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air observa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8초

중·상층 항공난류 예측모델의 성능 평가와 개선 (Performanc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Operational Aviation Turbulence Prediction Model for Middle- and Upper- Levels)

  • 강유정;최희욱;최유나;이상삼;황혜원;이혁제;이용희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41
    • /
    • 2023
  • Aviation turbulence, caused by atmospheric eddies, is a disruptive phenomenon that leads to abrupt aircraft movements during flight. To minimize the damages caused by such aviation turbulence, the Aviation Meteorological Office provides turbulence information through the Korea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and the Global-Korean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GKT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KTG and GKTG models by comparing the in-situ EDR observation data and the generated aviation turbulence prediction data collected from the mid-level Korean Peninsula region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1. Through objective validation, we confirmed the level of prediction performance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it.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s, the KTG model showed minimal difference in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changes, while the GKTG model exhibited an increase of TSS after the improvements.

토양-대기의 수은 교환작용 -서울시 주거지역에 대한 예비측정- (Preliminary Measurements of Mercury Exchange Rates Across the Soil-Air Boundary in a Residential Area of Seoul)

  • 김기현;김민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69-377
    • /
    • 1998
  •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Hg exchange processes, we measured Hg$^{\circ}$concentration gradients over soil surfaces in a residential area of Seoul during Sept. 1997. From these measurements, we found that Hg$^{\circ}$concentrations in lower(20 cm) and upper(200 cm) levels varied in the range of 3.15~14.38 (5.30$\pm$1.88: N=236) and 2.07~15.10ng/m$^3$(4.06$\pm$1.69: N=236), respectively. When our data were divided into emission and dry deposition, emission of Hg$^{\circ}$was overwhelmingly dominant (up to 98% in frequency) over dry deposition. The concentration gradients for emission and deposition events were 1.29$\pm$0.86(N=231) and -1.0$\pm$1.27ng/m$^3$(N=5), respectively. The observation of excessively high concentrations in both levels and development of strong gradients suggest that our study site be greatly affected by certain pollution sources of mercury. In face, those data were quite comparable to that had previously been observed from highly contaminated soil environs of Tennessee, USA. To provide some insights into the processes governing the Hg$^{\circ}$exchange processes, we hav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Hg$^{\circ}$data and other concurrently determined meteorological plus chemical data. In general, Hg$^{\circ}$concentrations of both levels exhibited similarly the existence of strong correlations with parameters like windspeed,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lthough its concentration gradient data showed similarly strong correlations with meteorological parameters, they showed somewhat unique patterns in that their correlations with Hg$^{\circ}$concentration were noticeably stronger for the lower level than the upper level. To provide rough estimates of Hg$^{\circ}$fluxes in this study, we computed its flux using our gradient data and the predicted K values from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is approach, Hg$^{\circ}$emissions were generally in the range of 103$\pm$80(N=231), while its depositions, being scarcely found, were on the similar magnitude of -92$\pm$128ng/m$^2$/hr(N=5). The findings of excessive emission of Hg$^{\circ}$in residential area of Korea suggests that contamination of mercury be a significant process and hence be dealt more seriously.

  • PDF

인공신경망과 중규모기상수치예보를 이용한 강수확률예측 (Predicting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Mesoscale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 강부식;이봉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B호
    • /
    • pp.485-493
    • /
    • 2008
  • 한반도 영역을 대상으로 RDAPS모형의 수치예보자료, AWS의 관측강수, 상층기상관측(upper-air sounding)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권역별 강수발생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 모형을 제시하였다. 사용된 자료의 기간은 2001년 7, 8월과 2002년 6월로 홍수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500/750/1000 hPa에서의 지위고도, 500-1000 hPa에서의 층후(thickness), 500 hPa에서의 X와 Y방향 바람성분, 750 hPa에서의 X와 Y방향 바람성분, 표면풍속, 500/750 hPa/표면에서의 온도, 평균해면기압, 3시간 누적 강수, AWS관측소에서 관측된 RDAPS모형 실행전의 6시간과 12시간동안의 누적강수, 가강수량, 상대습도등을 신경망의 예측인자로 사용하였다. 신경망의 구조는 3층 MLP(Multi Layer Perceptron)로 구성하여 역전파알고리즘(Back-propagation)을 학습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신경망예측결과 한반도전체에 대한 예측성과의 개선은 H가 6.8%상승하였고, 특히 TS와 POD는 각각 99.2%와 148.1% 상승함으로서 강수예측에 대한 신경망모형이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SS 역시 92.8% 개선됨으로서 RDAPS 예측에 비하여 뚜렷이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미계측 유역의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를 위한 원격탐사의 활용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and Monitoring Based on Remote Sensing for Ungauged Areas)

  • 이진영;임정호;김종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25-53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주요 수문 변수인 유출량, 저수위, 유량 등의 관측 자료가 부재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를 위해 원격 탐사 자료를 활용하는 방법론을 최근 심각한 가뭄 피해를 입은 지역인 남한강상류 유역에 적용하였다. 수문 변수의 관측 자료가 부재한 지역에 대해서는 원격 탐사를 이용하여 수문 변수보다 추정이 용이한 강수량, 증발산량 등 기상 변수의 추정을 통해 물 수지에 기초하여 가뭄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2-2013년의 기간에 대하여 원격 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기의 온도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증발산량을 도출하여 강수량과 증발산량 차의 백분위가 유량 백분위와 가지는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Aqua위성에 탑재된 MODIS 센서의 $1{\times}1km$ 공간 해상도의 지표면 온도와 $5{\times}5km$ 공간해상도의 대기 연직 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 최고 및 최저 대기 온도를 추정하였으며, Hargreaves 방법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미국몬태나주립대학교에서 Penman-Monteith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기존 자료(MOD16)의 잠재 증발산량과 비교한 결과 상대적으로 결정계수는 더 작았으나 상당히 작은 오차를 보였다. 남한강상류 유역에 대하여 TRMM 위성으로부터 도출한 강수량과 함께 1, 3, 6, 12개월 시간 척도의 P-PET(강수량 증발산량) 백분위를 구해 유량 백분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남한강상류 유역은 여름철(r = 0.89, tau = 0.71)과 가뭄 평가에 중요한 가을철(r = 0.63, tau = 0.47)에 1개월 P-PET 백분위가 유량 백분위와 95% 신뢰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 유역은 강수의 영향이 특히 크게 나타나는 지역으로 일반적으로 건조한 지역과는 달리 증발산량이 유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원격 탐사 자료가 미계측 유역에서 수문학적 가뭄 평가 및 감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특히 공간적으로 분포된 높은 해상도의 추정 자료는 지역별로 차별화된 가뭄 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복합레진 수복시 상아질 표면 처리가 미세 변연 누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MOISTENING OF ETCHED DENTIN AND ENAMEL SURFACE ON THE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S)

  • 전철민;권혁춘;이정식;이명종;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321-33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oistening and air-drying of acid conditioned dentin and enamel on the marginal microleakage. In this study, Class V cavity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sixty extracted human premolars with cementum margin. These specimens were randomly devided into three groups and three dentin adhesives(Scotchbond Multi-Purpose, All bond 2, Prisma Universal Bond 3)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specimens in each group were subdevided into four groups (Wet/primed, Dry/primed, Wet/not primed, Dry/not primed) and the etched dentin and enamel surface were treated these four surface treatments prior to the placement of a bonding agent or adhesive. Wet/primed group was simply blot-dried with a damp facial tissue before primer placement ; Dry/primed group was air dried for 30 seconds before the placement of a primer ; Wet/not primed group and Dry/not primed group were not primed after blot dried and air dried for 30 seconds each group. The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were applied for each group. All specimens were exposed to 500 cycle of thermal stress. Specimens were placed in a silver nitrate solution and then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The dye penetrations of the specimens were observed with a stereo microscope. The statistical test were applied to the results using a one way analysis variance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aspects of silver ion penetration into the resin/dentin interface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ll groups, the enamel margin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value than the cementum margin (p<0.05). 2. Regardless of various surface treatment and dentin adhesiv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enamel margins (p>0.05). 3. At the dentin margins, the leakage values of Dry/not prim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0.05). The leakage values of Wet/prim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Wet group and Dry group. 4.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dentin adhesives regarding the surface treatments in all groups(p>0.05). 5. On the backscatte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the penetration of the silver ion occured at the bonding resin/dentin interface. In the Wet/primed group, resindentin hybrid zone and resin penetration into the dentin was observed. The resin tags were compactively formed to a thickness of $3\sim4{\mu}m$ at the upper part of dentinal tubules. In the Dry/primed group, the thickness of the hybrid zone and the diameter, depth of the resin tags diminished. In the Non-primed groups, the hybrid zone was not identified and few resin tag was observed. There was the gap formation in the resin/dentin interface.

  • PDF

GPS 가강수량 결정을 위한 한국형 평균온도식 개발 (DEVELOPMENT OF A LOCAL MEAN TEMPERATURE EQUATION FOR GPS-BASED PRECIPITABLE WATER VAPOR OVER THE KOREAN PENINSULA)

  • 하지현;박관동;허복행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4호
    • /
    • pp.373-384
    • /
    • 2006
  • 현재 GPS 가강수량 관련 연구에는 대부분 Bevis 평균온도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Bevis 평균온도식은 북미대륙의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것이므로 기후조건이 다른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가강수량 산출이 부정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상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기상조건에 적합한 평균온도식을 개발하고, 이 개발된 평균온도식을 적용하여 가강수량을 산출한 후 Bevis 평균온도식과 기존 국내 연구에서 개발된 평균온도식을 이용한 가강수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평균온도식에 따른 가강수량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평균온도식을 기준으로 했을 때 지상기온이 높을 경우에 차이가 증가하며, 최대 $1{\sim}3mm$의 RMS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1990년대 중·후반을 전후한 북반구 여름철 열대-중위도 원격상관의 장기 변화 (Interdecadal Changes in the Boreal Summer Tropical-Extratropical Teleconnections Occurred Around Mid-to-late 1990s)

  • 이준이
    • 대기
    • /
    • 제28권3호
    • /
    • pp.325-33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robust features of interdecadal changes in the Northern hemisphere summer tropical-extratropical teleconnection occurred around the mid-to-late 1990s by analyzing four different reanalysis data for atmospheric circulation and temperature, two precipitation reconstructions, and two sea surface temperature (SST) data during the satellite observation era of 1980~2017. For the last 38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in anticyclonic circulation at lower and upper troposphere and 2 m air temperature with wavenumber-5 Rossby wave structure in the Northern Hemisphere (NH) extratropics. The increase has been accompanied with the significant weakening and northward shift of jet stream over Eurasia and the North Pacific. It is further foun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terdecadal shift occurred around the mid-to-late 1990s in the two distinct modes of tropical-extratropical teleconnection: Western Pacific-North America (WPNA) and circumglobal teleconnection (CGT) pattern. After mid-to-late 1990s, the WPNA has played more important role in modulating the extratropical atmospheric circulation and surface climate, which has been preferentially occurred during the El $Ni{\tilde{n}}o$-Southern Oscillation (ENSO) decaying or transition summer such as 1998, 2010 and 2016. During these summers, severe heat waves were occurred over many parts of the NH extratropics due to the combined effect of the increasing trend in the barotropic anticyclonic circulation and the significant WPNA across the NH. Although weakened, the CGT also contributed to some of hot summers over many parts of the NH extratropics such as 1999, 2000, 2008, 2011, and 2012 when weak to moderate La $Ni{\tilde{n}}o$ was persisted.

2014년 강원 폭설동안 GPS 가강수량 탐측 (Remote Sensing of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during 2014 Heavy Snowfall in Gangwon Province)

  • 남진용;송동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5-316
    • /
    • 2015
  • GPS 상시관측소와 위성 신호 전송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류권에서의 GPS 신호 지연은 가강수량을 복원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지상 기반의 GPS를 이용한 수증기 탐측 기술은 태풍 모니터링, 기후변화 추적을 장기간 수증기 관측 분야에서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리는 동안 우리나라의 GPS 가강수량 변화 추세를 분석하였다. GPS 가강수량이 증가된 이후 강설이 발생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강릉과 울진에서 최대 GPS 가 강수량이 발생한 일정 시간 이후에 최대 신적설이 기록되었다. 또한 이번 폭설 이벤트 동안 고층기상관측시스템으로부터 분석된 K-index와 total index 및 GPS 가강수량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기흉 수술 중 발견된 폐암의 수술치험 1예 -1예 보고- (Lung Cancer Incidentally Found on Surgery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 case report-)

  • 김미정;송창민;정성철;김우식;신용철;김병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49-952
    • /
    • 2006
  • 자발성 기흉이 원발성 폐암의 초발 소견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경우 폐암은 진행된 경우가 많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더라도 예후가 안 좋은 경우가 많다. 과거 폐결핵을 앓았던 65세 남자 환자가 다수하 자발성 기흉으로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폐기포 절제술 중 우연히 파열된 공동이 발견되어 동결절편으로 조직 생검한 결과 편평 상피 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폐종양은 상엽에서 폐열을 지나 하엽으로까지 침윤된 상태라 폐전절제술이 시행되었고 병리조직 병기는 stage I(T2N0M0) 이었다. 수술 이후 1년 6개월간 추적관찰상 재발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40대 이상의 흡연력이 있거나 만성기관지염, 폐기종이 있는 폐암 고위험군에서 자발성 기흉이 생긴 경우에 폐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객담세포검사, 기관지경 검사 및 흉부 CT촬영을 시행해서 기저 폐질환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공기 누출이 있는 경우 흉강경 수술 등 보다 적극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2010년 여름철 수도권 집중관측기간 강수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도시화 효과 (Effect of Urbanization on Rainfall Events during the 2010 Summer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over Seoul Metropolitan Area)

  • 김도우;김연희;김기훈;신승숙;김동균;황윤정;박종임;최다영;이용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9-232
    • /
    • 2012
  • 도시화 효과가 여름 강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수도권 집중관측(ProbeX-2010)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두 가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관측 기간 동안 약한 강수(${\leq}1\;mm\;hr^{-1}$)가 다른 지역보다 서울 풍하측 지역에서 더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는 최근 5년(2006-2010) 자료에서도 확인되었다. 약한 강수는 주로 서울 풍하측 산악 지역에서 야간에 더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는 도시지형 뿐만 아니라 산악 지형의 복합적인 효과로 여겨진다. 둘째, 간헐적으로 대류 시스템이 서울 풍하측에서 급격하게 발달해 호우를 야기했다. 이는 특히 8월 27일 1300-1500 KST의 일련의 레이더 영상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강수 사례에 대한 종관 국지적 날씨 특성과 고층 대기 특성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형과 연관된 지표 현열 증가뿐만 아니라 조건부 불안정 대기 상태(특히 대기 하층)와 대기 하층의 습기 유입이 도시화 효과와 연관된 대류성 호우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