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fungi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5초

목본식물 잎에서 분리된 Phyllosticta 속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 (Unrecorded Endophytic Fungi Belonging to Genus Phyllosticta Isolated from Leaves of Woody Plants)

  • 박혁;이종철;권주희;이향범;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1-86
    • /
    • 2021
  • 전남 여수 금오산의 청미래덩굴 잎과 경남 통영 한산도의 삼나무 침엽을 표면살균하여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large subunit rDNA (LSU),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DNA (TEF)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분석 및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Phyllosticta 속에 속하는 두 종의 국내 미기록종 내생균이 확인되었으며, 확인된 종은 Phyllosticta ericaum과 Phyllosticta philoprina이다. 두 종의 내생균 균주에 대해 형태적 특성 및 계통분석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내장산국립공원의 고등균류 분포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in NaeJangSan National Park)

  • 장석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27
    • /
    • 2007
  • 2004년 4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내장산 국립공원 고등균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동안 고등균류는 총 5강 19목 60과 168속 418종(미기록종 10과 13속 15종 포함)이 조사 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은 47과 143속 384종이, 자낭균아문은 9과 19속 28종이었으며 점균문은 4과 6속 6종이 조사되었으며, 담자균아문의 모균아강(Hymenomycetidae)이 34과 122속 353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가장 많이 발생된 균류는 송이버섯과로 64종이었으며, 무당버섯과(39종), 구멍장이버섯과(36종), 그물버섯과(36종) 순으로 나타났다. 고등균류 버섯 발생은 강수량 및 대기온도가 높은 시기인 기후 환경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7월, 8월 및 9월에 집중하였다. 고등균류 버섯 분포에 영향을 기후환경 요인은 강수량, 상대습도 및 대기온도가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I) -수종 미기록 고약버섯류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I) -on some unrecorded corticioid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65-273
    • /
    • 1996
  • 1994년 10월부터 1995년 6월까지 8개월 동안 우리나라의 중부와 남부의 전역을 통하여 도합 28차례에 걸쳐 12개 국립공원, 2개 도립공원, 및 6개 일반 산악지역을 위시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고등균류 탐색을 실시하여 도합 634점의 목재부후균류를 채집하고 그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당자균류 민주름버섯류에 대한 체계적인 동정과 분류를 시도하여 국내 민주름버섯류의 미기록종과 고유종의 발굴을 수행하고 도합 9과 49속 92종의 민주름버섯목 균류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정된 균류중 1속 6종은 국내 미기록으로 확인되었고 해당 미기록속은 Phlebiopsis (좀아교고약버섯속, 신칭)이며,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Athelia bombacina (막부후고약버섯, 신칭), Ceraceomyces sublaevis (참밀고약버섯, 신칭), Hyphoderma sibiricum (틈목재고약버섯, 신칭), Hyphodontia arguta (침돌기고약버섯, 신청), Phlebiopsis gigantea (좀아교고약버섯, 신칭), 및 Radulomyces confluens (이빨버섯)이다. 1994년 정학성은 한국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98속 217종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1995년도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발표한 2속 7종 미기록과 1996년도에 게재한 제 2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과 함께 본 연구의 1속 6종 미기록을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2속 236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중 막부후고약버섯은 상수리나무, 참밀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틈목재고약버섯은 오리나무, 침돌기고약버섯과 이빨버섯은 벚나무, 좀아교고약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은 서울 근교의 북한산과 관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과거 서울근교에서 조사된 균류의 분포기록이 미비한 점과 대도시의 공해와 등산객의 행락에 의한 오염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특이한 균류의 분포상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서울 근교와 서울 주변의 경기도 일대는 도시오염과 관련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조사에 매우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 PDF

선충포획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ndentification of Nematode-Trapping Fungi)

  • 박용근;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7-134
    • /
    • 1983
  • 42 strains belonging to the genus Arthrobotrys and 17 strains belonging to the genus Monacrosporium, were isolated from soil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various localities in South Korea. 4 species of Arthrobotry and 2 species of Monacrosporium, which are unrecorded in Korea,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Harrd and Cooke classification key, respectively. The species identified are as follows ; A.conoides, A. oligospora, A. musiformis, A. oviformis, M. crystosporum nd M. salinum.

  • PDF

First Report of Ceriporiopsis resinascens (Phanerochaetaceae, Basidiomycota) in Korea

  • Lee, Jin-Sung;Woo, Eun-Ju;Lim, Young-Woon
    • Mycobiology
    • /
    • 제37권4호
    • /
    • pp.305-307
    • /
    • 2009
  • An unrecorded Ceriporiopsis species was collected at Mt. Gariwang, Gangwon Province, in 2008.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 fully resupinate basidiocarp, a reddish white to pinkish poroid hymenophore and a monomitic hyphal system with clamp connections, the species was identified as Ceriporiopsis resinascen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eriporiopsis resinascens in Korea. We confirmed the identity of the species as Ceriporiopsis resinascens based on ITS sequence analysis.

Six New Recorded Boletes from Mudeungsan National Park in Korea

  • Jae Young Park;Jin Sung Lee;Minkyeong Kim;Changmu Kim;Nam Kyu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61-470
    • /
    • 2023
  • The indigenous fungi in Mudeungsan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between 2020 and 2022. All collected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DNA sequences.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Boletaceae were analyzed in depth. Six species, Aureoboletus sinobadius, Hourangia densisquamata, H. nigropunctata, Tengioboletus glutinosus, Tylopilus himalayanus, and Xerocomus subparvus were newly recorded as macromycota in Korea.

An Unrecorded Species of Nematode-trapping Fungus, Dactylella pseudoclavata in Korea

  • Kim, Dong-Geun;Lee, Joong-Hwan;Kim, Hyun-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10-211
    • /
    • 2007
  • Dactylella pseudoclavata that captures nematodes in adhesive networks was isolated from nematode-infested strawberry plants from Andong, Korea. It produces obclavate, 0-1 septate conidia, $30-40{\mu}m$ long and $8-11{\mu}m$ wide, with round distal ends and bases shaped like bottle-necks. The conidiophores were simple, occasionally branched, $150-300{\mu}m$ long, producing 1-4 conidia at the apex. Chlamydospores were abundant, intercalary or catenulate, yellowish to brown, globate or subglobate, wart on the surface, $30-35{\times}25-30{\mu}m$ in siz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Dactylella pseudoclavata in Korea.

Pezizomycotina (Ascomycota) Fungi Isola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of Korea: Cladorrhinum australe, Curvularia muehlenbeckiae, Curvularia pseudobrachyspora, and Diaporthe longicolla

  • Nam, Bora;Lee, Jae Sung;Lee, Hyang Burm;Choi, Young-Joon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38
    • /
    • 2020
  • Fungi are ubiquitous and indispensable components of nearly all ecosystems on earth, including freshwater environments. A survey of fungal diversity in freshwater environments of Korea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unrecorded Pezizomycotina (Ascomycota) species in 2016 and 2017, based on morphology and molecular phylogeny; these included Cladorrhinum australe, Curvularia muehlenbeckiae, Curvularia pseudobrachyspora (Dothideomycetes), and Diaporthe longicolla (Sordariomycetes).

New Records of Two Agarics: Galerina sideroides and Gymnopus luxurians in South Korea

  • Jang, Seokyoon;Jang, Yeongseon;Kim, Jae-Jin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8-91
    • /
    • 2015
  • Studies on the diversity of indigenous fungi were conducted in the central districts of South Korea from 2008 to 2013. During the studies, potentially unrecorded agarics were collected. All specimens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examined morphologically and phylogenetic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hey were identified as Galerina sideroides and Gymnopus luxurians. These fungi have never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We report them here with detailed descriptions and figures.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reported Penicillium Species in Korea

  • Choi, Doo-Ho;Kim, Young-Guk;Lee, In-Seon;Hong, Seung-Bum;Kim, Jong-Guk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45-456
    • /
    • 2020
  • Fungal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Penicillium are indigenous to a wide range of natural environments. Since the first published reports detailing the discovery of Penicillium, new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Korea. We present here a full characterization of five species of Penicillium that were previously unreported in Korea. Based on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and sequences of genes encoding fungal ��-tubulin and calmodulin, we identified five Penicillium species, including P. hetheringtonii, P. sublectaticum, and P. jacksonii, which have been unrecorded in Korea, and confirming P. maximae and P. cremeogriseum, as the endophytic fungi isolated in Gyeongsang province, Korea. In this article, we provide detailed morphological descriptions of these fungal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