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infrastructure

검색결과 879건 처리시간 0.03초

인제군 지역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 도시조형공원 구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Revitalization of Inje gu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f an Urban Art Park-)

  • 서명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333-340
    • /
    • 2020
  • 강원도 인제군민의 질 높은 생활을 향유하기 위하여 인제군의 지역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인제군의 군민이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이용이 용이한 대상 부지를 분석한 결과 공원의 유형은 삶의 질을 높이고 도시 문화적인 체험과 휴식을 취 할 수 있으며, 정서생활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도시조형공원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에 지자체마다 생태공원, 테마공원, 체험공원 등은 많은 존재하고 있으나 인제군만의 특징을 담아내며 차별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도시공원 형태로 계획함이 바람직하다.

3차원 공간 모형 데이터의 구축과 활용 (3D Spatial Data Model Design and Application)

  • 이준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6
    • /
    • 2005
  • 3차원 공간 모형, 즉 3차원 CG 도시 모델은 건물이나 도로, 강 등의 사회 환경을 가상공간으로 표현하고 GIS(지리 정보 시스템)등의 정보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축적${\cdot}$관리하여 광범위한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이 기대되는 중요한 정보기반이다. 현재는 이러한 3차원 CG 도시 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 취득이나 모델 작성에는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고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걸린다. 본 논문에서는 $\lceil$3차원 공간 데이터 기반$\rfloor$을 GIS와 CG로 통합화하고 자동 생성한 정보 시스템에 관하여 소개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GIS가 관리${\cdot}$축적한 수치지도상의 건물 경계선 다각형에 대하여 필터링, 다각형분할, 윤곽선의 생성 등의 처리를 하고 CG 시스템이 이것의 데이터를 받아서 지형의 도형 정보와 속성 정보를 설계하여 건물이나 도로 등의 3차원 CG 모델을 자동 생성한다.

The Aging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Environment: Searching for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Kim, Dohyung;Park, Jiyoung;Bae, Chang-Hee Christine;Wen, Fran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1호
    • /
    • pp.79-94
    • /
    • 2020
  • This study reviews how an aging society can be connected to the urban-built environment, transportation system, infrastructure, and climate change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and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ach topic was described with the aging society that we will encounter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expected discussions, we suggested how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may interact with the new emerging society. Especially, digital transformation is expected to hyper-connect the aging society beyond physical barriers where numerous policies an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shed light on the elderly population. We observe, however, that this cannot be achieved only by the government sector; rather, municip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private sectors, all together need to prepare for the new society of the aging population. Furthermore, an ideal approach is to accommodate multidisciplinary studies that can address the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simultaneously and collectively. By doing so, we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when an aging society approaches.

국내 공동주택단지 자연 순응형 빗물관리시설 사례 분석 (Nature-adapt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y Cases in Korean Apartment Complexes)

  • 현경학;장선영;안성식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2호
    • /
    • pp.111-119
    • /
    • 2006
  • In Korea, an environment-friendly concept of "rain re-cycling" was initially introduced in apartment complex planning and designs in the late 1990s. Although its application cases are extremely few, with the growing importance of rainwater utilization, introduction of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urban areas began to drawn keen attention. In urban areas also, plans to introduce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as infrastructure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such as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very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introduce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as infrastructure in an apartment complex, apartment complex cases that had introduced the facilities were reviewed first. In this study, a few applied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were surveyed(Infiltration barrel, Rubble porosity storage tank, Underground storage tank). As a result, problems in introducing rainwater management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in Korea were identified.

도시개발사업의 투자가치 평가를 통한 전략적 도시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용인시 구갈 역세권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trategic Direction of Urban Management through Evaluation of Value-for-Money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 Focused on the Region of Gugal Station Area in Yongin City -)

  • 황의표;원제무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갈동(구갈역세권)과 보라구역, 중동구역 일대를 중심으로 개발계획, 개발잠재력, 입지여건과 아울러 녹색 및 재해예방 인프라에 대한 4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대상지의 투자가치 평가를 통한 전략적 도시관리 방안을 연구하였다. 방법론 측면에서는 평가항목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할수 있는 네트워크 분석적 의사결정법을 통하여 판단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개발계획에서는 개발용도, 키테넌트, 자금조달, 마케팅순으로, 개발잠재력에서는 시장성, 정체성, 역사성 순으로, 입지여건에서는 토지이용, 주변환경, 교통환경순으로, 마지막으로 녹색 및 재해예방인프라에서는 자연재해예방, 인적재해예방, 사회적 재해예방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시개발사업 추진하는데 있어 합리적인 사전 평가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GIS 기반 도시물류시설 DB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Database using GIS)

  • 백태경;김흥관;신용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101
    • /
    • 2007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부산시 물류관련 기반시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각 시설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도시물류체계는 도시 혹은 지역간의 물류흐름과 도시 내 물류흐름을 통괄하는 개념으로 동북아물류 비지니스 중심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산시에서 발생하는 물류기반시설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물류시설에 대한 시설확충이나 제도개선 등의 종합적인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물류체계에 필요한 수송계획과 경로선택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물류관련기반시설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물류시설정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GIS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되어진 도시물류기반시설DB는 항만시설을 포함하여 주, 보조간선도로망, 철도노선, 화물통행제한구역, 가변차로, 승용차속도제한지역, 지하철 노선망, 공항시설, 터미널시설, 시경계 유출입지역, 창고시설, 도심상업시설, 기타 사회기반시설에 관한 DB이다. 부산시의 도시물류시설현황을 정리한 결과, 부산시의 간선교통망은 도로,철도 연안수송,국제수송시설로 나뉘며, 육상운송중심의 물류체계로 복합운송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축되어진 도시물류기반시설DB는 도시물류기본계획 수립 및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에 기초자료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Neighbourhood Environment and Its Association with Place Based Ubiquitous Technologies : A Case Study of Queensland, Australia

  • Han, Jung-Hoon;Corcoran, Jonathan;Lee, Sang-H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45-55
    • /
    • 2010
  • Place based interven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the ubiquitous city initiative. However, the role of the ubiquitous built environment in determining urban quality of life has not investigated fully. Using place as a relational space where people access u-infrastructure, u-health and u-service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variations in the provision of ICTs and the spatial reconfiguration of quality of life operating at different geographical scales across Australia. Based on a case study of the state of Queensland in Australia, we emphasize the need for a place based approach to ubiquitous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provision in different socio economic hierarchies of space and place.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관련 정책·산업 동향 및 이슈 (Policy and Industry Trends in Urban Air Mobility)

  • 홍아름;박안선;김민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4호
    • /
    • pp.36-46
    • /
    • 2023
  • This paper presents concepts, policies, industry trends, and related issues in urban air mobility (UAM). UAM will contribute to transportation by mitigating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future. Accordingly, governments of major countries are promoting UAM policies and demonstration projects as well as preparing law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In UAM, overseas startups lead airframe developments, and major companies from the aircraft, automotive,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are also participating. In addition, startups and major companies are building the corresponding infrastructure. For the development of UAM, issues related to technology, regulation systems, and infrastructure still need to be resolved.

CBD 활성화를 위한 미래형 도시공간연출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ture 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for Activation of CBD)

  • 오재우;박관일
    • 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25-48
    • /
    • 2009
  •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a future 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o offer diverse useful services to citizens to improv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ities in the times of competition that competitive subjects were changed from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o competition among cities. 2) RESEARCH METHOD In the proposed future-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he study compared/analyzed main plans related to development of urban space by selecting CBD(Jung-gu) of Busan out of local metropolises in South Korea. 3) RESEARCH FINDINGS In the proposed future-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the study largely sorted city's function into four scopes function of industrial support, function of social support, function of living support and function of urban infrastructure. 2.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future oriented urban space production strategy will be utilized as a useful reference model when a lot of local governments, planning a ubiquitous urban space, establish a plan for constructing a ubiquitous urban space.

  • PDF

비도시 정주지의 탄소중립 기여도 분석 -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Contribution to Net Zero of Non-Urban Settlement - For Green Infrastructure in Rural Areas -)

  • 이동규;안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34
    • /
    • 2022
  • 본 연구는 비도시 정주지에 해당하는 농촌지역 그린인프라에 대한 탄소중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비도시 정주지에 대한 탄소중립 정책 및 이행방안 수립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주요 목적은 첫째,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체계화하고, 둘째, 그린인프라 요소별 원단위를 도출하며, 셋째, 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탄소중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조사 및 분석을 통해 도출된 농촌지역 그린인프라 요소에 대한 적정성 검증을 위하여 내용 타당도(CVR)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린인프라 요소별 탄소감축량 원단위는 관련 분야 연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지역 핵심기능(Hubs)의 그린인프라는 마을숲, 습지, 농경지, 스마트팜, 연결기능(Links)은 하천, 마을녹지, 빗물 재활용시설이 .500 이상의 CVR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그린인프라 요소별 원단위는 선행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최소값, 최대값, 중간값으로 구분 제시하여 탄소중립을 위한 공간적 계획,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농촌지역 그린인프라를 우리나라 비도시지역 정주지에 적용할 경우 최소 70.76 백만 톤, 최대 141.16 백만 톤에 달하는 CO2 를 간접적으로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2019년 농업부문 탄소배출량의 3.4배에서 6.7배에 달하는 양으로 탄소중립 기여도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경제적 가치는 최소 약 1조 6천억 원에 달하여 농촌지역 활성화, 녹색일자리 창출, 농촌 산업생태계 전환 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비도시지역의 정주지에 대한 탄소중립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농촌지역 그린인프라 각 요소별 탄소감축 원단위를 도출함에 따라 마을단위의 탄소중립을 위한 공간적 계획,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그린인프라 요소별 탄소감축 원단위는 마을단위 탄소중립 정책, 계획 수립 시 정량적 목표제시 및 달성 여부 점검 등에 활용가능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시군구 등 지역단위와 도시단위의 탄소중립화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