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27s location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6초

LDA를 이용한 온라인 리뷰의 다중 토픽별 감성분석 - TripAdvisor 사례를 중심으로 - (Multi-Topic Sentiment Analysis using LDA for Online Review)

  • 홍태호;니우한잉;임강;박지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1호
    • /
    • pp.89-110
    • /
    • 2018
  • Purpose There is much information in customer reviews, but finding key information in many texts is not easy. Business decision makers need a model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propose a multi-topic sentiment analysis approach us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for user-generated contents (UGC).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paper, we collected a total of 104,039 hotel reviews in seven of the world's top tourist destinations from TripAdvisor (www.tripadvisor.com) and extracted 30 topics related to the hotel from all customer reviews using the LDA model. Six major dimensions (value, cleanliness, rooms, service, location, and sleep quality) were selected from the 30 extracted topics. To analyze data, we employed R languag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pose a lexicon-based sentiment analysis approach for the keywords-embedded sentences related to the six dimensions within a review.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sentiment analysis results of each topic with the real attribute ratings provided by the platform. The results show its outperformance, with a high ratio of accuracy and recall. Through our proposed model, it is expected to analyze the customers' sentiments over different topics for those reviews with an absence of the detailed attribute ratings.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System

  • Song, Ha-Ryeong;Kim, Young-Ki;Kim, Seu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6호
    • /
    • pp.27-37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to small enterprisers who start their busines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makes the small enterprisers more stable with providing the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System service, which offers the location and business area's information aimed at pre-enterprisers after analyzing its overcrowded index's current state and problem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propose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for helping the pre-small enterprisers to have more stability through examining the Business District Information System's-operated by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overcrowded index's current state and problems. Results - This system has drawbacks about giving the start-up overcrowded index as follows: ① non-accurate consultative group for sharing the DB ② providing analysis information, not evaluation information ③ not to anticipate the changes of business types & the flow of business district and perceive the symptom data with providing predictive information. Conclusions - This system should be more publicized through the mass media for making it approachable with collecting the user's opinion and investigating customer satisfaction & the level of awareness.

Development of a Targeted Recommendation Model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in the Whole Disaster Chain

  • Su, Xiaohui;Ming, Keyu;Zhang, Xiaodong;Liu, Junming;Lei, D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1호
    • /
    • pp.14-27
    • /
    • 2021
  • Strong earthquakes have caused substantial losses in recent years, and earthquake risk prevention has aroused a significant amount of attention.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can help improve the self and mutual-rescue abilities of people, and can create convenient conditions for earthquake relief and reconstruction work. At present, it is difficult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s to meet the information requirements of multiple scenarios, as they are highly specialized. Aiming at mitigating this shortcoming,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four user roles (government users, public users, social force users, insurance market users), and summarizes their requirements for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in the whole disaster chain, which comprises three scenarios (pre-quake preparedness, in-quake warning, and post-quake relief). A targeted recommendation rule base is then constructed based on the case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user's location, the earthquake magnitude, and the time that has passed since the earthquake occurred, a targeted recommendation model is built. Finally, an Android APP is implemented to realize the developed model. The APP can recommend multi-form earthquake risk prevention products to users according to their requirements under the three scenarios. Taking the 2019 Lushan earthquake as an example, the APP exhibits that the model can transfer real-time information to everyone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an earthquake.

정형검증 도구인 Casper를 이용한 VANET 인증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f VANET Authentication Protocol using Casper in the Formal Verification)

  • 이수연;안효범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2012
  •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은 지능형 차량들로 이루어진 애드혹 네트워크 환경으로서 최근 들어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VANET은 원활한 교통 소통, 사고 방지 등 여러 가지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그 기반을 애드혹 네트워크에 두고 있기 때문에 애드혹 망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가지고 있고 또한 그 환경적 특성에 따라 추가적인 보안 요구 사항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해쉬함수를 이용한 기존의 V2I 인증프로토콜에 대하여 검토하고, 이를 정형적 검증 방법인 Casper를 이용하여 인증 프로토콜의 안정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안전함을 증명하였다.

Designing Study on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Solar Photovoltaic Mini-Grid Project in Nepal

  • Poudel, Prasis;Bae, Sang-Hyun;Jang, Bongseo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89-97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he comprehensive feasibility study of solar mini-grid project located in Bajhang District, Sudur Paschim Province, Nepal.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suitable size solar mini-grid system to meet electricity demand of proposed settlements of the village people. The study forecasts that the estimated average daily peak power consumption of load is about 20kW and average daily energy demand of load is about 100-150kWh/day in the base year 2022. The shared ratio of productive end uses is about 25% of the total power consumption and about 27% of the total energy demand, which will be used for small business/income generation activities and required 45kWp size solar power generation mini-grid system. The estimated project cost for the proposed 45kW solar mini-grid system technology, including 3 years of operation & maintenance, as well as power distribution network up to end user's premises is about 0.24 million USD. It is concluded that 45kWp photovoltaic mini-grid is feasible for the location.

의료소비자들의 의료기관 종별 정보탐색 행태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 이선희;조우현;채유미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95-11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consumer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1,507 persons who were selected through a multi-stage stratified area cluster sampling in nationwide level, excluding Jeju-Do. Personal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door-to door survey from 27 July to 10 August 1999.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ing; 1. The proportion of information searching of respondents ranged from 91.5-95.2%.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user in university hospital was slightly high, ther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In terms of information source, personal informer was most common information source in all type of medical institution. Public informers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university hospital visitors and professional informer in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 visitors. 2. Comparing to searching intensity, user informer and professional informer's influences were more powerful,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nalysis of unit influence for information source, written informer or public informer was more powerful in clinic visitor, professional informer and written informer in university hospital visitor. 3. Information which consumer want to know mostly were about on special potential and career of physician. The clinic visitor wanted to know about institutional location and kindness of medical personnel. The university hospital visitor also wanted to know about facilities and convenience of process. Comparing to institution selection criteria of consumers at 1991, quality related criteria were recognized more importantly in outpatient and dental services. But in case of inpatient services, convenience factor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ly. In conclusion, the effort for specific marketing plan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 should be needed. And more concern on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consumer will be needed.

  • PDF

갱신을 고려한 전자해도 소형화 연구 (Study of the ENC reduction considering Update)

  • 심우성;박재민;서상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5-430
    • /
    • 2003
  • 전세계 어디서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위성항법시스템과 더불어 LBS(Location Based Service)라고 하는 지형정보와의 융합 기술 분야가 해양에도 확대되고 있다. 해양의 LBS는 아직 본격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지형정보를 사용하게 되는데, 해양의 기본 지형정보로는 전자해도 (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전자해도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그 규모에 있어 대형선과 고용량의 처리능력을 갖는 시스템들이므로 어선이나 레저용 보트와 같은 소형선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의 소형화 및 사용 데이터의 소형화가 필요하며 근래 각광을 받고 있는 PDA, 웹패드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배경으로 대두된 소형시스템에의 지형정보 사용, 특히 국가공인 데이터인 전자해도를 모바일 플랫폼에서 사용하기 위한 전자해도의 소형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전자해도는 그 구조와 내용에 많은 부가정보와 형식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소형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의 내용과 형식의 측면을 고려하여 데이트를 소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전자해도의 갱신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였다. 데이터의 소형화는 상당한 데이터 및 정보의 손실을 감수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을 통해 가능한 적은 데이터와 정보의 손실만으로 모바일 플랫폼기반의 시스템에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한 기본적인 전자해도의 소형화 방안을 제시항 향후 도출될 수많은 소형시스템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OS 기반 지능형 무인 배송 로봇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ROS-Based Intelligent Unmanned Delivery Robot System)

  • 공성진;이원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610-61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Robot Operating System(ROS) 기반의 모바일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이용한 무인 배송 로봇 시스템을 구현하고 시스템 구현을 위해 사용된 기술에 대해 소개한다. 로봇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건물 내부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모바일 로봇과 진공 펌프를 부착한 Selective Compliance Assembly Robot Arm(SCARA)-Type의 매니퓰레이터로 구성된다. 로봇은 매니퓰레이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 분할과 모서리 검출을 통해 배송물을 들어올리기 위한 위치와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스마트폰 앱 및 ROS와 연동된 웹서버를 통해 배송 현황을 조회하고 로봇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You Only Look Once(YOLO)와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OCR)을 통해 배송 스테이션에서 배송물과 주소지를 인식한다. 아울러 4층 건물 내부에서 진행한 배송 실험을 통해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유료도로의 교통수요분석에 있어서 통행시간가치 차등화 필요성 검토 (A Review about the Need for Modelling Toll Road with Different Value of Travel Time)

  • 김재영;손의영;정창용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40
    • /
    • 2009
  • 도로 건설비용의 회수, 혼잡완화 등의 목적을 위해 일부 도로에서는 통행요금을 부과하고 있으며, 민간투자사업의 활성화로 인해 유료도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통행요금 부과는 이용경로, 출발시간, 수단선택 등에 영향을 주며, 이 중 경로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 때 도로의 요금수준과 이용자의 지불의사 또는 통행시간가치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데, 국내에서는 통상 임금수준에 기초한 통행시간가치를 적용하고 있다. 현행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로의 요금수준에 따른 교통수요변화를 살펴보면 요금탄력성이 상당히 높은 경우부터 낮은 경우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대안 경로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 경로에 전량 배정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요금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는 통상 대안경로의 존재 및 혼잡정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나, 최단경로에 전량배정되는 것과 비슷한 현상을 보이는 점은 다소 비현실적이라 판단된다. 현실적인 유료도로 수요를 추정하기 위한 방법론 개발은 장래 예상 수입액 산정 뿐만 아니라, 적정요금 수준 및 부과지점 선정, 요금부과 전략수립 등에 있어서도 매우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 분석시 통행요금 고려방안을 중심으로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통행시간가치를 차등화하여 통행배정을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단일의 시간가치를 이용하는 것에 비해 시간가치를 차등화 하였을 때의 요금변화에 따른 유료도로 통행수요 변화 현상이 보다 현실적인 점을 알 수 있었다.

스테레오 증강현실 홀로그래피에서의 삼차원 공간감 비교 (Comparison of 3D Space Perception for the Stereoscopic AR Holography)

  • 김민주;원광연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27
    • /
    • 2013
  • 최근 플로팅 방식의 홀로그램이 전시, 교육, 광고 등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 하프 미러 방식은 플로팅 홀로그램 중 가장 널리 쓰이는 방식 중 하나이다. 하지만 하프 미러 방식은 완벽한 3차원 홀로그램의 경험을 주지는 못한다. 이미지가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이기는 하나, 홀로그램의 궁극적 목표인 공간상에 가상 이미지를 표현하지는 못한다. 더욱이 하프 미러 후면에 실제 오브젝트를 두고 가상의 이미지와 결합하여 함께 보여주고자 할 때, 두 객체가 공간상에서 불일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증강현실 홀로그래피에서의 삼차원 공간감 비교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3차원 공간에서의 정확하고 효율적인 증강현실 구현을 위하여 하프 미러 기반 홀로그래픽 시스템에 입체 영상기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하프 미러 필름 후면에 위치한 실제 오브젝트와 하프 미러를 통해 반사된 가상 이미지가 같은 공간상에 함께 어우러져 있는 것처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뎁스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게 가상 카메라를 조절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패러럭스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단지 하프 미러 필름을 통해서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하게 실제 객체의 위치와 같은 공간상에 증강된 시각 정보를 표현한다. 제안한 증강현실 홀로그래피에서의 삼차원 공간감에 대해 비교 실험을 한 결과, 2D 이미지를 적용한 경우 보다 3D 이미지 혹은, 3D 이미지와 사용자 인터랙션을 함께 적용한 경우, 사용자에게 3차원 공간감, 현실감(realism)을 더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