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runoff

검색결과 581건 처리시간 0.025초

인터넷 수문관측시스템을 이용한 도시수문 모니터링 (Urban Hydrologic Monitoring due to Internet Hydrologic Monitoring System)

  • 서규우;김남길;나현우;이인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321-1325
    • /
    • 2004
  • The continuous monitoring of the runoff in the small-scaled urban watershed and easily accessible experiment catchmen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overall status of the development in the urban catchment and the varying aspects of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due to the urbanization. However, the research on the mana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scaled model basin for discharge tests has not been actively performed up to now. This study selects the Dong-Eui university basin, which locates at Gaya-dong in Busan, as the experiment catchment to monitor the discharge rate in the urban watershed. EMS(DEMS, DATA-PCS EMS, mini rain gage & AWS(AWS-DEU, DATA-PCS AWS) monitoring system installed for the collection of hydrological data such as the rainfall and the waterlevel. This experiment catchment is the typical urban catchment and is under development, and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varying aspects of the discharge rate during and after the development.

  • PDF

도시유역(都市流域)의 홍수량(洪水量) 산정(算定)을 위한 도시유출모형(都市流出模型) 연구(研究)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Runoff Models)

  • 원석연;윤용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35-14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도시(都市) 배수유역(排水流域)으로부터의 홍수량(洪水量) 산정(算定)을 위해 개발된 기존(旣存)의 각종(各種) 도시유출모형(都市流出模型)을 국내(國內)의 표본유역(標本流域)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실측치(實測値)와 비교함으로써, 국내유역(國內流域)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합리식(合理式), BRRL방법(方法), KPRRL방법(方法) 그리고 ILLUDAS모형(模型)의 4가지 방법을 표본유역(標本流域)인 휘경(徽慶) 용두(龍頭) 유수지(遊水地) 유역(流域)에 적용하여 총 10개의 실측호우(實測豪雨)에 대한 홍수량(洪水量)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유수지(遊水地)로의 유입량(流入量)과 비교하여, 첨두홍수량(尖頭洪水量), 유출용적(流出容積) 및 수문곡선(水文曲線)의 형태(形態)를 기준으로하여 각 방법별 적정성(適正性)을 판단하였다. 합리식(合理式)과 KPRRL방법(方法)은 소유역(小流域)으로 부터의 첨두홍수량(尖頭洪水量)의 산정(算定)을 위해서만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ILLUDAS모형(模型)에 의한 결과가 실측치(實測値)에 가장 접근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므로 ILLUDAS모형(模型)을 국내(國內)의 도시유역(都市流域)으로부터의 홍수유출량(洪水流出量) 산정(算定)을 위한 최적모형(最適模型)으로 선정하였다.

  • PDF

Analysis of pollutant build-up model applied to various urban landuse

  • Choi, Jiyeon;Na, Eunhye;Ryu, Jichul;Kim, Jinsun;Kim, Hongtae;Shin, Dongsuk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0권1호
    • /
    • pp.13-17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the application of pollutant build-up model on various urban landuses and to characterize pollutant build-up on urban areas as a source of stormwater runoff pollution. The monitored data from impervious surfaces in urban areas such as commercial (8 sites), industrial (10 sites), road (8 sites), residential (10 sites), recreational (5 sites) from 2008 to 2016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pollutant build-up model. Based on the results, the average runoff coefficients vary from 0.35 to 0.61. In all landuses except recreational landuse, the runoff coefficient is 0.5 or more, which is the highest in the commercial area. Commercial landuse where pollutants occur at the highest EMC in all landuse, and it is considered that NPS management is necessary compared with other landuses. The maximum build-up load for organic matter (BOD) was highest in the commercial area ($4.59g/m^2$), and for particular matter (TSS) in the road area ($5.90g/m^2$) while for nutrient (TN and TP) in the residential area ($0.40g/m^2$, $0.14g/m^2$). The rate constants ranged from 0.1 to 1.3 1/day depending on landuse and pollutant parameters, which means that pollutant accumulation occurs between 1 and 10 days during dry day. It is clear that these build-up curves can generally be classified based on landuse. Antecedent dry day (ADD) is a suitable and reasonable variable for developing pollutant build-up functions. The pollutant build-up curves for different landuse shows that these build-up curves can be generally categorized based on landuse.

유역형상을 고려한 도시 단위 소유역의 유출 해석 (Runoff Analysis for Urban Unit Subbasin Based on its Shape)

  • 허성철;박상식;이종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5호
    • /
    • pp.491-501
    • /
    • 2008
  • 도시 배수구역의 유출특성을 해석하기 위하여서는 유역의 지형특성 및 유출경로를 고려하여 소유역을 분할하고 배수계통에 대한 유출량을 분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각 소유역의 도달시간과 시간-면적곡선은 유역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이로 인한 유출특성 또한 크게 변화하게 된다. SWMM 및 ILLUDAS 모형에서는 유역형상을 단순 직사각형으로 가정하여 해석함으로써 유역의 기하학적 형상이 지표면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의 FFC2Q 모형 개발연구에서는 유역형상을 고려하여 지표면 유출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유출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도입하였다. 즉, 지표면 유출해석을 위한 시간-면적곡선법의 적용에서 단위 소유역의 형상을 대칭형(사각형, 타원형, 마름모꼴), 분산형(삼각형, 사다리꼴), 집중형(역삼각형, 역사다리꼴) 형태로 각각 유형화하여 지표면 유출해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유역의 형상에 따라 유출특성이 크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배수구역(군자 배수구역)에 적용한 결과 유역형상을 직사각형 보다는 마름모꼴로 적용한 경우에 첨두유출량과 유출수문곡선의 형태에서 실측치에 보다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 줌으로 써 개선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역형상을 고려한 경우에는 첨두유출량의 경우 분할 수에 큰 영향이 없이 실측치와 유사한 안정된 값을 나타내고 있으나, 사각형으로 단순화한 경우에서는 유역 분할 수가 계산 결과치에 민감한 영향을 주었다.

도시 유역 강우유출수 내 중금속 농도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urban stormwater runoff, Daejeon, Korea)

  • 유은진;서동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0호
    • /
    • pp.917-92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대전 관평천의 도시유역에서 2017~2018년에 발생한 강우 20건의 유출수를 연속적으로 채취하여 As, Cd, Cr, Cu, Ni, Pb 및 Zn의 중금속 및 총고형물질(TSS) 농도와 유량을 분석하고, 강우특성과 수질 변화의 강우사상별 및 시간별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일정 강우강도에서 오염물질의 최대농도는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강우량 및 강우강도가 작은 경우에는 일정 시간 경과 후 발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강우지속시간은 중금속 농도 및 부하량과 큰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Cu와 Zn을 제외한 중금속 질량은 강우강도(0.60~0.88) 및 총강우 유출량(0.74~0.89)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강우 시 유량가중평균농도와 선행무강우일수 또한 양의 상관성(0.54~0.73)을 보이는 반면, 30분 강우강도로 표현된 시간별 유출량과 TSS 및 중금속 농도는 전혀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무강우 기간 동안 지표면에 축적된 오염물질이 최소한의 강우 에너지에도 세척효과가 발생하여 강우특성과는 무관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중금속과 TSS 농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특성은 상관계수가 0.68~0.87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냈다. 이는 고형물질의 이동과 중금속 물질의 이동이 함께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동시에 중금속이 고형물질에 흡착되어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강우 시에 유역 표면의 고형물질을 청소 등으로 사전에 제거할 경우 하천으로 유입되는 중금속오염물질의 양을 현격하게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지역에 적용된 LID 기법의 강우시 수문특성 및 물순환 평가 (Assessment of Water Circulation and Hydro-characteristics with LID techniques in urbanized areas)

  • 최혜선;홍정선;전민수;케빈;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1-198
    • /
    • 2019
  • 도시지역의 높은 불투수면은 강우시 지표 유출량을 증가시키고 지하침투량을 줄이면서 물순환을 왜곡시킨다. 왜곡된 물순환은 도시침수와 가뭄, 비점오염유출로 인한 수질오염 및 수생태계 훼손 등의 다양한 도시환경 문제 등을 유발시킨다. 기후변화는 도시강우의 계절적 편중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도시 미기후에 영향을 줌으로써 도시침수와 가뭄의 강도 및 빈도를 증가시킨다.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법은 도시내 자연적 물순환 체계를 회복함으로써 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환경문제를 줄일 수 있는 기법으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 내 적용된 다양한 LID 기법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LID 적용 이후 수문특성의 변화와 물순환 회복에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LID 시설의 높은 저류량과 침투능력은 강우시 첨두유출 저감과 유출지연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ID 시설에서 강우시 평균 유출저감효과는 6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역면적 대비 LID 시설 면적비(Surface area of Catuchment area, SA/CA)와 LID 저류 용량은 첨두유출 저감과 유출지연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었다.

안양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원에 따른 유출부하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during Rainfall in Anyangchun Watershed)

  • 황병기;유세진;차영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3호
    • /
    • pp.223-234
    • /
    • 2001
  •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s, which wash off pollutants from the surface of basin during rainfall and affect water pollution of streams. An Anyangchun basin in the region Ewiwang City was selected as a study site. The basin divided into several subbasins such as Wanggokchun, Ojeonchun, and Anyangchun based on the tributaries, which confluence to the main stream of Anyangchun. Four times of field examination had been carried out between July and August of 2000, and water quality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s had been analysed. The survey includes in-situ flow, DO and PH measurements in the outlet of catchment. Laboratory analysis includes BOD, TN, TP. From the result, pollutant by runoff of nonpoint sources were washed out along with stormwater in the beginning of rainfall, and flowed into streams resulted in stream pollution. In case of BOD, the load from Ojeonchun catchment, most of which included urban areas, took up 50% of the total load from the entire watershed. Thus, by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runoff load by urban nonpoint sourc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s for the watershed.

  • PDF

토지이용별에 따른 초기강우 유출량의 비점오염물 특성 분석 (Nonpoint Pollutants Sources Characteristics of Initial Surface Runoff on the Land Use Types)

  • 최윤영;정세영;최정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7-42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s source at the urban and rural zones in sangju area. The monitoring was conducted with seven events for ten months and Event mean Concentration(EMC) and First Flush Effect(FFE) of SS and BOD were calculated on the result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During rainfall event, the peak concentrations of SS and BOD were observed after 3~4 hours of rainfall in rural areas. Whereas, the peak concentrations occurred within 1~2 hours after rainfall and then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PS pollutants sharply decreased, showing strong first flush effect in urban areas. The cumulative load curves for NPS pollutants showed above the $45^{\circ}$ straight line, indicating that fist flush effect occurred in urban areas. The mean SS EMC values of rural areas ranged from 0.9~3.3mg/L, it was higher value when compare to urban areas. While the mean BOD values of urban areas were shown the highest values.

도시화 진행에 따른 유역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Runoff Characteristics Change of a Basin under Urbanization)

  • 손광익;김민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89-93
    • /
    • 2010
  • 유역의 급격한 도시화는 지체시간, 첨두유량 및 총 유출량 등 홍수 유출특성 뿐만 아니라 개발행위에 따른 토사유출특성 변화를 초래하여 배수관로내의 토사퇴적을 유발하여 도시홍수 발생 가능성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가 진행 중인 시험유역을 선정하여 지난 3년 동안 토지이용분포의 변화양상은 물론 강우 및 수위 자동계측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유출수문 특성을 계측하였으며 유량-유사량 관계곡선을 유도하였다. 실측결과로부터 호우사상별 토지이용분포 변화에 따른 유출률과 첨두유출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역개발 건설과정에 따른 토사유출량의 변화특성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합리식의 유출계수는 증가하였다. 토사의 경우 공사기간 중 유출량의 변화가 심하다는 사실과 특히, 공사기간 중 1 cms 미만의 유출을 유발하는 소규모 강우에 의한 부유사 유출은 약 10배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소류사의 경우 강우의 크기에 민감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R3M-II를 이용한 도시배수유역의 유출해석 (Runoff Analysis of Urban Drainage Using DR3M-II)

  • 민상기;이길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9호
    • /
    • pp.699-711
    • /
    • 2005
  •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의 강우-유출모형 DR3M-II(Distributed Routing Rainfall-Runoff Model)를 이용해 도시배수유역의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DR3M-II는 강우사상을 입력자료로 하여 수지상의 관거 또는 자연수로망으로 구성된 도시유역에서의 유출추적을 위해 개발된 모형이다. 대상유역인 산본신도시에서의 실측유출자료를 이용한 모형의 검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Rosenbrock기법을 이용해 최적매개변수를 유도하였다. 검증결과 첨두유출량의 평균오차는 $7.4\%$로 상당히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비교적 작은 강우강도의 비가 내릴 경우는 유효 불투수지역의 면적이 첨두유출량이나 유출체적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였으나, 큰 강우강도에서는 조도계수와 유역경사를 정의하는 운동파방정식의 계수 ${\alpha}$가 가장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첨두유출량보다는 유출체적이 침투능이나 토양함수조건을 정의하는 매개변수에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매개변수 ${\alpha}$는 첨두유출량에 보다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