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paid work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플랫폼 노동자의 플랫폼노동과 그림자노동: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검증 (Platform Labor and Shadow Work of Platform Workers: Examining their Effects on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박상철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2호
    • /
    • pp.25-43
    • /
    • 2023
  • Purpose In online delivery platforms, platform workers are required to perform both platform labor, which is compensated with immediate wages, and shadow work which is a kind of unpaid job to support the platform labor.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how platform workers' platform labor and shadow work affect their job burnout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in the online delivery platform context.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developed a research model by employing platform labor and shadow work to influence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tested the model by partial least square techniques after collecting 169 cross-sectional data from food delivery riders in Korea.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both platform labor and shadow work affected platform workers' job burnout.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hadow work influenced their turnover intention while platform labor did no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d to relevant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platform contexts by offering measurable constructs on platform labor and shadow work.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provide practitioner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on managing platform workers.

소비자들은 셀프서비스 환경에서 디지털 그림자노동 참여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근거이론접근 (How do Consumers Decide to Engage in Digital Shadow Work in Self-service Environment?: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earch)

  • 유팅팅;고준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89-109
    • /
    • 2024
  • 디지털 기술 발전은 전통적 서비스 형태와 다른 셀프서비스기술 형태를 점차 보급시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 형식은 "디지털 그림자노동"이라는 소비자의 노동 참여 방식을 출현시켰다. 즉, 소비자가 셀프서비스기술을 사용하여 직접 자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기업의 노동력 자원을 절약하지만, 셀프서비스 환경에서 소비자로 하여금 디지털 그림자 노동을 하도록 함에 따라서 자신이 수행하는 무급 노동에 대한 인식의 문제 또한 발생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 권익 관련 이슈는 물론이고 기업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건강한 발전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는 셀프서비스 환경에서 소비자가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참여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인식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소비자가 셀프서비스기술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참여도와 자신의 무급 노동에 대한 인식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론 기반의 방법과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소비자가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참여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인식 요인을 탐구했다. 이러한 결정 요인의 심리적 인식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가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제고하고, 셀프서비스기술 환경에서 자신의 권익을 보호하는 의식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대면 셀프서비스기술 관련 회사에게 소비자의 결정 심리 이해의 중요성을 알림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의 고안과 발전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남녀 근로자의 직업 관련 특성과 대사증후군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ssociation between Job-related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and Female Worker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도경아;정혜선;최은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9-47
    • /
    • 2015
  • Purpose: This study is performed to help manage the metabolic syndrome in work place by identifying the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with subjects of Korean adult workers. Methods: Using part of data of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nd year (2008)" which center for disease control is investigat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 age,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and marital status as factors affecting the metabolic syndrome of workers in this study. Results: Work-related factors are the working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working while they are pressed for time due to work status and overload. If the work status of worker is unpaid family member, the risk is increased by more than twice compared to paid workers. The risk for metabolic syndrome in work environment to work while fighting the clock is decreased compared to the work environment without time pressure. Conclusion: In order to manage the metabolic syndrome of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to change management of both working condition and working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prevent the metabolic syndrome and ultimately prevent the cerebrocardiovascular diseases.

기혼 취업여성의 종사상 지위에 따른 일·가족 전이 :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임금근로자의 비교 (Work-Family Spillover of Married Working Women by Employment Status)

  • 진미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25-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work-family spillover differed by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differences. This study drew a sample of 332 self-employers, 181 unpaid family workers, and 1,053 wage workers from the 2014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It was found that negative work-family spillover did not differ by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However, positive work-family spillover was found the lowest in family worker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ifference remained after controll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verage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days off per week. The factors related to negative spillover were age, the presence of young children, working hours, and the number of days off.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workers are most disadvantaged in terms of work-family spillover. Yet there is no policy developed for them. Family policy needs to take them into account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services.

노인의 가사노동 기여도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Household Work Contributions and Related Factors of the Elderly between Korea and Canada)

  • 정순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53-62
    • /
    • 2005
  • In this study, we challenge recent apocalyptic rhetoric about idle, burdensome, and dependent older people. Our primary objective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older adults in both Korea and Canada using a broader definition of productivity that included household work. Another objective i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rticipation of household work of older adults in both countries. In order to conduct a comparative culture study two data sets were used; one was the 1999 Survey of Time Use collected by Korean Statistics Office and the other was 1998 Survey of Time Use collected by Canadian Statistics Office. Many countries have been collected a time use survey and used to study labor, welfare, and culture. Total number of 17,730 Korean and 2,729 Canadian between when and 84 were included to analyze the data. It is clear from the results that older people engage in productive behaviors, particularly when the definition of activities is broadened to include unpaid work. However, it is also clear the productive contributions in terms of household work ale lower among older Koreans than among older Canadians.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협조적 적응, 이중노동부담, 적응지체 가설의 검증 (An Empirical Study on the Dual Burden of Married Working Women : Testifying the Adaptive Partnership, Dual Burden and Lagged Adaptation Hypotheses)

  • 김진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51-7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경제참여 증가에 따른 무급가사노동의 분담정도를 설명하고 있는 세 가지 가설을 한국 상황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이다. 이 세 가지 가설이란 기혼여성이 취업할 경우 남성배우자가 적극적으로 가사노동을 분담한다는 협조적 적응 가설, 남성배우자의 가사노동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근로기혼여성은 유급과 무급의 이중적인 노동부담에 처하게 된다는 이중노동부담 가설, 그리고 어느 한 시점에서 근로기혼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이 나타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정도는 세대간에 달라질 수 있으며, 장기적인 추세를 관찰하면 맞벌이 남성의 가사노동분담도 역시 증가해 왔다는 적응 지체가설이다. 이상의 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핵심 독립변수로 성별, 연령, 맞벌이 여부가, 종속변수로는 총 노동시간과 무급가사노동시간이 설정되었고, 분석자료는 1999년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원자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 근로기혼여성은 남성배우자에 비하여 하루 평균 100분 이상을 더 일하고 있었으며, 한국 남성들의 가사노동시간은 23-25분 정도로 여성의 5-10% 수준에 불과하여, 무급가사 노동의 분담수준이 매우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 남성의 무급가사노동시간의 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설정되었던 맞벌이 여부나 연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찾아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의 상황에서는 협조적 적응 가설은 물론 세대간의 행위차이를 가정한 적응지체 가설도 채택될 수 없었으며, 이중노동부담가설이 근로기혼여성의 현실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취업여성의 이중노동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서비스 제도의 확충, 보살핌노동에 대한 보상체계 등을 제안하였으며, 시간자료를 이용한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맞벌이 가구에서 직업, 가사노동과 가족 특성이 남편과 부인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만족과 호혜성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Health Status of a Husband and Wife Related to Paid and Unpaid Work and Family Characteristics for the Dual-earner Household with Respect to Job Satisfaction and Reciprocity)

  • 유소이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09-5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job characteristics, housework factors (reciprocity) and family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health status of a husband and wife. To do this, the study used the ordered probit estim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atus of the husband's health was perceived to be slightly better than that of the wife. age, the husband's job satisfaction and wife's future job prospects were found to impact upon the health status of both the husband and the wife. In addition, the health of the husban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and his wife's perceived fairness of housework. On the other hand, the influencing factors upon the health status of the wife were her education, child caring responsibilities, her husband's future job prospects, as well as the flexibility of her work schedule and hours of work.

  • PDF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와 임금불이익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are Work in Korea)

  • 홍경준;김사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133-158
    • /
    • 2014
  • 경제적, 사회적, 인구학적 변화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돌봄노동의 규모와 중요성은 상당히 커졌다. 그에 따라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에서 돌봄노동자는 노동력을 구성하는 의미있는 부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돌봄노동은 다른 노동에 비해 임금수준이 낮고 열악한 노동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돌봄노동의 실태를 조망하고, 성향점수매칭법을 통해 임금불이익을 실증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돌봄노동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돌봄직업이 학력, 연령, 근속기간과 관련하여 위계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향점수 매칭법을 활용하여 돌봄노동의 임금불이익을 추정한 결과, 돌봄직업 근로자는 다른 직업 근로자보다 시간당 임금수준이 9.2%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돌봄노동조건의 열악함과 임금불이익은 사회서비스 확대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적절한 보상체계 없는 돌봄노동의 안정적 재생산은 어려우며, 사회서비스의 원활한 공급과 적절한 질 유지 또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 PDF

온라인 식료품 소비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이 모바일 쇼핑회피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e-Grocery Consumers' Shadow Work on Mobile Shopping Avoidance and Switching Behavior)

  • 박상철;김종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165-182
    • /
    • 2021
  • 코로나19는 소비자의 소비패턴을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시켰다. 소비패턴이 디지털화되면서 소비자는 자신이 스스로 해야 하는 일들이 수반되는 이른바 그림자노동을 수행하는 것이 일상이 되었다. 온라인 식료품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소비자가 그림자노동을 인식한다면, 이는 온라인 쇼핑 회피는 물론 다른 채널로의 전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이 모바일 쇼핑회피와 채널전환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식료품 구독 서비스 경험이 있는 소비자 28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PLS 분석을 통해 그림자노동인식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은 모바일 쇼핑회피는 물론 채널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바일 쇼핑회피 또한 채널 전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자노동 관련 연구와 모바일 쇼핑 서비스관련 연구분야에 학문적 기여가 가능하며, 플랫폼 및 큐레이션 기업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가족관계만족도와 근로유형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lf-esteem on Elderly Depression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and Working Types)

  • 양지훈;김민아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7-172
    • /
    • 2016
  • Obje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through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and tested whether working types would moderate such associations. Method: The subjects were 2,145 elderly who are healthy enough to work and were selected for the ninth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sed by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1 with reference to steps for testing mediation by Baron and Kenny, moderated mediation by Heyes. Results: Self-esteem has both direct and indirect significant effects, revealing that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fully mediates the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f 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From the working types, self-employed/employer and unpaid family worker, moderate the indirect 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through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Conclusions: In practical intervention of elderly depression reduction, efforts to increase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is effective when it is difficult to us address satisfaction. Moreover, we have to provide intervention for elderly with work in context of relationship of individual and familial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