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railway station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철도역 시설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 분석과 가이드라인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n Evacuation of Urban Railway Station Facilities and Guidelines)

  • 신예경;여옥경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1-9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철도 지하역의 '피난' 및 '소방'에 관련한 제도적 현황을 분석하여 현행 도시철도 지하역에서의 '피난'에 대한 제도적 한계점을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건축공간적 측면에서의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사 기준이 개별법령에 분리 제정되어 기준 파악이 어렵고 서로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철도에 한정하여 도시철도 이용객의 이동 동선에 따라 머무는 공간을 표준화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열차 이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티켓팅' 이라는 특수한 절차를 고려해야 하며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에 피난안전구역, 피난계단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하 30m이상 깊이의 대심도에서 승강장이 있는 경우, 현행 건축법과 유사한 기준에 따라 피난층을 설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고속철도역 환승시설 용량 및 서비스수준 산정 방안 (Assessment of the New Capacity and LOS of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 김종해;김시곤;이경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4-1384
    • /
    • 2008
  • The Design manual for adjusting the capacity and LOS of facilities has been shared in urban railways and high-speed railway stations. However, the pattern of urban railways users and those of high-speed railway user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an example, the high-speed railway users tend to carry voluminous luggages and the transportation disadvantaged such as children and the elderlies. Accordingly, we see that the scale of facilities and the station itself should be constructed differently. The transfer facilities in the high-speed railway stations are classified widely into walking assisting facilities and convenient facilities. We invented the concept of PME(Pedestrian Moving Equivalent) and PWE(Pedestrian Waiting Equivalent)for the spatial calculation of those who are with wheeled luggages, back packs, and children to reflect the uniqueness of users in high-speed railway stations. These equivalents have been applied to the design of the facilities to asses the new Capacity and LOS that are users' favored.

  • PDF

2호선 혼잡구간 OD수요 분리유도를 통한 혼잡도 개선 방안 (교통카드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Load Factor Decrease In The Seoul Metro Circle Line through Analyzing Passenger OD Demand)

  • 엄진기;송지영;이광섭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457-465
    • /
    • 2014
  •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승객 OD를 분석하고 서울시 도시철도 최대 혼잡구간인 2호선 외선구간(사당~삼성)의 혼잡도 개선을 위한 통행 수요관리 정책을 제시하였다. 삼성역 이전 목적지 승객과 삼성역 이후 목적지를 가진 승객의 수요를 분리 유도하기 위한 기존 순환선과 삼성역까지 운행하는 단절운행 열차를 혼합으로 운행하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순환선 탑승비율이 70%이며 순환선과 삼성행 단절 열차 투입빈도가 1:3일때 최고 11.3%의 혼잡도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호선 혼잡구간을 통과하는 수요를 분리하는 수요관리 대안은 최소의 비용으로 혼잡도를 개선함과 동시에 승객의 쾌적성 개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Investig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by Gasoline and Lubricants Around a Railroad Station in S City, Korea

  • Lee, Hwan;Lee, Yoonji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29-540
    • /
    • 2012
  • Objectiv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te of oil pollution in an area surrounding a railway station that has over 100 years of business history as a railway station in S City, Korea. The amount of polluted soil was estimated, and the target area for remediation was assessed in this study to restore the oil-polluted area. Methods: To accomplish this aim, five observation wells were installed for the sampling of groundwater, and soil was sampled at 33 points. Electric resistance studies and a trench investigation were undertaken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the site, and the groundwater movement in this area was simulated by MODFLOW. Physiochemic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e groundwater and the current state of oil pollution influenced by that of the soil. Results: The mean level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in this area was 1,059 mg/kg, and the area for remediation was determined to be 7,610 mg/kg. Levels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 (BTEX) were determined to be under the legal standard. Conclusion: In terms of depth, the biggest area polluted by TPH found was between 0 and 1 m from ground level, and the affected area was 5,900 $m^3$. TPHs were not detected in groundwater. Diesel and lubricating oil were the main causes of TPH pollution at this railway station.

도시철도 안전성 모델의 유형 분석 (Study on the Category of Safety Models for the Urban Railway)

  • 서용준;국광호;이정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402-407
    • /
    • 2012
  • 최근 언론에서는 운행지연 또는 소소한 사건을 사고 기사화 하여 도시철도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우려가 높아 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끔 "명품 수준의 도시철도 건설" 또는 "항공 수준의 안전성 확보"등과 같이 추상적인 안전성 목표를 수립하여 시민을 안심시키고 관련 종사자의 경각심을 고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호한 안전성 목표는 그 달성 여부를 학문적으로 확인, 검증할 수 있는 체계적인 추진계획의 수립을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안전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도시철도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용 가능한 안전성 모델들의 유형을 조사, 분류하고 각 모델의 특성과 제한사항을 비교하여 국내 도시철도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모델을 확인한다.

도시철도 수요추정을 위한 역세권 ZONE 세분화 방안 연구 (Study on approach to segmentation of Station Influence Area into zones appropriate for demand estimation of Urban Railway)

  • 조항웅;이승용;전공준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2-2136
    • /
    • 2010
  • 도시철도 수요는 일반적으로 4단계 모형에 의해서 역별로 추정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모형식으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의 모형은 행정동 기반으로 도시철도의 수요가 추정되기 때문에 도시철도의 공간적인 역세권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및 수도권의 역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별 수단선택의 행태를 분석하고,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조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및 국외의 역세권 설정을 검토하고, 사례조사를 통한 역세권의 공간적 범위 연구, 공간적 범위에 따른 수단 선택 분석, 역세권의 사회, 경제지표의 자료를 토대로 역별 수요를 추정하는 방안이다. 이방안은 자료 수집과 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한 역사를 대상으로 실적치와 모형치를 검증하는 것으로 한다. 본 연구의 추정결과 역세권을 500m,1000m로 구분하여 추정할 경우 역별 수요의 실적치와 모형치가 가장 근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지하철 역사의 혼잡도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Passenger Crowdedness of Underground Stations)

  • 김진호;한석윤;이우동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27-1833
    • /
    • 2008
  • Urban transit construction has increased since 1970, and the utilization of urban transit system also has sharply increased. However, the prediction for station scale was underestimated in design, eventually, passenger crowdedness of station, platforms and transfer pathways has got worse. Especially, safety for passenger is concerned for rush hour because of passenger crowdedness peak. Therefore, several stations, which service level is D, were investigated for passenger crowdedness. In this study, measures which are to mitigate passenger crowdedness for stations are indicated.

  • PDF

도시철도역 이용수요 추정 및 이동편의시설 규모 예측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Estimation of Demand for Urban Railway Stations and Forecas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Size Prediction)

  • 김황배;이상화;배춘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6호
    • /
    • pp.877-886
    • /
    • 2019
  • 도시철도 출입구 규모는 이용자의 수요에 따라 산정되어야 하나, 우리나라는 일률적인 값을 적용, 출입구 위치에 따라 이용자의 편차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을 겪는다. 최근 교통약자편의증진법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이동편의시설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지만 기존 역의 경우 이용자 수요와 상관없이 설치 가능한 곳에 주로 배치가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용이 많이 불편하다. 이동편의시설 위치 및 규모가 역 설계 또는 건설시 반영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역 출입구별 이용수요를 예측하여 출입구의 이동편의시설 규모 산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역별 승하차 이용수요, 철도역 주변 용도별 건물 연상면적을 활용하여 1일 수요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식을 수립하였다. 추정된 모형의 검증을 위해 동대문역과 종각역의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국내외 에스컬레이터 산정식을 활용하여 출입구별 에스컬레이터 설치 규모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일역을 대상으로 이용수요를 추정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하였으며, 종각역은 1번 출구에 상하행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나, 4번 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2018년 게재한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논문의 발전된 형태로 향후 역 신설시 또는 이동편의시설물 설치 및 확장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더불어 현재 무분별하게 설치하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기준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