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nsil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8초

서울 시내 주요 호텔의 위생실태 조사와 ATP 결과의 상관 분석 연구 (A Correlation Study of Surveillance Data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for Verification of Hygienic Status in Major Hotels in Seoul)

  • 김보연;송하영;박인숙;김용수;이유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7-284
    • /
    • 2009
  • 외식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호텔을 비롯한 일반음식점에서의 식중독의심사건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위생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모니터링기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5개 호텔을 대상으로 개인위생 (작업자의 손), 조리기구 (칼, 도마, 행주, 캔오프너, 식품보관용기, 슬라이스머신칼날), 시설 설비 (냉장고손잡이, 작업대, 싱크대)에 대한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였고 그에 대한 검증법인 ATP 조사법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5개 호텔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결과, 50점 만점 중 개인위생 46.6점, 조리기구 위생관리 40.2점, 시설 설비 위생관리 40.3점으로 개인위생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고 있었으며,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의 위생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ATP검사 결과, 작업자의 손은 $40.8{\pm}6.77\;RLU/cm^2$로 조리기구와 시설 설비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나, 모두 1,000 RLU/$cm^2$의 기준 이하로 위생관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실태조사 결과 점수와 ATP 값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호텔별 작업자 손, 조리기구, 시설 설비 모두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ATP검사법은 신속, 간편, 일관성을 바탕으로 호텔을 비롯한 외식업체에서 감시원이 수행하는 주관적인 위생실태조사를 대체 할 수 있는 객관적인 위생관리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급식장의 조리기구.용기 및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Mass Catering Establishments)

  • 박희경;김경립;신혜원;계승희;유화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5-323
    • /
    • 2000
  • 국내 단체급식업체의 급식장 위생환경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단체급식에 적용할 수 있는 HACCP Plan개발시 급식장에서의 위해요소중 조리기구 및 용기, 조리종사자, 급식 작업장 등의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미생물학적인 분석이 실시되었다. 도마의 위생상태는 육류, 야채 및 생선용의 도마종류별 및 급식장별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적으로 일반세균수가 검체 채취면적 10$\times$10 $ extrm{cm}^2$$10^2$~$10^4$ CFU 정도로 양호하였으며, 소독한 행주의 경우 일반세균은 상당히 낮았고 대장균균은 검출되지 않아 양호하였다. 반면 채와 탈피기 등의 조리기구는 기구별, 급식장별 및 분석횟수별로 차이는 있으나 일반세균이 $10^{6}$ CFU이상 검출되거나 대장균군도 $10^{6}$ CFU이상 검출된 곳도 있어 전반적으로 위생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칼의 경우 오염된 소독용액에 의한 이차오염이 문제되었다. 이러한 오염된 전처리기구는 원부재료를 전처리할 때 교차 오염시킬 수 있어 항상 세심한 주의와 관리.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조리종사자의 손에 대한 분석 결과 1차에서 $10^4$ CFU 이하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관이 일부에서 검출되었으나 2차 및 3차 측정시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황색포도상구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급식환경의 위생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공중낙하균을 측정한 결과 작업장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모든 급식장에서 7 CFU/Plate 이하로 검출되었고 공중낙하 황색포도상구균은 단 1곳의 측정지점에서만 검출되었다.

  • PDF

한국 전통 생활 용품에 나타난 '구복문양'의 브랜드 특성에 관한 고찰 (Observation of brand Characters of 'Blessing Pattern' used in ancestral household utensils in Korea)

  • 한지애;신승택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93-302
    • /
    • 2005
  • 한 시대의 정서와 문화는 여러 매체들을 통해서 반영 투영되어지며, 특히 일상생활에서 사용되어지는 생활용품을 통해서 그 특성과 일반성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민족의 '정서적 유대감'을 가진 브랜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서, 선조들의 일상 용품들 속의 전통문양과 그에 대한 상징성 이야기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상징성을 가진 전통문양이 갖는 브랜드 가치와 잠재적 발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문양의 상징성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구복사상이라는 기준점으로 한국의 전통문양을 재분류하고 문양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의미와 상징, 더 나아가 이야기성을 발췌하고 정리, 분류하였다. 구복 사상을 중심으로 분류한 전통문양을 8가지 구복문양으로 정의하고, 구복문양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로의 발전 가능성과 파생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복문양은 기본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며, 그밖에도 브랜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4가지 기능과 브랜드 아이덴터티를 형성하는 6가지 구성요인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구복문양은 인지도 강화 기능, 표현 기능, 충성도 강화 기능, 차별화 기능, 상징 기능 5가지 측면에서 파생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브랜드 개발 연구의 기초가 되며, 슈퍼 브랜드 우산 브랜드로의 적용이 가능한 구복 브랜드 개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이다. 추후 연구로 '구복 브랜드 시리즈' 개발과 마케팅에 관한 연구를 추진함으로써 구복 브랜드 문화가 창출되며, 세계 시장으로 한국 브랜드 시장이 확대되어 지기를 기대한다.

  • PDF

학교 집단급식소 내 식기류 및 집기류의 미생물학적 분석 및 위해요인 평가 (A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Hazard Factor Evalu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of Food Service Operations in Schools)

  • 박성준;홍성호;이하영;김철주;김수진;김성균;고광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76-386
    • /
    • 2011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al hazards posed by food utensils and fixtures in food service operations at selected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Methods: We collected 200 samples of utensils and fixtures including cups, spoons/chopsticks, food trays and tables from five different schools in Seoul. Target microorganism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tal bacterial count and total coliform as indicators of microbial contamination and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as pathogens of food poisoning. We used selective media to quantify microbial concentration and 16S rRNA PCR assay for qualitative analysis. In addition, intensive interviews with nutritionists were conducted and observations were made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affect microbial contamin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bial concentration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operation. Results: The level of microbial concentration in school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chool A, D and E (p<0.05). Some samples from school A, D and E showed over 3.4 log CFU/100 $cm^2$ (total bacterial count) and 1.0 log CFU/100 $cm^2$ (total coliform), which requires immediate hygienic action. The number of customers per staff member, periodicity of hygiene education for staff and daily operation time of sterilizer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related with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service operatio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ot only a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approach, but also efforts to assess internal risk factors within operations be needed to reduce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food utensils and fixtur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assessing microbial hazards in food service operations.

대구지역 대형 식품접객업소 조리기기 및 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 of Cooking Utensils and Environment of Large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Daegu city)

  • 남은정;강영재;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4-240
    • /
    • 2006
  • 대구지역 대형식품접객업소 한식, 양식, 일식, 중식 각 3곳씩 12개 업소를 대상으로 조리기기 및 용기(칼, 도마, 행주, 집게, 바구니 등),조리종사자 손 및 조리 작업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위해를 분석하였다. 일부 한식당 조리수와 음용수의 일반세균 및 대장군균수가 $10^5\;CFU/mL,\;10^2{\sim}10^3\;CFU/mL$범위로 검출되어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특히 끓여서 식힌 보리차를 제공할 경우 음용수에 대한 미생물적 수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양식당과 일식당의 음용수도 기준치에 부적합하였다. 모든 유형의 업소에서 대부분의 조리기구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수가 기준치인 $2.5{\times}10^3\;CFU/100cm^2,\;1.0{\times}10^1\;CFU/100cm^2$를 초과하여 위생상태가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중식당의 칼, 도마에서 E. coli가 $10^1{\sim}10^2\;CFU/100cm^2$ 검출되어 이에 대한 시정조치가 필요하였다. 대부분 업소에서 맨손으로 작업하였으며 조리종사자의 손의 일반세균 수 범위는 $10^2{\sim}10^7/hand$, 대장균군의 범위는 $0{\sim}10^6/hand$로 그 수치가 높아 손에 의한 음식물의 오염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한식당 조리종사자 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1.3{\times}10^3/hand$로 검출되어 조리종사자의 손의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작업대와 주방에서의 일반세균 및 진균의 공중낙하균이 최고 52 CFU/plate/10 min, 19 CFU/plate/10 min로 검출되어 작업환경 오염도가 높았으며 일부 업소에서는 냉장고 내의 공중부유물 오염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접객업소의 작업환경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되었다.

조리시 조리용기로 부터의 알루미늄 용출량 비교 (Comparison of Aluminum Leaching from Cooking Utensils During Cooking)

  • 김중만;한성희;백승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13-617
    • /
    • 1997
  • 조리용기의 재질 종류와 조리식품의 종류 및 조리 시간에 따른 알루미늄의 용출 특성을 알아보고자 탈이온증류수, 된장, 고추장을 이용하여 옹기, 알루미늄, 법랑, 스테인레스-스틸제 용기 및 돌그릇에서 조리시간(0, 10, 20,30분)을 달리하여 각각 끓였을 때 용출된 알루미늄 함량을 조사하였다. 증류수는 각 용기에서 $0.53{\sim}2.76,\;1.17{\sim}4.20,\;0.77{\sim}3.23,\;0.53{\sim}2.03,\;0.83{\sim}2.70$ ppm의 범위였다. 된장을 각 용기에 담아 끓이지 않고 30분간 상온에서 정치한 경우 각각 4.66, 6.45, 5.53, 3.50, 5.00 ppm이며 끓였을 때는 $5.70{\sim}7.73,\;9.68{\sim}11.50,\;5.53{\sim}9.27,\;3.50{\sim}6.70,\;5.00{\sim}9.13$ ppm이 용출되었다. 고추장을 넣고 끓이지 않았을 때는 각 용기에서 5.18, 6.30, 4.73, 3.23, 4.50 ppm이며, 끓였을 경우에는 $6.37{\sim}9.70,\;8.57{\sim}11.23,\;5.63{\sim}8.63,\;4.43{\sim}6.50,\;4.50{\sim}9.25$ ppm 용출되었다. 따라서 끓이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알루미늄의 용출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 용기에서는 다른 용기에 비해 용출량이 가장 많았다.

  • PDF

서울 시내 산업체 급식소의 plastic용기 및 기구류 위생에 관한 연구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Plastic Container and Kitchen Utensils Used in Employee Feeding Foodservice Operation in Seoul)

  • 전희정;백재은;이윤경;김은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4
    • /
    • 1998
  • 서울 시내 산업체 단체 급식소 3곳에서 이용되는 플라스틱 용기, 행주, 도마, 식칼의 미생물 검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플라스틱 용기의 표준 평판균수는 3곳 모두 1$\times$$10^{*}$ 5 (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두 급식소는 양호하나 한 급식소에서 2$\times$$10^1$(CFU/100$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구균, 간균 형태의 박테리아가 많이 관찰되었다 행주의 경우는 표준 평판균수는 1$\times$$10^3$-1 $\times$$10^{*}$ 5 (CFU/100 $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4$\times$$10^1$-6$\times$$10^1$(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식칼의 표준 평판균수는 1$\times$$10^3$-l$\times$$10^{*}$ 5 (CFU/300$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2$\times$$10^1$-3$\times$$10^1$(CFU/100 $cm^2$)으로 높게 나타났다. 도마는 표준 평판균수가 1$\times$$10^{*}$ 5 (CFU/100 $cm^2$)으로 3곳 모두 높게 나타났고 대장균군 수는 한곳을 제외한 두곳에서 4$\times$$10^1$-9)$\times$$10^1$(CFU/100 $m^2$)으로 높게 나타나 기구류의 보다 철저한 위생관리가 요구되어졌다.

  • PDF

환자중심 간호업무 향상을 위한 간호업무 측정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Nursing Activities and Workload Analysis in a New Open Hospital)

  • 이영신;권영미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3-13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lassification of nursing activity and to analyze the time of nursing workload in a new open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nurses working in 6 general nursing units by 4 trained observers. The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an observation recording sheet and a classification sheet of nursing activity. The classification sheet was constructed to be adaptable to each hospital system based on the instrument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The direct nursing activities consisted of 6 sections, 33 subsections and the indirect nursing activities consisted of 14 sections, 53 subsections. The direct nursing activities included medication, measuring and observation, care of therapies, care of physical comfort, laboratory and treatment. The indirect nursing activities included preparation of medical utensils,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assessment, recording, phone communication, professional interaction related to patients, personal time, assigning work to staff, patient eaucation and training, interaction with lab, transfer of administration of utensils, checking physician's order, dietary service, management of pollution and contagion, guide direction. Nurses spent 127.6min for direct nursing activity during day duty. It was 24.5% of total nursing activity. Within that activity medication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time(40.09%), followed by communication and education with patient(24.76%), measuring and observation (16.93%), laboratory and treatment (12.85%), care of therapies(3.21%) and care of physical comfort (2.16%). The time breakdown for indirect nursing activities is as follows ; the preparation of medical utensils 22.3%,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assessment 20.29%, recording 20.27%, phone communication 8.14%, professional interaction related to patients 7.33%, personal time 7.24%, with the remaining timeshared by staffing, patient education and training, interaction with lab, transfer of administration of utensils, checking physician's order, dietary service, management of pollution and contagion, guide direction.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ing time and the work allocation characters of the nurses(including nurse's experiences. nurse-patients ratio, nurse-rooms ratio, and character of nursing unit)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rect-indirect nursing times between nurse's career yea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rect nursing time between assigned patient numbers. The nurses assigned larger number of patients spent significantly more time in direct nursing care than that of the smaller.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direct nursing workload between the assigned patient numb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rect-indirect nursing time between an allocated patient's room numb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time between working places. The nurse in the medical unit spent more time in direct nursing care than her counterpart in the surgical uni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rect nursing time between two groups.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nurses spent less time in the direct nursing care than in the previous studies even though the hospital system has been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they spent much more time for the coordinating role within the interdisciplinary team and for the overlapping paperwor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patient oriented job description and more efficient usage of modernized utilities be made.

  • PDF

중국 전통 주머니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hinese Jumoni (pouches))

  • 장현주;권수연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23-73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Jumoni (pouches), which takes the most quantity of traditional women's handicrafts in China, and examin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m through demonstrative study focusing on collections of literature and museums. Traditional Jumoni of China included Dae, Nang, Hapo, Tu, Hap, and Chimeui. Its types included a pleated type, a covered type with a lid, an opened type without a lid, and a type that was stitched up after putting objects in it. The Jumoni had various shapes such as a polygon, a circle, and shapes imitating objects. It was used to store cosmetic utensils, sewing supplies, everyday household utensils, valuables, medicinal ingredients, flavoring materials, and so on. It had various figurative characteristics which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women's handicrafts in Korea. Based on the findings, it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accessories that make the best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s well as add modern esthetics have both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modern 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