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cultivation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3초

대두(大豆)에 대한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Application of Phosphate Rock Powder on Soybean Cultivation)

  • 임동규;최두회;김흥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6-182
    • /
    • 1995
  • 토양중(土壤中) 유효(有效) 인산함량(燐酸含量)이 상이한 밭토양에 콩을 재배하여 인광석(燐鑛石)을 원료로하여 제조된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와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직접시용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고 시용(施用)한 인산성분(燐酸成分)이 토양중에서의 반응(反應)과 변화(變化)를 통하여 인산(燐酸)의 존재형태(存在形態)를 파악하였다. 신개간지(新開墾地) 밭토양에서 콩의 수량(收量)은 1년차에서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을 400kg과 600kg/ha으로 다량(多量) 시용한 처리가 과석(過石) 보다 증수하였으나 2년차에는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을 200㎏으로 연용(連用)한 처리를 제외하고는 감수(減收)하였다. 저(低) 인산(燐酸) 밭토양에서 콩의 수량(收量)은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을 다량(多量) 시용한 처리에서 증수(增收)하였고 잔효(殘效)도 인정되었다. 식물체(植物體) 및 인산(燐酸) 및 칼슘함량은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시용량(施用量)이 많을수록 높았다. 수확기(收穫期) 저(低) 인산(燐酸) 밭토양의 인산형태별(燐酸形態別) 함량(含量)은 시용량(施用量)이 증가할수록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이 과석(過石) 및 용성린비(熔成燐肥) 보다 많았으며, 인산형태(燐酸形態)는 1년차에는 T-P가 가상 높고 Org-P, Fe-P, Ca-P, Al-P순(順)으로 낮아졌고 2년차는 1년차와 동일(同一)하였다.

  • PDF

가묘상을 이용한 잡초관리가 잡초발생과 유기농 배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eed Managements after False Seedbed on Weed Occurrence and Growth of Organic Chinese Cabbage Growth)

  • 조정래;이병모;안난희;옥정훈;신재훈;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61-771
    • /
    • 2014
  • 본 시험은 유기재배 배추(Brassica oleracea L.)에서 가묘상 준비 후 잡초관리 방법이 잡초발생과 배추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봄과 가을작기에 수행되었다. 잡초관리 방법에는 천경, 화염, PE멀칭, 무처리를 포함하였다. 천경처리는 봄작기에서 잡초억제 효과가 작았으나 화염처리는 봄과 가을작기 모두 효율적으로 잡초를 억제하였다. 봄작기에는 PE멀칭구에서 30%의 tip-burn이 관찰되었다. 가묘상 준비에 의한 잡초관리로 봄과 가을작기 모두 관행 PE멀칭과 비슷한 엽수와 신선중 및 수량이 가능하였다. 결구정도는 무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을작기는 봄작기 보다 잡초생장이 감소되었고 이에 따라 배추 수량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가묘상을 통한 천경이나 화염처리는 잡초발생을 크게 감소시켜서 PE 멀칭 대용으로서 친환경적인 초생관리의 효과가 기대되었다.

The major factors effecting the decrease of forest cover in the Huaphanh Province, Northern Laos

  • Alounsavath, Phayvanh;Kim, Sebin;Lee, Bohw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2호
    • /
    • pp.219-228
    • /
    • 2019
  • The forest of the Huaphanh Province (HP) has continued to decrease at 0.6% (10,560 ha) per year from 1992 to 2010. In the past few decades, the government of Laos and the Huaphanh Provincial Authority have been trying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deforest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factors effecting the decrease of the forest cover in the HP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local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orest management policies on changes in the forest cover. The social data of the province focused on population growth and distribu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cluding the number of poor people and the economic growth of three sectors, namely agriculture and forestry, industry, and service, whil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te forest management policy focused on the state forest management plan, tree plantation, forest land use planning and allocation to households, and shifting cultivation including annual upland rice and maize cultivation. In addition, government reports on socio-economic and rural development including poverty eradication of other provinces, where an increase in the forest cover was observed, wer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ecrease in forest cover in the Huaphanh Province appears to depend on a very slow economic growth and reduction in rural poverty of the province. The increase in the rural population in the province led to an increase in farm households and are as for shifting cultivation. As a result, forests were cleared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forest cover.

우리나라에서 Alfalfa 재배기술 향상을 위한 재배연구 Data 분석 (Data Analysis of Alfalfa Cultivation Research to Improve the Cultivation Techniques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지융;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5-10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알팔파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기존에 재배연구에서 수행한 재배기술을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될 연구를 제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1983~2008년까지 총 270점의 알팔파 재배실험 자료로 재배지역, 재배지, 품종, 파종, 수확횟수, 시비 및 건물수량 등을 수집하였다. 국내 알팔파의 건물수량은 12,536 kg/ha 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팔파는 대부분 밭에서 재배가 되고 있었는데, 국내 알팔파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척지 및 유휴지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개량할 토지개량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재배한 알팔파는 53개 품종이었으나 기존의 자료에서는 알팔파 품종선발 기준인 Fall dormancy를 고려한 연구는 전무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시비는 각 비료의 성분을 다양한 수준으로 고려하지 않았으며 특히 알팔파 생산량의 증가를 고려할 때 K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알팔파의 수확은 지역에 따라 목초의 생육가능일수가 달라 수확횟수가 달랐으며, 수확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물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수확횟수에 따라 알팔파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적정수준의 수확횟수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고령지 개간지 밭의 토양수분과 경도 및 작물수량의 공간변이성 (Spatial Variability of Soil Moisture Content, Soil Penetration Resistance and Crop Yield on the Leveled Upland in the Reclaimed Highland)

  • 박철수;양수찬;이계준;이정태;김학민;박상후;김대훈;정아영;황선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3-135
    • /
    • 2006
  • 고령지 경사지에서 모래성분이 많은 사양토 (석비레) 개간지의 토양특성에 대한 공간변이성과 분포도를 작성하여 공간적 변이를 살펴보고자 각각 $10m{\times}50m$의 면적을 가지는 5개의 포장에서 감자, 양파, 당근, 배추, 무를 재배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포장의 조사지점수는 토양수분 33, 토양경도 11, 작물수량 33이었다. Semivariance 분석 결과, 대부분의 모형은 spherical 모형을 따르고 있었으며, 각 모형에 대해 공간적으로 연속성이 인정되는 거리를 나타내는 범위 (range)는 감자재배구에서 33-35 m로 고르게 큰 값을 보였고, 배추재배지는 5-6 m로 모형에 대한 연속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과 경도 및 수량에 대한 변이계수는 14-59%로 다양하였고, 감자수량의 변이계수가 59%로 가장 높았으며, 무재배지의 수분은 14%로 낮았다. 표준편차 5% 유의수준에서 10%의 오차를 가지는 경우를 기준으로 적정시료의 수를 조사한 결과, 필요한 시료수는 수분 8-40개, 경도 7-25개, 수량 424-4,6787개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Variogram과 분포도를 통해 수분과 경도 및 작물수량의 공간적 분포 및 변이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토양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작물(農作物) 재배환경(栽培環境)과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원인(原因)가스 발생(發生) -1. 답전전환시(畓田轉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와 지구온난원인기체(地球溫暖原因氣體)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메탄,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발생(發生) (Emission of Green House Gases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1. The Cropping System and Emission of the Green House Gases-CO2, CH4, N2O)-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

  • 이상규;서장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6
    • /
    • 1993
  • 답전윤환지(畓田輪換地) 토양(土壤)에서 작부체계(作付體系)를 달리했을때 작물(作物)의 생육시기별(生育時期別) 토양(土壤)에서 방출(放出)되는 지구온난화원인(地球溫暖化原因)가스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양(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시(連作栽培時) 가장많고 벼와 콩의 윤작재배시(輪作栽培時) 가장 적은 양(量)을 방출(放出)했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방법별(方法別)로는 벼 연작토양(連作土壤)이 가장 많았고 매년윤환(每年輪換) 및 이년윤환(二年輪換)은 비슷했으며, 전전환시(田轉換時) 가장 적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다. 2. 메탄의 방출량(放出量)은 벼 연작재배토양(連作栽培土壤)에서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답전윤환(畓田輪換) 및 벼와 콩 혹은 감자와 배추 등(等)을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방출량(放出量)의 뚜렸한 감소를 보였다. 3.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 방출량(放出量)은 감자와 배추를 이년(二年)마다 윤환재배(輪煥栽培)하므로써 가장많은 방출량(放出量)을 보였으며 다음은 벼 윤작재배구(輪作栽培區)에서 많았다. 그러나 답전윤환구(沓田輪換區)의 벼와 콩 및 감자와 배추를 윤작재배(輪作栽培)하므로써 뚜렷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4. 토양(土壤) 공기중(空氣中) 산소(酸素) 및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 구성비율(構成比率)은 작물(作物)의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대단히 상이(相異)했으며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산소(酸素)는 4~10%로 대기(大氣)보다 낮고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는 1~22%로 대기(大氣)보다 수십 내지 수백배로 높았으며 변이(變異) 폭(幅)이 대단히 컸다. 5. 작물재배기간중(作物栽培期間中) 이산화탄소(二酸化炭素)($CO_2$), 메탄($CH_4$) 및 아산화질소(亞酸化窒素)($N_2O$) 등(等) "지구(地球) 온난화(溫暖化) 원인(原因)가스"의 방출(放出)은 작물재배지(作物栽培地) 토양(土壤)의 수분(水分), 온도(溫度), 산소농도(酸素濃度) 및 양분(養分) 등(等)의 변화(變化)와 작물생육시기(作物生育時期)에 따라 크게 영향(影響)되었다.

  • PDF

파종시기에 따른 남부지역 재배 녹두의 생육 및 나물특성 변화 (Agricultural and Sprouts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Vigna radiata L.) Cultivated in Southern Areas According to Sowing Dates)

  • 추지호;이병원;주영광;임주성;송석보;최명은;김지영;한상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8권4호
    • /
    • pp.327-334
    • /
    • 2023
  • 본 연구는 녹두 안정생산과 재배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전국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녹두 품종(산포, 다현)의 파종시기별(5월 초~7월 중순 파종) 주요농업형질과 탈립성 및 나물이용성을 2년(2021~2022)동안 평가하였다. 1. 파종이 늦어질수록 발아소요일수, 개화일수, 생육일수가 모두 감소하여 재배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화일수과 생육일수의 적산온도는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수준이 유지되었는데 녹두가 감온성 작물이기에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2. 파종이 늦어질수록 경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분지수와 마디수도 증가하였다. 반대로 경태와 주당 협수는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협당립수에서는 품종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산포'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협당립수가 감소하였으나 '다현'은 파종시기에 따른 유의미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 재배시기에 따른 탈립률을 조사했을 때, '산포'는 탈립률이 10.0~19.3%, '다현'은 15.3~25.3% 수준으로 동일 파종시기별로 비교했을 때 파종 6시기 모두 '산포'가 '다현'보다 2.5~13.4% 가량 탈립률이 낮아 탈립에 강한 품종임이 확인되었다. 두 품종 모두 6월 초에 파종한 경우 탈립률이 가장 낮게 조사되어 탈립에 의한 수량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해선 이 시기에 파종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4. 파종시기에 따른 나물이용성 평가 결과, 배축장, 근장, 전장 및 배축직경은 파종시기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물 재배시 싹이 틔지 않는 종실인 경실의 비율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나물 생산수율은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vapotranspiration and Grain Yield in Responses to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in Soybean

  • Yang, Jae-Hwang;Kim, Wook-Han;Seong, Rak-Chun;Hong, Byung-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41-244
    • /
    • 2000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n evapotranspiration and yield of soybean according to different soil water conditions, and to find the optimum time and amount for irrigation in soybean cultivation. The difference between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and maximum evapotranspiration (MET) during growing season of soybean planted in lysimeter was higher during reproductive stage than during vegetative one. The maximum crop coefficient was obtained at beginning seed stage of soybean. Soil water coefficient of irrigation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non-irrigation treatment during soybean growth stage in field experiment. Grain yield was highest in lysimeter due to its high water use efficiency and evapotranspiration rate.

  • PDF

논과 밭 재배 유기농 인삼의 생육시기, 연근 및 식물체 부위별 수용성과 불수용성 탄수화물 함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Contents of Carbohydrates with Different Growth Stages and Year-Olds of Ginseng Grown with Organic Cultivation in Paddy and Upland Fields)

  • 이경아;박성용;오문국;김도현;김민수;송범헌;박기춘;차선우;최준하;최규동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12년도 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85-86
    • /
    • 201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