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공원 입지특성에 따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 부산광역시 도심권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of Urban Parks for Green-Network Revitalization - Based on Downtown of Busan -

  • Kim, Sung-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 Lee, Gyu-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
  • Park, Sung-Bum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A University)
  • 투고 : 2010.05.03
  • 심사 : 2010.06.21
  • 발행 : 2010.06.30

초록

부산은 해안구릉지의 지형특성으로 인하여 공원의 입지가 이용가치가 낮은 산지 주변으로 다수의 공원이 지정되어 있으며, 지역 간의 균형적 입지 측면에서도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생활권 내 도시공원에 대한 환경특성 분석과 더불어 주변시가지와의 상호 관계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유형별 도시공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내륙권역과 해안권역으로 구분하고, 녹지연계적 관점에서 결절부 녹지대에 해당하는 내륙권역의 표고 150~300m, 해안권역의 100~150m 내외의 산지 및 구릉지에 입지하는 도시공원을 분석한 결과, 시가지와 도시공원의 형태가 관입되거나, 지대(地帶)적 중첩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공원이 이루는 녹지대는 시가지의 형상과 도시기능에 의해 녹지연계의 방향성과 영향력이 결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을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미조성 도시공원에 대한 이용성 증진 방안, 녹지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방안을 검토하였다. 완사면 녹지대를 이루는 도시공원은 비교적 양호한 접근성과 뚜렷한 인식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심산지에서 연계된 녹지대가 수렴되는 도시하천과 해안지대에서의 도시기능의 활력과 개방성 확보가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지대생활권에서 녹지대에 분포하는 한정적 가용지와 배후녹지로 연계되는 주요 연결로를 중심으로 일상생활영역에서의 그린웨이를 활성화하고, 주요 도로와 도시공원의 주진입부가 교차하는 지역에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을 형성하는 것이 그린네트워크 활성화의 주요방안으로 제시하였다.

Seen topographically, Busan is a city that is coastal and hilly. In the city, most parks have been formed around mountain areas that are not so useful. They also are unbalanced in location among different regions of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manage urban parks towards green network promotion.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first analyzed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located within the main living spheres of Busan.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ose parks and downtown areas surrounding them to classify types of the parks. In associatio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entire of the city into inland and coastal regions. And the researcher examined mountainous and hilly urban parks that were 150 to 30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former region and 100 to 150 meters above sea level in the latte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above examination found that parks of Busan feature physically penetrating and overlapping with downtown areas of the city. How well the green zones of Busan in form of urban park are inter-connective and influential to each other heavily depends on shapes and functions that the downtown areas of the city have. In this study, urban parks of Busan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then analyzed. Based on results of the analysis,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how to increase the utility of another urban parks that are expected to be formed and how to promote so-called the green network that integrates greens. Considering finding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would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case of forming an urban park in a gently sloped green zone which is easily accessible and noticeable, it's important that the park should include a stream to which another green zone is converged or, if the park is located near a costal area, contribute to promote urban functions and openness. While, in a high-altitude green zone, it's more effective to form so-called the green way that consists of some limited usable site of the zone and greens behind it and then form a hub of regional community at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main road and main gate to the urban park, contributing to the green network promo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1. 김기호, 김수봉, 정응호(2004) 도시열섬현상 저감을 위한 그린네트워크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3(6): 527-535.
  2. 박구원(2004) 일본지방도시를 사례로 본 근린제 공원배치의 문제 및 그 개선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2(2): 36-54.
  3. 박찬용, 권기찬, 강신용, 김용수(2003) 대구광역시 도시근린공원의 유형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38(6): 113-124.
  4. 부산광역시(2005) 2020부산광역시도시기본계획.
  5. 부상광역시. 도시발전연구소(1999) 공원.유원지 정비 및 개발계획.
  6. 부산광역시. 동아대 건설기술연구소(2003) 2020부산녹화마스터플랜.
  7. 이성호, 박승영(2000) 부산시 도시공원의 입지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연구보 10: 67-89.
  8. 이용태 역(2004) 도시와 녹지. 이시카와 마키코. 2001. 서울: 현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