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manned enforceme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1초

기계적 단속 및 인력단속에 의한 과속단속 효과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Assessment of Speed Enforcement by Unmanned Camera and Policeman)

  • 강수철;김만배;강동근;장순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7-24
    • /
    • 2010
  • 교통사고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들로 인해 정부에서는 강력하게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하여 왔다. 이러한 결과들로 인해 최근 들어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 수가 감소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사고 감소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들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수반되게 마련이며, 이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 평가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교통단속에 투자되는 비용 가운데 단속효과가 입증된 무인과속단속시스템에 의한 단속과 교통경찰에 의한 인력단속의 경우를 단속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평균속도에서 설치전 조건이 평균속도 82.66km/h, 인력단속 조건이 70.57km/h, 기계적 단속조건이 67.85km/h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제한속도 위반율에서도 설치전 조건이 65%, 인력단속조건이 32%, 기계적 단속조건이 19%의 순으로 나타났다. 차종별로는 승용차, 승합차, 화물차의 순으로 평균속도 및 위반율이 높았으며, 차로별로는 1차로가 2차로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사고율을 추정하여 투입비용 대비 편익을 측정하였는데 무인과속단속시스템 설치전 조건의 경우와 비교하여 연간비용대비편익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교통경찰에 의한 인력단속조건의 경우 76,130,590원의 마이너스편익이 발생하였고, 무인과속단속시스템에 의한 기계적 단속의 경우 38,577,670원의 편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륜차 무인교통단속장비 개발 및 표준규격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Standard Specification of Unmanned Traffic Enforcement Equipment for Two-Wheeled Vehicles)

  • 인병철;유성준;한음;이경진;박성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6-142
    • /
    • 2023
  • 본 연구는 이륜차 법규위반 및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무인교통단속장비 및 표준규격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중인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이륜차 단속의 문제점 및 신기술 검토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륜차 무인교통단속장비 도입타당성 및 기술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개발장비 현장실험을 통해 이륜차 단속기능을 구현하였고, 성능개선을 통해 단속대상 추가 및 번호인식률이 향상되었다. 현장실험 및 성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이륜차 무인교통단속장비의 성능기준을 마련하였고 통신프로토콜에서는 차종분류코드 및 위반항목에 이륜차에 관한 사항을 신규로 구성하여 규격을 개발하였다.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Enforcement on Traffic Signal Violation - Focused on Daegu City -)

  • 김기혁;정윤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6D호
    • /
    • pp.553-560
    • /
    • 2010
  • 본 연구는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신호위반 단속건수와의 관계를 규명하고 모형을 개발하여 예측된 모형을 통해 신호위반 단속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규칙을 파악하는 방법으로 교통사고의 위험을 항시 내포하고 있는 교통법규 위반행위가 빈번한 지역에 대한 무인다기능단속시스템의 설치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무인교통단속장비 개선 및 구현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of Unmanned Traffic Enforcement Equipment)

  • 이상오;이철기;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2-56
    • /
    • 2022
  • 본 논문은 무인교통 단속장비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 무인교통 단속장비에 대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정리하고 최신 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할 수 있는 사항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새로운 무인교통 단속장비의 설계 및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사항으로서 무인교통 단속장비의 하우징 소재 변경, 장비구성의 간소화, 무게의 경량화와 소프트웨어로 단속용도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개선된 무인교통 단속장비의 객관적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인인증기관에 의뢰하여 KC 인증 및 내구성 시험을 통한 장비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기존 무인교통 단속장비와 공사기간 및 설치비용 등을 비교 평가하여 앞으로 무인교통 단속장비 시장성 확보의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운행제한(과적)차량 단속체계 성능 개선을 위한 화상인식 시스템 활용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System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nforcement System for Overlimit(Overweight) Vehicles)

  • 임혁규;김현석;박현석;한대철;김병기;김주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74-676
    • /
    • 1999
  • At present electrical and electronic technologies is rapidly improved, and they have formed their market widely. New technologies such as traffic signal system, navigation system and unmanned vehicle are connected with transportation field. Among these advanced technologies, the Image Processing Technology has been used for the astro-navigation, medicine, military field and so forth. Recently The Image Processing Technologies are widely applied to traffic enforcement system for signal, speed limit and HOV lane.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dvanced enforcement system for over limit(overweight)vehicles using Image Processing System.

  • PDF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한 불법주정차 무인단속시스템 (Unmanned Enforcement System for Illegal Parking and Stopping Vehicle using Adaptive Gaussian Mixture Model)

  • 염성관;신성윤;신광성;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96-402
    • /
    • 2021
  • 최근 스마트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무인 차량 관제 시스템의 보급이 활성화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적응적 배경영상 모델링 방법을 이용한 불법주정차 무인단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적응적 가우시안 혼합 모델로 배경 영상을 모델링할 때, 이동 물체의 상황 변화에 따라 전역적으로 배경 영상을 업데이트하거나 국소적으로 배경 영상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이동 물체가 배경 영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배경 영상을 정확하게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구현을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이동하고 있는 물체 또는 정지상태의 물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드론에 의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및 운용 상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 제안 (A Legislative Proposal to Prevent the Infringement of Privacy and to Solve Operational Problems by Drones)

  • 김용호;이경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141-1147
    • /
    • 2017
  • 드론은 조종사가 직접 항공기에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조종하는 항공기를 말한다. 현재 드론은 실종자 수색과 교통단속 등 경찰장비로 포함되어 활용되고 있다. 사람이 직접 눈으로 보고 수색하는 과정을 광학 성능이 뛰어난 카메라가 대신하며, 비행하며 촬영했던 영상을 이후 재검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사법기관에서 규정과 원칙 없이 무분별하게 드론을 운용하여 범죄수사와 수색에 사용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개인은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 침해를 당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행 드론 운용에 대한 법적 문제와이의 해결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드론 원격 식별 규정 및 표준화 동향 분석 (Analysis of Regulation and Standardization Trends for Drone Remote ID)

  • 김희욱;강군석;김대호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6호
    • /
    • pp.46-54
    • /
    • 2021
  • Drone remote identification (ID) capability is essential to ensure public safety, help law enforcement, and secure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the national airspace. Remote ID technology can be used to differentiate compliant drones from illegal drones that pose a potential security risk by providing airspace awareness to the civil aviation agency and law enforcement entities. In addition, the increased safety and efficiency obtained by mandating remote ID will make it possible to operate drones over populated areas and beyond visual lines of sight. In addition, remote ID will allow drones to be safely integrated into unmann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and the national airspace. Remote ID devices can be categorized by type, i.e., broadcast remote ID or network remote ID. The broadcast remote ID, which has high technical maturity and will be applied in the near future, is primarily considered to ensure the security of drones. The network remote ID, which is being developed and tested and will be applied in the distant future, can be used additionally to ensure the safety an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airspac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rends on regulation and standardization activities for drone remote ID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 and Europe.

주행시험을 통한 고속축중기의 융합형 중량환산 알고리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est Results Using the New Fusion Weight Conversion Algorithm for High-speed Weigh-In-Motion System)

  • 김종우;정영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7-80
    • /
    • 2020
  • 고속축중기는 통행 흐름의 통제나 속도의 감속 없이 주행 중인 화물차량의 중량을 실시간 무인 검측하는 시스템으로, 국내에서는 축 조작 행위방지 및 주행 중 과적행위 적발을 위해 주로 고속국도 및 일반국도 본선에 설치하여 이동단속반 검차를 위한 사전선별용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축중기의 중량 측정정확도를 법정 기준까지 향상시키고자 기존 적분형 및 첨두형 중량환산 알고리즘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매트타입형 고속축중기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융합형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현장 실차 주행시험을 통한 정확도 향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최상급의 정확도 등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