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observed heterogeneit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가구특성과 빈곤지속기간이 빈곤탈피율에 미치는 영향 -지속기간의존성과 표본이질성에 대한 검증을 포함하여-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Poverty Duration on Poverty Exit Rate -Examining the Effects of Duration Dependency and Sample Heterogeneity -)

  • 김환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01-322
    • /
    • 201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의 1~11차 년도(1998~2008년) 자료를 이용하여 가구특성과 빈곤지속기간이 빈곤탈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빈곤지속기간이 경과할수록 빈곤탈피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진정한 지속기간의존성에 의한 것인지 또는 표본이질성에 기인한 것인지를 검증하고 비관찰 이질성을 통제할 때 독립변수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관찰 비관찰 이질성을 통제하면 지속기간의존성이 대부분 사라진다는 분석결과는 겉으로 보이는 지속기간의존성이 사실은 표본이질성으로 인한 가식적 관계임을 의미한다. 또한 비관찰 이질성을 통제한 모형에서는 가구특성의 영향력이 더욱 커졌다. 연령, 교육수준, 가구형태, 가구원 수 등의 인구 사회적 특성과 취업상태 및 종사상 지위 등 경제활동 특성이 빈곤탈피율에 영향을 미친다.

근로자의 이질성과 자영업 선택에 관한 실증분석 - 임금근로에서 자영업으로의 진입을 중심으로 - (Heterogeneity of Workers and the Entry into Self-employment - Focusing on the Entry of Wage Workers into Self-Employment -)

  • 김우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36권2호
    • /
    • pp.1-36
    • /
    • 2013
  • 본 연구는 임금함수 추정으로부터 얻어진 잔차, 즉 보이지 않는 이질성이 자영업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Joona and Wadensjo(2013)에 따라 이 잔차를 개인 능력의 대리변수로 간주하고, 과연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자영업자가 되는지, 아니면 능력이 낮은 사람이 자영업을 선택하는지를 한국노동패널 1-11차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전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할 때 능력의 양극에 있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자영업 진입확률이 높지만, 남녀를 구분할 경우 이러한 U자형의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낮은 사람이, 여성의 경우에는 능력이 높은 사람이 자영업으로 진입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1998-2008년 사이 능력과 자영업 진입과의 관계에 변화가 있었으며, 능력이 높은 사람이 대체로 자영업 성과도 좋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nfluencing of Aging on Time Preference in Indonesia

  • KIM, Dohyu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8호
    • /
    • pp.33-39
    • /
    • 2021
  • Purpose: The influence of age on time preference is not identified in the usual cross-sectional analysis. This study aims to test whether age affects time preference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individual heterogeneity including cohort effec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Drawing o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anel dataset of Indonesians, we estimate the effects of age on time preference after controlling for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as well as potential cohort effects. We measure time preference exploiting information on two sets of multiple price lists: one for a one-year delay, and the other for a five-year delay. Results: When we controlled for time-invaria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birth cohort effects in a fixed effects model, the older men and women were more patient in a linear fashion, particularly when the delay was longer.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for individual fixed effects, we repeated the specification without controlling for individual fixed effects in OLS or censored maximum likelihood regression; we found no relation between age and impatience in men or women and for a one or five-year delay. Conclusions: The older men and women are more patient, and time preferences are correlated with unobserved individual heterogeneity.

How Banks' Resources at the Retail Level Affect Their Output?

  • ALOTHMAN, Seham;AL-MAHISH, Mohamme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853-861
    • /
    • 2020
  • The study aim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the Saudi banking sector at the retail level using secondary data for 11 local banks from the period 2015-2019. The study uses an extended version of the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to account for the fact that as banks openup more retail branches, they will need to employ more labor. The extended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was estimated using the two-way fixed effect model to account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across Saudi banks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labor competencies and leadership style. Besides, the model accounts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among Saudi banks due to the advancement in electronic services over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labor, branches, customers' deposits, and fixed deposi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value of generated loans. Conversely, ATM has an insignificant effect on generated loans. The average scale elasticity shows that the Saudi banks at the retail level are operating under decreasing returns to scale. The average 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shows that Saudi banks need at least one ATM to replace one unit of labor at the retail level while keeping the same level of output.

미관찰 지역 특성을 고려한 내국인 국제선 항공수요 추정 모형 (Outbound Air Travel Demand Forecasting Model with Unobserved Regional Characteristics)

  • 유정훈;최정윤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41-154
    • /
    • 2018
  •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제선 항공수요에 대웅하기 위해 지방 광역권에도 새로운 공항 건설 및 기존 공항 확장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항공수요예측은 우리나라 전체 항공수요 또는 주요 도시 간의 항공수요에 대해서 수행되어 왔으며, 지방의 고유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항공수요예측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영남권 국제선 항공수요를 대상으로 하였고, 현실적으로 관측하기 어려운 지방 광역권의 고유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패널 자료를 활용한 fixed-effects model을 최적 모형으로 제안하였다. 모형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패널 자료 분석은 시계열 특성을 가지는 몇 개의 거시 사회경제지표만을 사용한 모형에서 다루기 어려운 허구적 회귀와 미관찰 이질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통계적 검증과 적합성 평가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fixed-effects model이 다른 계량경제 모형들에 비해서 영남권 국제선 수요예측에 있어서 우수함을 증명하였다.

고정효과 분석을 이용한 공무원과 민간부문 임금격차 추세 추정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Wage Gap Trend in Korea - New evidence from the fixed effect analysis -)

  • 한종석
    • 노동경제논집
    • /
    • 제40권1호
    • /
    • pp.69-97
    • /
    • 2017
  • 본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공무원과 민간부문의 임금격차 추세를 고정효과 방법으로 추정한다. 관측되지 않은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제거하고 시간에 따른 임금격차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로그 임금 차분을 이용한 고정효과 방법을 사용한다. 고정효과 추정 결과,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공무원과 민간부문의 임금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OLS 추정에서 나타나는 역 V자 형태(2007년을 기점으로 공무원 임금 프리미엄이 감소)의 추세도 고정효과 분석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PDF

Semiparametric Bayesian Regression Model for Multiple Event Time Data

  • Kim, Yongdai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1권4호
    • /
    • pp.509-518
    • /
    • 2002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emiparametric Bayesian analysis of the proportional intensity regression model of the Poisson process for multiple event time data. A nonparametric prior distribution is put on the baseline cumulative intensity function and a usual parametric prior distribution is given to the regression parameter. Also we allow heterogeneity among the intensity processes in different subjects by using unobserved random frailty components. Gibbs sampling approach with the Metropolis-Hastings algorithm is used to explore the posterior distributions. Finally, the results are applied to a real data set.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출의 기간의존성 (Duration Dependence in the Exit Rate from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Program)

  • 이원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83-107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탈출의 기간의존성을 분석하였다. 수급기간이 길어질수록 수급탈출률이 낮아지는 기간의존성의 존재는 복지의존을 시사하는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다. 실증적 분석 결과,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지위, 건강상태, 취업 형태 등의 관찰된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수급기간이 길어질수록 수급탈출률이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되지만, 관찰되지 않은 이질성을 통제하면 수급기간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수급기간이 길어질수록 수급탈출률이 낮아지는 현상의 상당부분은 수급자 집단의 이질성으로 인한 허위관계이고 수급탈출의 기간의존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 (Why have Marriages been Delayed?)

  • 김성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4호
    • /
    • pp.57-81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미혼자들이 초혼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을 설명한다. 분석 결과, 교육수준과 관련하여, 여자 대졸자는 고졸 이하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Odds)이 0.91배, 약 8.5% 낮아지고, 여자 석 박사 졸업자는 여자 대졸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0.40배(59.6%)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력과 관련하여, 남자 취업자의 경우 미취업자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5배 높아지며, 직업이 상시직이면 상시직이 아닌 경우에 비해 결혼하지 않을 확률 대비 결혼할 확률이 1.60배 높아진다. 또한, 만 14세 때의 가정 형편이 평균 이하인 경우 평균 이상인 경우에 비해 결혼할 확률이 0.65배 낮아진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볼 때, 최근 우리나라의 만혼 현상은 여성의 교육수준 향상뿐만 아니라 경제력을 갖춘 남성 청년층의 감소에 상당 부분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혼여성 시간제일자리의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변화 (Part-time Jobs of Korean Married Women -The recent change in their state dependence-)

  • 정민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3호
    • /
    • pp.95-128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들의 시간제, 전일제 등 근로형태가 오래 지속되는지 아니면 근로형태간 이동이 활발한지를 상태의존성(state dependence) 추정을 통하여 살펴보고, 최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동태적 다항로짓모형(dynamic multinomial logit model) 추정결과 시간제와 전일제 상호간 이동성이 최근 낮아지면서 각 근로형태의 상태의존성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시간제일자리는 전일제와 미취업 사이에서 근로형태간 이동을 활발하게 하는 디딤돌 또는 쉼터의 역할이 약화되고 전일제 외에 노동시장 참여 옵션을 제공하는, 전일제와는 구분된 추가적 일자리형태로 기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