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scale Korean restaura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9초

한식레스토랑의 실내 공간 디자인 특성 분석 - 서울·뉴욕 소재 현대식 고급 한식레스토랑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taurants - Focusing on Seoul and New York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s -)

  • 김윤아;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2-50
    • /
    • 2013
  • The upscale Korean restaurants that appeared as a wa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by introducing Western modern elements into Korean traditional elements are presenting a new direc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visited a total of ten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s including five ones in each of Seoul (Dadam, Bistro Seoul, Bicena, Today, and Poom Seoul) and New York (Gaonnuri, Danji, Ban, Jung Restaurant, Korea Spoon), wher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is concentrated, and the results of comparing,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and spatial design through observation, photo taking, sketches and preparing a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First, a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 was first built in New York in 2011, and then also appeared in Seoul in 2012. The Korean restaurants in New York were mostly operated by individual person, while the Korean restaurants in Seoul were operated by large corporation. Second, the spatial configuration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reception, garden and rooms in Seoul and into the reception, bar hall and rooms in New York depending on the function of the interior space, showing differences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elements of the garden and bar. There was a difference in spatial layout; the restaurants in Seoul were room-centered, while the ones in New York were hall-centered. Third, in terms of spatial design elements, the size of the space and furniture in the reception space of the Korean restaurants in New York were smaller as compare to those in Seoul, while the restaurants in New York represented Korean atmosphere by decorating many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e Korean restaurants in New York gave consistency to the design of the hall space as compared to the restaurants in Seoul by decorating interior decorative accessories associated with the restaurant name. The Korean restaurants in Seoul decorated room space by using more traditional elements as compared to the restaurants in New York. Fourth, in terms of food design elements, the restaurants in Seoul are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services and table setting, while the restaurants in New York sought originality that applied foreign ways as compared to the restaurant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when setting the interior spatial design guidelines for the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s that advance into the world beyond Seoul and New York, and it is expected that in-depth follow-up studies would be conducted in various cities beyond Seoul and New York where there are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고급 한국음식 레스토랑의 서비스 품질, 고객의 감정적 반응 및 재방문의도와의 인과관계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Upscale Korean Restaurants upon Customer's Feeling Response and Revisit Intent)

  • 정효선;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7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upscale Korean restaurants on a customer's feeling response and revisit intent, and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a customer's feeling respons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ervice quality and revisit intent. Based on a total 303 samples obtained from the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of 2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tested simultaneously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proposed model provided an adequate fit to the data, ${\chi^2}_{(df=263)}=557.397$, CMIN/df 2.119, RMR .09, GFI .88, AGFI .86, NFI .94, CFI .97, RMSEA .06.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Price & value($\beta=.40$), food quality($\beta=.26$) and atmosphere($\beta=.15$)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feeling response, and the customer's feeling response($\beta=.65$)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service quality in upscale Korean restaurants on revisit intent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the customer's feeling respons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고급레스토랑의 서비스경험이 행동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만족과 정서애착의 인과적 역할 (The Effect of Service Experience on Behavioral Loyalty in Luxury Restaurant Service Setting : The Causal Role of Cognitive Satisfaction and Emotional Attachment)

  • 최철재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3호
    • /
    • pp.1-15
    • /
    • 2021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한 장기간의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접촉 레스토랑업체의 외식지형도는 포장, 정기구독 등으로 변화된 환경에 맞추어 생존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고급레스토랑은 최상의 시설을 갖추고 고급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레스토랑과 차별화를 시도하여 높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고급레스토랑 서비스경험이 어떠한 경로를 경유하여 행동충성도를 영향을 주는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경험이 인지만족과 정서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또한 이들 구성개념과 관계몰입 및 행동충성도 간 관계를 확인하여 인지만족 및 정서애착의 인과적 역할을 설명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최근 고급레스토랑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대면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부정확하거나 오류가 있는 응답지 25부를 제외하고 275부(91.6%)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선 SPSS 21.0 및 AMOS 20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빈도분석으로 응답자의 인구통계특성을 확인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분석(SEM)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연구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가설 분석결과, 서비스경험은 인지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고, 인지만족은 정서애착과 관계몰입 및 행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또한 정서애착은 관계몰입과 행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고, 관계몰입은 행동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그러나 서비스경험은 정서애착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호텔레스토랑과 같은 고급레스토랑에선 자사의 표적고객을 정확하게 선정하여 이들의 서비스욕구를 확인한 후 이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객에게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지적으로 만족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서 결정적인 진실의 순간(moments of true)을 확인하고 영향력(impact)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서비스에 만족한 고객이 정서적으로 애착심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서비스경험으로 만족하여 정서적으로 애착심이 높은 고객에게 자사와 관계를 강화하고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해당 고객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이들이 자사에 강한 소속감과 애착심을 갖도록 함으로써 표적고객의 관계몰입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레스토랑 식공간 연출에서의 식기와 고명의 색채 조화 (Tableware Coordination and Garnish Decoration for Restaurant Space Design)

  • 유경아;김영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41
    • /
    • 2009
  • 본 연구는 푸드 스타일링 잡지에 제시된 식공간 연출 사진의 내용 분석과 실제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식공간 구성 요소인 식기와 고명을 색채와 재질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식공간 연출 1,357사진은 국내 잡지인 "쿠켄"과 "행복이 가득한 집"에서 선정하였고, 레스토랑은 서울 지역 84군데를 선정하여 직접 방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식기 재질의분석 결과, 고가 레스토랑과 식공간 연출가의 트랜드는 일치 즉, 백자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저가 레스토랑은 플라스틱 식기 사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식기의 색채로는 청결을 상징하는 흰색이 가장 선호되고 있었다. 음식을 무난하게 소화하고 돋보이게 하는 고급 흰색 도자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저가 레스토랑에서 흰색 플라스틱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음식 고명으로는 녹색 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식공간 연출가들은 적색과 녹색의 보색 대비 고명도 많이 제시하고 있었다. 고가 레스토랑에서는 오방색 고명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 PDF

서울·뉴욕 소재 한식레스토랑 이용고객 공간만족도 비교분석 -현대식 고급 한식레스토랑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Customer Satisfaction of Korean Restaurants - Focusing on Seoul and New York Modernized Upscale Korean Restaurants -)

  • 김윤아;신경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23-31
    • /
    • 2014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customers' space satisfaction, ten modern high-class Korean restaurants, five in New York and another five in Seoul, that were opened or remodeled after 2008 were selected and satisfaction characteristics survey of 197 customers who use these Korean restaurants was conducted by using Likert 5-point scale. The study results(a high reliability was obtained show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average 0.895 for all questions) were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etc. and the mean between group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onducting the t-test, Duncan's test by using the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ustomers general characteristic comparative analysis, all the Seoul and New York customers have comparatively high academic ability, high income and eating-out expenses. The main customers in Seoul were the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while those in New York were mainly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both men and women at similar rate. Second, as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interior, the satisfaction with finishing materials was little higher in New York as Seoul (3.30 points) and New York (3.86 points). The satisfaction with color was relatively higher in Seoul (3.66 points) and relatively lower in New York (3.18 points). As the satisfaction with furniture and decorating accessories was relatively lower in both Seoul (3.10 points) and New York (3.48 points). The satisfaction with space size in Seoul (the total space size: 3.99 points, private space size; 3.90 poi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in New York (the total space size: 3.46 points, private space size; 3.28 points). The satisfaction with interior and exterior in both Seoul (exterior: 3.63 points, interior: 3.40 points) and New York (exterior: 3.28 points, interior: 3.39 points) were average. For the satisfaction of environment, Seoul (3.42 poin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New York (3.56 points). Third, the result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Seoul and New York showed no commonality. Therefore in order to be renewed as the Korean restaurants with high customer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Seoul and New York need to plan the space by considering their customer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s.

호텔 뷔페레스토랑과 독립 뷔페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Satisfaction Study for the Hotel and Independent Buffet Restaurants)

  • 정지은;김정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9-332
    • /
    • 2016
  • 본 연구는 호텔 뷔페레스토랑과 독립 뷔페레스토랑 이용객을 대상으로 뷔페레스토랑 선택속성 중요도-만족도 분석과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호텔 및 독립 뷔페레스토랑의 마케팅 전략 수립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호텔 뷔페레스토랑과 독립 뷔페레스토랑을 이용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2016년 4월 15일부터 5월 4일 기간 동안 SNS 설문과 대면 설문을 병행실시하였으며, 독립 뷔페레스토랑 86부, 호텔 뷔페레스토랑 82부를 회수하였으며, 부적절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나머지 설문지 160부를 유효표본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분면에 나타난 선택속성이 호텔과 독립 뷔페레스토랑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또한,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는 호텔 뷔페레스토랑은 음식의 품질과 메뉴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 뷔페레스토랑은 음식의 품질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볼 때 호텔 뷔페레스토랑이 호텔이라는 프리미엄과 브랜드만이 아니라, 뷔페레스토랑의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인 메뉴 개발과 호텔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여 고객들의 니즈를 주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디저트 제공을 다시 고려해 볼 필요도 있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