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perspective

검색결과 403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공데이터 유형화를 위한 분류체계 설계에 관한 사례 연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의 공공데이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for Public Sector Information Typology)

  • 김대기;주원균;김은진;이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51-68
    • /
    • 2014
  • 오늘날의 공공데이터는 일상생활의 편의증진, 새로운 비즈니즈 및 일자리 창출 등의 사회 경제적 가치와 부가적 잠재력을 지닌 중요한 국가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어 해외 선진국들은 공공데이터를 적극 개방하고 민간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창조경제를 지원하는 새로운 정부운영 패러다임으로 정부3.0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개방된 공공데이터는 공급자 관점의 분류체계로 유형화되어 있어 수요자 관점의 접근이나 정보소재 파악이 어려워 민간 활용를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공데이터 개방 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미래창조과학부 산하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대상으로 민간 활용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관점의 데이터 개념을 정의하고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여 정보관리 관점에 따른 5개 유형과 정보활용 관점에 따른 7개 분야, 21개 세부 분야의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WiBro 환경에서의 u-Healthcare 서비스를 위한 무선데이터 품질 측정 방안 연구 (A Study on Wireless Data Quality Measurement Method for u-Healthcare Service in WiBro Environment)

  • 심재성;윤성열;박석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34-841
    • /
    • 2012
  • 유 무선 통신망의 발전과 스마트폰 등 무선 단말을 이용한 모바일오피스 등 무선서비스 이용이 날로 증가하고, 이를 이용한 u-Healthcare 서비스가 각광 받고 있는데, 기존의 품질 측정 기준은 단순히 속도나 에러율 등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u-Healthcare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별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u-Healthcare 무선서비스 사용자의 품질 보장 및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무선 환경을 고려한 무선서비스별 품질 측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관련 연구를 통해 3GPP, WiMAX 포럼, GSMA 등 국제 표준화 기관에서 제시한 주요성능 지표와 사업자 사례를 통해 최종 사용자 관점에서의 WiBro 환경에서 u-Healthcare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별 품질기준 체계를 확립하고 각 서비스별로 품질지표 수립의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제약과 지원 기능이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straint and Supporting Features of Mobile Social Networking Games(SNGs) on User's Satisfaction)

  • 임채린;신영수;김진우;이인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353-367
    • /
    • 2015
  • 피쳐폰 시대부터 최근 소셜 네트워크 게임(SNG)의 광풍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게임은 모바일 폰의 킬러 콘텐츠로써, 큰 시장 규모와 매출을 자랑하고 있다. 게임 분야의 연구 관점에서 보았을 때, 모바일 게임은 플레이 기기의 스펙부터 플레이 환경까지 사용자에게 제약이 많이 주어지므로, 사용자 만족도에 부정적일 것이라는 예측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모바일 게임 사용자는 게임 경험에 굉장히 만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약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또한 제약과 지원이라는 개념을 동시에 독립 변수로 설정하고, 이러한 요인이 사용자의 몰입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 방법론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모바일 게임에서는 제약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약을 통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모바일 게임의 UX 디자인 과정에서 해당 연구들의 결과를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모바일 대중교통 정보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이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 대중교통 모바일 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Mobile Application for Seoul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 이윤재;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25-244
    • /
    • 2016
  •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의 보급률 및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현대인의 생활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용성을 고려하지 않고 끊임없이 생겨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여전히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 이용성 평가는 다양한 요인과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며, 초기의 물리적 편의에서 이용자 중심의 이용에의 만족도 평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그 중 불특정다수가 제약 없이 널리 이용 가능한 교통정보 어플리케이션은 이용자 측면에서의 연구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어플리케이션의 기술적 측면 또는 디자인적 측면에 치중되어 전반적인 이용자 중심의 이용성 평가에 한계가 있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모바일 대중교통 어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들을 통해 이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과제 수행, 심층 면담, 설문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어플리케이션이 다량의 정보를 제공한다 할지라도 본인의 이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에는 큰 매력을 느끼지 못하였고, 오히려 방해 요인으로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형 음악 페스티벌 경험 향상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가이드라인 (A Guideline of Music Festival Experience Through Mobile Application)

  • 주은선;최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6-36
    • /
    • 2015
  • 최근 여가 레저에 대한 관심과 공연 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상을 벗어난 공간에서 여가 생활과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페스티벌의 인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한국에서 대형 음악 페스티벌 산업은 짧은 시간 동안 급성장해왔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게 대중적인 문화로 자리 잡았다. 이 추세에 따라 음악 페스티벌의 규모는 커졌고, 이와 함께 등장한 대형 음악 페스티벌은 사용자에게 공연을 포함한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대형 음악 페스티벌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일회적인 편의에 그치고 있으며 사용들에게 축제 경험을 주기에는 부족한 모습을 보여 왔다. 페스티벌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하나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마찬가지이다. 음악 페스티벌의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으나 조사 결과 기존 앱들은 상황에 따라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용자 조사를 통해 음악 페스티벌을 즐기는 사람들의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기능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 조사 결과에 따른 앱의 개선방향과 기능을 제안하는 단계까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령자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UI 사용성 평가영역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Usability Evaluation of Mobile Healthcare Application for the Elderly)

  • 서효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59-1767
    • /
    • 2018
  • 우리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에 따라 고령자들의 질병예방 및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령자들의 모바일 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사용성을 높이기위해서는 고령자 관점에서UI 환경이 설계되어야하며, 이러한UI 사용성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평가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관점에서의 헬스케어 애플리케이션 UI 사용성 평가영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문헌분석을 실시하여 개략적인 UI 사용성 평가요인을 탐색하였으며, 전문가 집단과 사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FGI를 실시하여 UI 사용성 평가영역 및 세부 평가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고령자 관점의 UI 사용성 평가영역은 크게 '디자인 영역', '콘텐츠 영역', '프로세스 영역', '시스템 영역'의 4가지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들에 대한 13개의 세부 평가요인과 32개의 구성개념들이 도출되었다.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효과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me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 백지원;표순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115-139
    • /
    • 2020
  • 본 연구는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공공도서관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효과를 이용자 관점에서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 요소들을 서비스 이용, 사서, 도서관 차원에서 도출하였고, 테마 컬렉션 서비스를 주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 A공공도서관 이용자 294명을 대상으로 효과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테마 컬렉션을 알고 있는 이용자들의 장서 만족도가 그렇지 않은 이용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생각지 못한 새로운 도서의 이용에 대한 만족에 높은 효과 인식을 보였다. 또한, 테마 컬렉션 효과 인식도 긍정적인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인식은 오래전부터 도서관을 이용해왔던 이용자, 자주 이용하는 핵심 이용자들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브라우징을 많이 하는 이용자들일수록 사서의 역량에 대한 효과 인식도가 높았다. 이러한 테마 컬렉션에 대한 이용자 인식과 평가를 바탕으로 테마 컬렉션의 효과와 의의를 반영하여 장서개발, 장서의 활용 및 정보서비스 제공, 이용자 중심의 분류,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개선의 관점에서 테마 컬렉션 서비스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폰 기반의 사용자 상황인지 플랫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r Context Awareness based on the Smart Phone)

  • 김기백;장원석;최재완;임철수;최종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9-119
    • /
    • 2012
  • 이동통신 및 휴대폰 관련 사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출현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은 향후 가장 주목받는 기술로 전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황인지(context-awareness) 인터페이스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스마트 폰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측정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정지 및 이동상황, 조도, 위치, 장소에 관한 상황을 설정함으로써 인지된 상황에 적절한 이벤트를 발생하여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사용자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안한 인터페이스 플랫폼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슈팅 게임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방법들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은 게임 환경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환경에서의 인터페이스 구현에 응용이 가능하다.

HCI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규칙스키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ule Schemas of User Interface in HCI Devices)

  • 김흥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83-91
    • /
    • 2013
  • 인간의 많은 작업이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행됨에 따라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CI 연구의 한 가지 목표는 좀 더 일관성 있는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대표적인 인지모형으로 TAG(Task Action Grammar), GOMS(Goals - Operators - Methods - Selection Rule), 그리고 GTN(General Transition Network)이 있다. 이 중 TAG는 규칙스키마의 개수를 가지고 시스템의 일관성을 평가한다. 즉, 사용자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작업을 할 때 익혀야 할 규칙스키마의 개수가 적으면 적을수록 그 시스템의 일관성은 높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TAG에서 시스템의 일관성을 측정할 때 단순히 규칙스키마의 개수뿐만 아니라 규칙스키마 사이의 거리도 역시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즉, 규칙스키마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짧을수록 모든 규칙스키마를 습득하기가 쉬워질 것이다. 실험결과 이 가설은 확인되었다. 따라서 시스템을 설계할 때 규칙스키마의 개수뿐만 아니라 규칙스키마 사이의 거리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어린이 및 동반 성인 이용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Users' Awareness and Needs of Exhibit Services in the Presidential Archive : Focusing on Children and Accompanying Adults)

  • 김혜윤;김지현
    • 기록학연구
    • /
    • 제62호
    • /
    • pp.139-183
    • /
    • 2019
  • 오늘날 기록관은 생존과 발전을 위해 이용자에게 더욱 친근하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나아가고, 세분화된 이용자의 행태와 요구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의 구축은 대중의 의식을 전환시키고 현재와 앞으로의 고객을 확충하기 위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어린이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전시서비스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대통령기록관의 전시서비스 사례와 현황을 알아보고, 대통령기록관을 방문하여 전시서비스를 경험한 어린이 및 어린이를 동반한 성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 이용자의 관점을 토대로 기록관 전시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살펴본 어린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은 기록문화의 확산과 어린이 이용자의 방문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