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revitalization

검색결과 224건 처리시간 0.024초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효과분석 - 건대앞 노유거리, 성신여대앞 하나로거리, 이대앞 찾고싶은거리를 중심으로 - (A Post Assessment of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District Unit Plans)

  • 강준모;박현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D호
    • /
    • pp.89-98
    • /
    • 2010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시행된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사례인 "건대앞 노유거리, 성신여대입구 하나로거리 이대앞 찾고싶은거리"를 분석함으로써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성과 및 한계와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건대앞 노유거리계획과 성신여대 앞 하나로거리계획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이 처음 시행된(건대 앞 노유거리 : 2001년, 성신여대 앞 하나로거리: 2002년) 의미 있는 거리이며 이후 2005년 시행된 이대 앞 찾고싶은거리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경우 앞서 시행된 두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여 시행된 측면이 있어 앞의 2개 사업과의 비교를 위하여 함께 분석을 실시하였다.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에 의한 사업은 물리적 가로환경변화에 초점을 맞춰 거리이용특성, 가로시설물, 가로입면의 3가지 측면에서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계획에 의한 사업 효과 분석은 사업 전 후 현황을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의 시행지침에 제시된 3가지 목표의 (목표1. 상점 및 필지별 개보수와 연계할 수 있는 환경개선, 목표2. 이용방식의 개선을 통한 환경개선, 목표3. 서울시 및 자치구의 공공사업과 연계한 설계대상) 달성 수준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Strategies for Acceleration of Damaged Area Restoration Project in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 Park, Seong Yong;Jung, Sung Ae;Lee, Sang Jo;Chung, Jae Woo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41-651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for promoting the Damaged Area Restoration Project in greenbelts. The current status of greenbelts in Gyeonggi-do, where greenbelts are extensively distributed was analyzed, and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were reviewed to suggest measures to promote the restoration project. The area of damaged areas within greenbelts in Gyeonggi-do was 6,121,024 m2, accounting for about 0.52% of the total area of greenbelts, and more than 80% was found to be located in Namyangju (55.49%), Hanam (16.48%), and Siheung (8.68%). Various measures to improve the policy were examined as follows: reducing the minimum size of the restoration project area; adjusting baseline of recognizing range of damaged areas; introducing the right of claim for land sale; allowing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to be replaced as alternative sit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simplify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llowing public participation. All of them are expected to promote the restoration project within greenbelts. In results, when the minimum size of area for the restoration project was reduced from 10,000 m2 into 5,000 m2, 3,000 m2 and 2,000 m2, the ratio of the number of combinable lots to the total number of lots increased from 4.4% to 18.8%, 38.8%, and 55.9% respectively in Namyangju. Morever, when the recognizable ranges of the restoration project were extended to the structures obtaining building permit as of March 30, 2016 and obtaining use approvals before December, 2017, the number of applicable lots increased by 5.1% and 9.2% respectively.

도시기반시설 인접 터널 굴착시 근접도 평가기준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Improving Proximity Evaluation Standards when Excavating Tunnels Adjacent to Urban Infrastructure)

  • 이철;조국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4호
    • /
    • pp.283-300
    • /
    • 2024
  • 도심지 개발 활성화로 인해 기존 지하철에 인접하여 터널을 굴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기존 지하철의 구조물 및 궤도에 영향을 미쳐 안정성 및 사용성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인접 굴착시 신설터널 및 기존 지하철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근접도 평가범위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정량적 보정율 기준을 제안하였다. 보정율 적용 조건은 암반등급, 지질적 취약구간, 구조적 취약구간 및 구조물 노후구간을 고려하였다. 암반등급은 수치해석 검증을 통해 기존터널의 압축응력 증분량을 비교(3등급 암반 기준 1~5등급 구분)하여 보정율을 산정하고, 지질적 취약구간은 파쇄대 존재 유무 및 지하수 영향을 고려하여 응력 해석 및 지하수 연계해석을 통해 압축응력 증분량을 비교하여 보정율을 산정하였다. 구조적 취약구간은 접속부 유무에 따른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보정율을 산정하고, 구조물 노후구간은 건전도 등급에 따른 압축응력 허용기준을 참고하여 보정율을 산정하였다. 암반 및 지질 조건, 구조물 상태 등을 고려한 정량적 보정율을 근접도 평가기준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근접도 평가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Improvement Plan to Facilitate a Landscape Architectural Promotion Facility and Complex System)

  • 김용국;김신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16
    • /
    • 2018
  • 조경은 지속가능한 국토 도시 환경 구축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전문 분야이다. 조경산업은 국민들의 건강과 복지증진, 도시 활성화와 주거 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조경의 다양한 공익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조경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조경산업의 성장동력은 정체되어 있다. 사업 규모의 영세화, 안정적 생산 유통 체계 부재, 협업 체계 미흡, 신기술 도입 어려움 등의 복합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2015년 "조경진흥법" 제정을 통해 조경산업의 집적을 통한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를 마련하였으나, 구체적인 운용 방안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조경 분야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를 통해 조경분야 발전을 위해 도입된 조경진흥시설과 조경진흥단지 제도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분야 종사자들과 전문가들은 조경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 및 사업의 필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조경진흥시설에 적합한 산업 유형은 설계, 유지 관리, 시공 분야가 선정되었다. 조경진흥단지에 적합한 산업 유형은 조경수와 조경시설물 생산 및 유통 분야가 선정되었다. 셋째, 조경진흥시설 지정을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로는 '네트워크 확대를 통한 사업기회 증가', 조경진흥단지 지정을 통해 얻게 되는 기대효과로는 '각종 정보 공유 활성화'가 높게 평가되었다. 넷째, 조경진흥시설 지정기준 중에서는 '지자체 조경 산업 규모와 육성 역량'이, 조경진흥단지 지정기준 중에서는 '사업추진계획의 실현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경진흥시설 제도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방안으로는 '세제 혜택 및 부담금 면제', 조경진흥단지의 경우에는 '유지 관리비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동기 및 만족도 연구 - 서울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Visito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Urban Open Space - In the Case of Waterfront Open Space in Seoul -)

  • 조경진;김용국;김영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7-40
    • /
    • 2014
  •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다기능적 공간으로서 시민들의 휴식 및 건강,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 예술 문화적 체험과 도시관광 및 마케팅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현대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역할과 기능에 비해 이에 대한 담론과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은 물론 관광객 등의 원거리 이용 수요가 있는 서울시의 4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방문동기 요인을 도출하고, 오픈스페이스의 공간 특성 및 이용행태에 따라 방문동기와 만족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지는 청계천, 서울숲, 선유도공원, 반포한강공원을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으로는 관찰조사, 문헌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방문동기 요인은 크게 커뮤니티성, 자연성, 문화교육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 등 5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방문동기 요인 중 커뮤니티성,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은 오픈스페이스별 경관, 집객시설 및 프로그램, 편의시설, 주변지역 특성 등의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객들의 지각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객 거주지로부터 오픈스페이스까지의 거리에 따라 방문동기를 지각하는 데 있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의 방문객은 오픈스페이스의 자연성을, 도시관광객 등 원거리 방문객은 디자인 심미성을 주요 방문동기 요인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넷째, 도시 오픈스페이스 방문객들의 방문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공통적인 방문동기 요인은 자연성, 디자인 심미성, 일상탈출성으로 나타났고, 오픈스페이스별 공간 특성에 따라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방문동기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종합해 보면, 도시 오픈스페이스는 휴식 및 운동 등의 단순한 체험을 넘어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와 결합한 하이브리드 공간으로서 심미적 욕구, 유대감 형성 및 강화, 문화 및 교육, 엔터테인먼트 등의 요인들이 방문동기로서 작용하며, 이들 요인이 전체 방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표하는 도시 하천변 오픈스페이스가 방문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지자체 입장에서는 매력적인 도시 오픈스페이스 창출을 위한 조성 정비는 물론 운영 관리 과정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오픈스페이스 계획 및 설계가 입장에서는 지역 여건에 부합하는 도시관광 및 마케팅적인 기능을 시설배치 및 공간프로그램 구상 과정에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공원 입지특성에 따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 도심권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of Urban Parks for Green-Network Revitalization - Based on Downtown of Busan -)

  • 김승환;이규홍;박승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75-93
    • /
    • 2010
  • 부산은 해안구릉지의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공원의 입지가 이용가치가 낮은 산지 주변으로 다수의 공원이 지정되어 있으며, 지역 간의 균형적 입지 측면에서도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생활권 내 도시공원에 대한 환경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변시가지와의 상호 관계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도시공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내륙권역과 해안권역으로 구분하고, 녹지연계적 관점에서 결절부 녹지대에 해당하는 내륙권역의 표고 150~300m, 해안권역의 100~150m 내외의 산지 및 구릉지에 입지하는 도시공원을 분석한 결과, 시가지와 도시공원의 형태가 관입되거나, 지대(地帶)적 중첩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공원이 이루는 녹지대는 시가지의 형상과 도시기능에 의해 녹지연계의 방향성과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을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미조성 도시공원에 대한 이용성 증진 방안, 녹지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방안을 검토하였다. 완사면 녹지대를 이루는 도시공원은 비교적 양호한 접근성과 뚜렷한 인식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심산지에서 연계된 녹지대가 수렴되는 도시하천과 해안지대에서의 도시기능의 활력과 개방성 확보가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지대생활권에서 녹지대에 분포하는 한정적 가용지와 배후녹지로 연계되는 주요 연결로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그린웨이를 활성화하고, 주요 도로와 도시공원의 주진입부가 교차하는 지역에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을 형성하는 것이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주요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의 추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동성로 공공디자인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oject Implementations at Public Design - Improving Project for Public Design in Daegu, Dongseong Street -)

  • 이종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7-74
    • /
    • 2014
  • Dongseong-ro public design was reformed for a short time to be short of connection and riffle effect of another project and to have limitation on long term and integrated development, so that systematic plan from beginning of the project was needed to produce synergy eff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reformation of Dongseong-ro public design and to check on existing development project again and to take actions against future projects in advance and to reexamine and make long term plan from point of view of development of downtown. This study investigated reformation of Dongseong-ro public design of Junggucheong office of Daegu that was done from May 2007 to December 2010. The study consisted of purpose of the project, scope, time, the committee of promotion, questionnaire survey, residents' participation and follow up to suggest reformation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had limitation of investigation into internal materials of 'Dongseong-ro public design reformation's master planning service' of Junggucheong office of Daegu. Further studies were need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중소도시의 물리적 쇠퇴등급 분류 연구 - 집계구 단위의 건축물 DB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Decline in Small and Medium Cities - Focused on the analysis of building DB in the unit of Census Output Area -)

  • 한다혁;이민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1-4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nage the physical sectors systematically, needed for the selection and direction of declining areas, such as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projects, by grading the density of decline indicators of buildings in small and medium cities. In fiv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Jeollanam-do, the data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according to the density, according to the use, structure, and age of the building. Rating by element of Census Output Area, detailed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declining area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required, rather than setting the scope of declining are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It is also necessary to manage cities through complex and intra-element phasing rather than single elements in defining physical decline.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ex factors and boundary of the Census Output Area is meaningful in order to maintain and manage such cities in a more detailed and precise manner according to such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문화 예술 공간으로 재활용된 오버하우젠의 가스탱크 재생사례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cedents for Industrial/Technological Cultural Properties of Oberhausen Gasometer that have been Recycled as Cultural Space)

  • 김홍기;박창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2-261
    • /
    • 2015
  • Unlike traditional cultural assets, industrial assets are closely tied with contemporary life in numerous ways, and have acted as a bridge between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buildings and contemporary architectural buildings, reflecting the overal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portraits of that time. Reinvestigating them in a new light, granting just and fair values, and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ese modern cultural heritages is a method of preserv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in order to keep own identity and integrity. Nowadays, however, due to various sprawling developments and new development-oriented urban policies, only a select few industrial assets are being protected, the rest facing demolition and damages.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such situation, Korea has officially introduced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System since 2001, and began acknowledging the historical values of industrial buildings as modern cultural properties. By systematic analysis and deduction of characteristics from successfully recycled precedents such Oberhausen Gasometer in the state of Nordhein-Westfalen that have been preserved and recycled as cultural spaces, this paper aims to find and propose suggestions to rehabilitate and recycle the industrial cultural properties in Korea.

중국 영화산업의 현황과 활성화방안 (Revitalization and Present Status of China's Film Industry)

  • 김언군;배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20-435
    • /
    • 2013
  • 영화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이며, 한 나라의 문화의 척도로서 국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국가의 전략산업이다. 그러나 중국의 영화산업은 제작, 상영부문에서 원선에 의한 독점이 이루어져 있으며, 비전문적인 투자, 높은 세금과 입장료, 도시와 농촌 간 불균형발전, 불법복제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련 서적, 논문 등 문헌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중국의 영화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작, 배급, 상영 등의 개혁추진, 합리적인 입장료, 영화관련 전문 인력양성, 부가시장 활성화, 원선제의 균형적 발전, 글로벌시장공간의 확대 등 방안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