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tunnelling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1초

Internet 기반의 터널 시공 위험도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rnet-Based Tunnel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System)

  • 유충식;김재훈;박영진;유정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79-686
    • /
    • 2002
  •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cost of a tunnelling project in urban environments is, therefore, devoted to prevent ground movement. Therefore, prediction of ground movements and assessment of risk of damage to adjacent buildings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of th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tunnelling project in the urban environments. An internet-based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and building damage assessment system (IT-TURIM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o Daegu Metro Subway Line tunnel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This paper describes the concept and implementation of IT-TURIMS. Practical significance of tunnelling risk assessment is also discussed.

  • PDF

도심지 터널 근접시공에 의한 기존 지하철 구조물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existing subway structure by adjacent excavation in urban tunnelling)

  • 한상민;이동혁;박두희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39-357
    • /
    • 2021
  • 도심지에서의 교통인프라 개발이 활발해 지고, 대심도 지하터널을 이용한 도시의 기반시설 확충으로 인하여 기존 운영되거나 설치된 시설물 또는 구조물 상호 간의 근접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근접시공으로 인한 시설물 또는 구조물에 미치는 안정성 확보여부는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관련법에 의하여 지하터널공사에 따른 지하안전영향 평가를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접시공으로 인한 정거장구조물 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북선도시철도 터널이 계획된 노선 상부의 지하철 6호선 고려대역 정거장 구조물을 대상으로 신설터널에 의한 기존 구조물에 미치는 안전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거장구조물의 안전영역 평가 및 굴착방법에 대한 검토와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다. 구조물 손상도 평가, 궤도 틀림 및 기존 구조물과 건물 안정성 평가 결과 근접터널공사에 따른 기존 정거장 구조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도심지 터널공사에서 근접시 공시 기존의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검토하는 경우 기본적인 기초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터널굴착에 타른 인접건물의 거동평가에 대한 모형실험연구 (Model tests for the behavior assessment of adjacent buildings in urban tunnelling)

  • 황의석;김학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51-261
    • /
    • 2007
  • 본 연구는 터널굴착 공사에 의한 지반거동을 평가하여, 구조물의 형상, 위치, 굴착공정 변화등의 다양한 조건과 지반/구조물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모형실험을 기본으로 수행하였다. 굴착진행 단계에 따른 구조물의 손상 거동 평가시 인접 구조물이 밀집된 도심지 굴착에서는 보다 안전하고 보수적인 평가가 나타나는 각변위와 수평변형율에 의한 손상도표를 활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모형실험시 구조물에 발생된 균열의 손상수준을 손상도표에서 평가해 본 결과, 균열손상 수준이 적용된 평가가 각변위와 수평변형율만 적용된 손상수준보다 안전측으로 평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각변위와 수평변형율 뿐만 아니라 균열이 고려된 손상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implified Numerical Load-transfer Finite Element Modelling of Tunnelling Effects on Piles

  • Nip, Koon Lok (Stephen);Pelecanos, Loizos
    • 자연, 터널 그리고 지하공간
    • /
    • 제21권2호
    • /
    • pp.117-129
    • /
    • 2019
  • Tunnelling in urban environments is very common nowadays as large cities are expanding and transportation demands require the use of the underground space for creating extra capacity. Inevitably, any such new construction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xisting nearby infrastructure and therefore relevant assessment of structural integrity and soil-structure interaction is required. Foundation piles can be rather sensitive to nearby tunnel construction and therefore their response needs to be evaluated carefully. Although detailed three-dimensional continuum finite element analysis can provide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is behaviour of piles, such analyses are generally very computationally demanding and may require a number of material and other model parameters to be properly calibrated. Therefore, relevant simplified approaches are used to provide a practical way for such an assessment.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method where the pile is modelled with beam finite elements, pile-soil interaction is modelled with soil springs and tunnelling-induced displacements are introduced as an input boundary condition at the end of the soil springs. The performance of this approach is assessed through some examples of applications.

도심지 터널굴착에 따른 인접 구조물과 지반거동의 상호영향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 (A Parametric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Ground Movements and Adjacent Structures in Urban Tunnelling)

  • 강봉재;황의석;이봉렬;김학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5-492
    • /
    • 2000
  • Current design practice for the prediction of tunnelling-induced ground movements depends on empirical methods, which are based on many assumptions and simplification of the modeling. Some discrepancies between the predictions and the measurements of ground movements regarding adjacent structures are inevitable. In order to investigate tunnel-induced ground movements affect on the settlement of existing structures as well as existing structures affect tunnel-induced ground movement, 2-D elasto-plastic finite element analysis are performed. The following influencing factors such as load of the structures, the width of structures, its bending and axial stiffness, its position relative to the tunnel are considered in the numerical analysis.

  • PDF

쉴드터널에서의 뒷채움주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ckfill Injection of Shield Tunnelling)

  • 민덕기;백진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5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01-210
    • /
    • 1995
  • In Resent years, urban tunnels have been more deeply constructed due to the congestion of buried steuctures. In such conditions, the shield method has become one of the popular urban tunnelling method by reason of several characteristics ; safety of construction, mimium environmental damage, and workbility. In tunnelling, the space which is tail-void are creat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other face of the primary lining. in other to reduce the ground seformation, it is important backfilling in tail-void. In this paper, the result of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undertaken to evaluate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ties of grouts composed of various mixtures of backfill materials. And the backfill injection model test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e effects of tail-void.

  • PDF

복합지반에서 TBM 굴진 진동을 고려한 지표침하에 대한 수치모델링 (Numerical simulation for surface settlement considering face vibration of TBM tunnelling in mixed-face condition)

  • 곽창원;박인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33-33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심지 천층터널에서 현재까지 해석에서 무시되던 막장면 진동이 주위 구조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지표 침하에 대하여 3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풍화토와 풍화암이 각각 50%의 비율로 구성된 복합지반을 고려하여 TBM 커터헤드에 발생하는 굴착시 토크를 산정하여 이를 시간에 따라 막장면에 재하함으로서 그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관찰하였다. 3차원 유한차분해석법을 이용하여 역학-동역학 연계해석을 통하여 지표침하 발생이력 및 분포도를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하여 막장면 진동하중에 의한 지표침하 발생경향을 성공적으로 모델링할 수 있었으며 최대 침하는 막장면에서 2.5D 후방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막장면 진동이 실제 지표침하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대심도 도심지 터널시공에 의한 기존 지하철 터널 안전영향 평가 (Safety Effect Evaluation of Existing Metro Tunnel by Deep Urban Tunnelling)

  • 한상민;이동혁;이승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9호
    • /
    • pp.37-50
    • /
    • 2021
  • 최근 도심지구간에서 지하공간을 활용한 도시 기반시설 구축으로 인하여 시설물 상호 간의 인접한 근접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근접시공으로 인한 기존 시설물의 안정성과 관련된 민원이 상당한 이슈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심도 도심지 구간에 신설되는 도시철도 터널의 근접시공으로 인한 기존 지하철의 터널구조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동북도시철도 터널이 계획된 노선 상부의 지하철 6호선 터널구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 지하철 터널구조물의 안전영역 평가 및 굴착방법에 대한 개략적인 검토와 수치해석을 통한 상세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건물 손상도 평가, 궤도틀림 및 구조물 안정성 검토결과 근접시공에 따른 지하철 터널 구조물 및 주변 건물의 안정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대심도 도심지 터널 건설에 따른 기존 터널 구조물 및 주변 건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실용적인 참고 자료뿐만 아니라 터널 지하안전영향평가에 대한 실무 적용사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