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rine microorganis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6초

한우의 번식 효율 향상을 위한 자궁 내 세균 분석 (Analysis of Uterine Bacteria to Increase Reproductive Efficiency in Hanwoo(Korean Native Cattle))

  • 박정준;유한준;조영재;최혜원;윤필상;이선구;정배동;한태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5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veral types of uterine bacteria in Hanwoo. uterine bacteria from randomly selected 5 uterus was collected by flushing methods into a sterilized 1.5 ml centrifuge tube and was inoculated onto MacConkey agar and blood agar, respectively. After being incubated for 5% $CO_2$, aerobic or anaerobic condition at $37^{\circ}C$ during 48h, bacterial colonies were selected and re-inoculated onto blood agar plates. Re-cultured colonies were identified by Gram staining and finally identified using Vitek system. The identified bacteria were Staphylococcus lentus, Staphylococcus sciuri, Staphylococcus vitulinus, Staphylococcus warneri of Gram (+) and Rhizobium radiobacter, Sphingomonas paucimobilis of Gram (-) bacteria. Although, pathogenicity of identified bacteria was unclear, the bacteria can have an effect on the uterine microenvironment. Therefore, repetitive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acteria in cattle exposed to a various environment.

Microbial Flora of Normal and Abnormal Cervical Mucous Discharge Associated with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ows and Heifers in Estrus

  • Ata, Ayhan;Turutoglu, Hulya;Kale, Mehmet;Gulay, Mehmet Sukru;Pehlivanoglu, Far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1007-1012
    • /
    • 2010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scribe whether abnormal cervical mucus discharge (A-CMD) or pathogens in cervical mucus discharge (CMD) have effect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of cows and heifers in estrus. Animals having clear discharges (68 cows, 38 heifers) with normal viscosity and without bad odor were grouped as normal cervical mucous discharge (N-CMD) group. The other animals (84 cows, 32 heifers) were grouped as A-CMD group.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s uterine pathogens (UP), potential uterine pathogens (PUP) or opportunistic uterine pathogens (OUP). Presence of PUP was associated with A-CMD for both cows (p<0.01) and heifers (p<0.02). First service conception rates (FS-CR) were lower in cows positive for PUP (p<0.01). Moreover, presence of PUP and OUP affected FS-CR in heifers (p<0.01). Although A-CMD significantly affected FS-CR in cows (p<0.04), it did not affect FS-CR in heifers. Differences in average open day for cows (p<0.02) and first service age for heifers (p<0.01) were significant between N-CMD and A-CMD groups, respectively.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CMD should be evaluated more carefully when there are infertility problems. In addition to the known microorganism that causes sterility and infertility in the UP group, pathogens in the PUP group should be considered for their potential to cause infertility.

An Unusual Case of Extra-Enteric Blastocystosis in the Uterine Cervix

  • Escutia-Guzman, Yolanda;Martinez-Flores, Williams Arony;Martinez-Ocana, Joel;Martinez-Pimentel, Ramon;Benitez-Ramirez, Marisol;Martinez-Hernandez, Fernando;Arroyo-Escalante, Sara;Romero-Valdovinos, Mirza;Orozco-Mosqueda, Guadalupe Erendira;Maravilla, Pabl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5호
    • /
    • pp.571-576
    • /
    • 2020
  • Extra-enteric infections by Blastocystis spp. have rarely been documented. Here, we report a case of extra-enteric blastocystosis in a patient with minimal cervicitis symptoms. A 47-year-old Hispanic female patient was attended in a primary health centre in Michoacan state, Mexico, for her routine gynaecological medical examination. As only symptom, she referred to a slight vaginal itching. The presence of several vacuolar-stages of Blastocystis spp. were identified by Papanicolaou staining; molecular identification was attempted by culture-PCR sequencing of a region of 18S gene from cervical and faecal samples obtained 2 months after cytological examination, even when patient declared that she tried self-medicating with vaginal ovules. Blastocystis ST1 was identified only in the faecal sample. The presence of Blastocystis spp. in the cervix of a patient with scarce symptomatology, demonstrates the extraordinary flexibility of this microorganism to adapt to new environments and niches.

정상 및 암 세포주에서의 5-Aminolevulinic Acid에 의해 유도된 Protoporphyrin IX의 형광 검출을 위한 In Vitro 연구 (In Vitro Study of Fluorescence Detection for Protoporphyrin IX Induced from 5-Aminolevulinic Acid in Cancerous and Normal Cells)

  • 김명화;김현정;이인선;김경찬;이창섭
    • KSBB Journal
    • /
    • 제21권3호
    • /
    • pp.171-174
    • /
    • 2006
  • 형광을 이용한 암 진단을 위해 배양된 정상 및 암세포주에 광민감제인 5-ALA를 투여하고 세포 내 외에서 생성된 Protoporphyrin IX(PpIX)의 형광을 측정하여 5-ALA 투여의 최적농도를 조사하였다. 정상 간세포주(Chang) 및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에 5-ALA를 농도별로 투여하여 ALA에 의해 유도된 PpIX의 생성을 확인하고, MTT assay로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배양된 cell에 5-ALA를 투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함으로써 생성되는 PpIX의 양은 형광의 강도로 측정하였다. HeLa 세포주에 대한 5-ALA의 최적농도는 $50{\mu}g/ml$이며, 이 때의 형광(emission) 스펙트럼은 여기 파장이 410 nm일 때 602.3 nm, 659.9 nm에서 형광 봉우리가 관찰되었다. PpIX의 형광 강도를 측정한 결과, PpIX는 정상세포에서는 낮은 농도로 축적이 되는 반면에 암세포에서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되었으며, 세포 외보다는 세포 내에서 더 높은 농도로 축적됨을 알 수 있었다.

미성숙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에 미치는 Vinclozolin의 영향 (Effect of Vinclozolin on the Onset of Puberty in Immature Female Rats)

  • 안나경;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1권3호
    • /
    • pp.245-251
    • /
    • 2007
  • Dicarboximide계 살균제인 vinclozolin(VCZ)은 과일, 야채, 관상용 식물에서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병들을 통제하는데 사용되어왔다. VCZ의 대사산물인 M1과 M2는 흔히 토양, 식물, 포유류에 잔존하기 때문에 인간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VCZ가 갖는 항안드로겐성 활성 때문에 주로 수컷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암컷의 사춘기와 생식계에 미치는 영향은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VCZ가 암컷 흰쥐의 사춘기 개시와 이와 관련된 생식 지표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생후 21일부터 vehicle(DMSO) 또는 VCZ(10 mg/kg/day i.p.)를 사춘기 개시의 지표인 질구 개방(vaginal opening, V.O.)이 일어나는 날까지 투여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날 오후에 희생시킨 후 난소와 자궁의 외양과 조직 무게를 측정하여 VCZ가 이들 조직에서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고, 현미경 관찰을 통해 해부학적인 변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수행하여 단백질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자궁 성숙의 지표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발현 양상은 정량적인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로, VCZ 투여에 의해 질구 개방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PND $34.00{\pm}1.22$ in control group vs PND $38.20{\pm}1.92$ in VCZ group, p<0.05). 그러나 체중 변화의 경우, 대조군과 VCZ군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소와 자궁의 크기와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VCZ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질구 개방이 일어난 대조군의 난소에서는 성숙의 지표인 그라프 난포(Graafian follicle)와 황체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의 난소에서는 미성숙한 1차, 2차 난포 그리고 작은 퇴화 난포(atretic follicle)들만이 다수 관찰되었다. 자궁의 경우도 대조군에서는 내막층과 근막층은 물론 상피층까지 잘 발달된 과다 성장 상태와 함께 분비선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VCZ군에서는 모든 세포층과 분비선의 발달이 미약한 상태였다. RT-PCR 결과, 난소(p<0.01)에서의 PR mRNA 수준은 VCZ 투여에 의해 유의한 발현 감소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춘기 개시 전 특정시기에 단기적인 VCZ 투여에 의해 암컷 흰쥐의 생식계 활성화가 억제되고, 그 결과 사춘기 개시가 지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Bulnesia sarmienti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The Antioxidant and Antitumor Effects of the Extract of Bulnesia sarmientia)

  • 조대현;민경진;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0-126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Bulnesia sarmienti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 용매별 분획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MTT검색법을 사용한 항암 효과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methanol,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물 추출물에서 각각 6.85, 5.81, 6.30, 7.47, 6.48, 4.82%로 나타났다. 용매분획별 총 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비교적 총 페놀 함량이 높은$(0.10{\sim}4.55%)$ 과일류보다도 더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모든 용매추출물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증가하였으며 $500{\mu}g/mL\;1000{\mu}g/mL$에서는 모든 추출물에서 80%이상의 높은 소거능을 보여 합성항산 화제인 BHT와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결과, $100{\mu}g/mL$에서 methanol, butanol, ethyl acetate, n-hexean, chloroform, 물 추출물은 각각 4.43, 12.55, 16.72, 1.86, 5.53, 5.77%로 낮은 활성이 나타났다. $500{\mu}g/mL$에서 methanol, butanol, ethyl acetate, n-hexean, chloroform, 물 추출물은 38.52, 33.39, 47.41, 21.17, 31.74, 18.02%로 $100{\mu}g/mL$에서보다 활성이 증가하였고, $1000{\mu}g/mL$에서는 ethyl acetate추출물이 73.29%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Methanol, butanol, n-hexean, chloroform, 물 추출물은 각각 65.65, 65.02, 47.49, 52.51, 45.54%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보면 위암세포인 SNU-1은 $100{\mu}g/mL$에서 n-hexane추출물이 61.6%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ethyl acetate 와 물 추출물은 억제효과가 없었다. 자궁암세포인 Hela는 $100{\mu}g/mL$에서 n-hexane추출물이 75.1%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물 추출물은 억제효과가 없었다. 대장암세포인 HT-29도 $100{\mu}g/mL$에서 n-hexane추출물이 57.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Bulnesia sarmienti는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