셋으로부터 1,794개의 질의응답 쌍을 Google Translator API v2를 사용하여 한국어로 번역 및 정제하여 KoDROP (Korean DROP, KoDROP)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단락 및 질의를 참조하여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의미 태그를 한국어 KoBERT 및 KoELECTRA에 접목하여, 숫자 인식이 가능한 KoNABERT, KoNAELECTRA 모델을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KoDROP 데이터셋은 기존 기계 독해 데이터셋과 비교하여 단락에 대한 더욱 포괄적인 이해와 연산 정보를 요구하였으며,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한 KoNAELECTRA는 KoBERT과 비교하여 F1, EM에서 모두 19.20의 월등한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SpaceNet 건물 데이터셋과 Context-based ResU-Net을 이용한 건물 자동 추출 (Automatic Building Extraction Using SpaceNet Building Dataset and Context-based ResU-Net)

  • 유수홍;김철환;권영목;최원준;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685-694
    • /
    • 2022
  • 건물 정보는 다양한 도시 공간 분석에 활용되는 필수 정보 중 하나이기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지역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찰이 가능한 위성영상으로부터 건물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딥러닝 기반의 시맨틱 세그멘테이션 기법들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aceNet의 건물 v2 무료 오픈 데이터를 이용하여 30 cm 급 Worldview-3 RGB 영상으로부터 건물을 자동으로 추출하기 위해, context-based ResU-Net의 일부 구조를 변경하여 학습을 진행하였다. 분류 정확도 평가 결과, f1-score가 2회차 SpaceNet 대회 수상작의 분류 정확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Worldview-3 위성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면 본 연구의 성과를 활용하여 전세계 건물 자동 추출 모델을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전자소자에서의 $\frac {1}{f}$잡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ory of $\frac {1}{f}$ Noise in Electronic Devies)

  • 송명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18-25
    • /
    • 1978
  • 반도체 소자에서 생기는 1/f 형의 잡음의 근원이 무엇인가에 대해 지금까지 여러 이론이 나왔다. 그중에도 Mcwhorter's Surface model이 대표적인 이론이었다. 그러나 Hooge는 이론에 반기를 들고 나왔다. Hooge의 이론에 의하면 thermo cell이나 Concentration cell에서의 1/f-형의 잡음이 표면효과(surface effect)가 아니라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대표적인 이론을 종합검토할 수 있는 Langenvin type의 Boltzmann transport equation에 입각하여 새로운 일반이론을 세웠다. 본 논문에서는 N형 채널을 갖고 있는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서 단일준의 Shockley-Read-Hall recombination center에 의한 단락회로에서 드레인의 1/f-형 잡음스펙트럼을 계산하기 위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양을 포함시키므로써 각 에너지대의 케리어에 대해 준-페르미준위를 정의할 수 없다고 가정했으므로, 1/f-형의 잡음은 다수케리어 효과에 기인한다고 가정했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유도된 1/f-형의 잡음은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서 1/f-형의 잡음에 중요한 요인들을 모두 보여주었다. : 적주파에서 플렛티유를 나타내지 않았고 채널의 면적 A와 드레인 바이어스 전압 V에 비례하고 체널의 길이 L에 반비례한다. 본 논문의 모델에서는 1/f-응답에서 1/f2에 대한 잡음스트럼의 전이주파수와 P-n 합다이오우드의 surfact center에 관계되는 완화시간(relaxation time)에 대응하는 주파수 사이를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1/f-형 잡음스펙트럼은 격자산란이 주원인이 된다.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살펴보면 격자산란이 주로 표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1/f-형 잡음이 표면효과라고 말할 수 있다.

  • PDF

합성 페롭스카이트형($K_2La_2Ti_nO_{2n+4}$)광물의 결정학 및 층상구조에 관한 연구 (Crystallography and Layered Structure of Synthetic Perovskite-type ($K_2La_2Ti_nO_{2n+4}$) Minerals)

  • 문용희;최진범;이병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3-84
    • /
    • 2001
  • 티타늄과 산소의 함량이 서로 다른 4가지의 합성 페롭스카이트형(perovskite-type) 광물(($K_2$$La_2$$Ti_{n}$/$O_{2n+4}$, n=3, 4, 5, 6; 14/mcm, 14/mmm, I42 m)을 대상으로 리트벨트(Rietveld)구조분석법을 실시하여 결정구조를 밝히고 티타늄함량에 따른 층상형 구조를 연구하였다. 4가지 합성시료에 대하여 구조분석을 실시한결과 대표적인 페롭스카이트형 광물인 토소나이트(taustonite, $La_{1-x}$ //$K_{x}$ /$TiO_3$, x<0.4)가 주성분으로 나타났으며 토스나이트내에 12개의 산소를 배위하는 A자리 양이온은 자리점유율에 의해 $La^{3+}$$K^{+}$ /의 치환관계를 보여준다 공간군은 14/mcm, 단위포는 a=5.505(1)~5.510(1)$\AA$, c=7.793(1)~7.796(1)$\AA$ V=236.25~236.66 $\AA^3$ 범위의 값을 갖는다. 구조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R지수를 살펴보면 $R_{B}$ 값은 5.31~9.10 S(GofF)값은 0.86~1.24로 각각 계산되었다. 12배위를 하는 A자리 양이온인 란탄과 산소의 평균거리는 2.755$\AA$이고 6배위를 하는 B자리 양이온인 티타늄과 산소의 평균거리는 1.948 $\AA$의 결과를 얻었다. 합성된페롭스카이트형 광물의 층상구조가 알려져 있지 않아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조모델을 결정하였으며 그결과 n=3인 R-38시료에서만 두 종류의 층상 페롭스카이트($La_2$$K_2$$Ti_3$$O_{10}$ ) 구조 (A-type: 14/mmm, a=3.8178 $\AA$, c=29.9189 $\AA$, V=436.04 $\AA^3$, B-type: 142 m, a =3.8376 $\AA$, c=28.023 $\AA$, V=412.6 $\AA^3$)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나 다른 시료에서는 토소나이트, 금홍석 외에 새로운 합성광물로 제파이트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 PDF

얇은 면재를 갖는 샌드위치 평판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the Sandwich Plates with very thin faces)

  • 박인규;김익태;손충열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134-144
    • /
    • 1993
  • 샌드위치 구조는 두층의 얇고 밀도가 크며 높은 강도와 강성을 갖고 있는 면재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고 밀도, 강도, 강성이 낮은 심재로 구성되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는 경량의 특수한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등방성의 심재에 2장의 면재가 대칭으로 적층된 샌드위치 평판 모델에 대해 Rayleigh-Ritz 방법으로 해석한 후, 고유진동수를 구하였다. 면재는 G.R.P.의 일종인 E-glass Woven Roving 외에 2종류를 사용하였고 심재는 foam core로서 P.V.C. 외에 3종류를 사용하여 면재와 심재의 종류, 두께, 지지조건 등의 변화에 따른 각 모우드의 고유진동수와 모우드 형상들을 구하고 각 조건들이 고유진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해석결과를 유한요소 program인 ADINA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 PDF

전북 진안 낙엽송 임분의 지위지수 및 간재적식 추정 (Estimation of Site Index and Stem Volume Equations for Larix leptolepis Stand in Jinan, Chonbuk)

  • 전병환;이상현;이영진;김현;강학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40-47
    • /
    • 2007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진안 지역의 낙엽송을 대상으로 지위지수 추정과 지위지수곡선 유도 및 간재적식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위지수에 대한 식은 대수차분 방정식에 의해 개발되었다. 기초 연령 40년으로 한 다형 지위지수 패밀리 곡선은 Schumacher 수고 방정식을 기초로 표현하였다. 최적의 간재적 추정식은 $V=0.00260+0.00000399D^2H$로 판명되었다. 이 방정식에 사용한 동시 F-검정에서 추정된 간재적량은 모델 평가에 관한 실측된 간재적량과 유의(${\alpha}=0.05$)하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지위지수 곡선과 재적 추정식의 결과는 지위와 수확표 조제시 기초 자료로 제공할 수 있고, 진안지역 낙엽송 임분의 지역 산림경영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퇴적물에서의 납과 카드뮴의 흡착 동력학 모델링 (Modeling on the Sorption Kinetics of Lead and Cadmium onto Natural Sediments)

  • 곽문용;고석오;박재우;정연구;신원식
    • 생태와환경
    • /
    • 제39권4호통권118호
    • /
    • pp.450-46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H 5.5에서 연안퇴적물내 납과 카드뮴의 흡착 동력학을 실험실규모의 회분식 반응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4종류의 모델: 단일영역 물질전달모델 (one-site mass transfer model, OSMTM), 겉보기 1차속도모델 (pseudo-first-order kinetic model, PFOKM), 겉보기 2차속도모델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PSOKM)과 두영역 1차속도모델 (two compartment first-order kinetic model, TCFOKM)을 사용하여 흡착속도를 분석하였다. 관련된 모델매개변수의 수에서 기대되듯이 변수가 3개인 TCFOKM이 변수가 2개인 OSMTM, PFOKM, PSOKM 보다 흡착속도를 더 잘 표현할 수 있었다. 납과 카드뮴의 대부분의 흡착은 초기 3시간 이내에 빠르게 완료되었으며, 이후 기간 동안은 느린 흡착이 이루어졌다. 모든 모델에서 겉보기 흡착평형농도($q_{e,s}$)는 퇴적물의 양이온 교환능 (CEC)과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는 초기 중금속 투여 농도와 중금속 및 퇴적물의 형태와 무관하였다. OSMTM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s,\;hr^{-1}$)는 퇴적물의 CEC와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FOKM의 겉보기 1차흡착속도상수 ($k_{p1,s},\;hr^{-1}$)는 퇴적물의 특성과 관련이 없었다. PSOM 분석결과 겉보기 2차흡착속도상수 ($k_{p2,s},\;g\;mmol^{-1}\;hr^{-1}$)와 초기흡착속도 ($v_{o,s},\;mg\;g^{-1}\;hr^{-1}$)는 퇴적물의 특성과 연관되지 않았다. TCFOKM의 빠른 흡착영역의 분율($f_{1,s}$)은 수용액상의 초기농도와는 무관하게 퇴적물의 CEC와 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빠른 부분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1,s}=10^{0.1}-10^{1.0}\;hr^{-1}$)는 느린 부분에서의 흡착속도 상수 ($k_{2,s}=10^{-2}-10^{-4}\;hr^{-1}$)보다 훨씬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계수의 한계값 평가를 위한 구조물-지반체계에 대한 지진응답해석 (Seismic Response Analyses of the Structure-Soil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the Limits of the Site Coefficients)

  • 김용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7-77
    • /
    • 2007
  • IBC와KBC 기준의 지반계수는 지반증폭 만이 고려되고 구조물-지반 상호작용 영향이 고려되지 않은 지반계수로 합리적인 구조물의 지진거동을 예측하는데 어떤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형과 비선형 지반 위에 세워진 구조물의 탄성지진응답해석을 의사 3-D 해석으로 수행하여 구조물-지반 상호작용 영향이 고려된 지반계수의 상 하 한계값을 평가하였다. 지반의 특성은 지반 A, B, C의 경우에는 선형으로 가정하였고, 지반 D와 E의 경우에는 비선형으로 가정하여 Ramberg-Osgood 모델을 사용하여 전단파속도를 기준으로 전단탄성계수와 감쇠비 계산식을 규정하였다. 지진해석은 중 약진 지진기록 12개를 선정하여 최대 지진가속도를 0.1g와 0.2g로 조정하고, 구조물-지반 체계에 대한 의사 3-D 해석 시에는 30m 지반 하부 암반에서의 지진기록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구조물의 탄성 지진응답해석을 통해서 얻은 결과로부터 구조물-지반 상호작용 영향을 고려한 새로운 표준응답스펙트럼과 단주기 영역 및 주기 1초에서의 지반계수 $F_{a}$$F_{v}$의 상 하 한계값을 제시하였으며, KBC 기준을 위한 새로운 지반계수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