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startup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3초

The Analysis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Hwang, Gyu-Sam;Kim, Hye-Sook;Park, Dae-Sub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7
    • /
    • 2017
  • Purpose -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it attempts to discover if business startup confidence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60 days, from July 20, 2016 to September 20, 2016, and distributed to 300 restaurant founders who started their business through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ovided by Korea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in Seoul, Kyungki and Incheon or existing business founders. Results - P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business startup education, all law, entrepreneurship, commercial power analysis, and practical educ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Per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business startup confidence interaction show that they do not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Setting up theoretical reasoning, this study supports conclusions drawn by prior studies: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대학생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효능감,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tartup Support Program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pportunity Recognition·Startup Inten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 이정란;장규순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43-60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관계자들과 창업관련 정책 관계자들에게 창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현 위치를 알리고, 다양한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창업의지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을 창업교육 지원, 창업활동 지원, 사업화 지원의 세 가지 지원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지원들 중 어떠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또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매개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창업활동 지원은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화 지원은 창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창업교육 지원은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에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창업활동 지원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창업활동 지원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창업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사업화 지원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에서 기회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다른 변수들은 매개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창업지원프로그램 중 일부 지원은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으로 인해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지원프로그램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창업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높일 수 있는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과 충분한 창업활동 지원과 학생이 원하는 사업화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과 창업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발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대학발 투자연계 창업촉진방안 연구: 한밭대 창업아이템검증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university-based startup promotion through Seed Investment-Induced : The Case of Hanbat University Startup Item Market Validation Program)

  • 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3호
    • /
    • pp.185-193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창업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투자연계를 통한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한밭대학교에서는 3년 동안 운영한 이노폴리스 캠퍼스 창업아이템검증프로그램을 운영프로그램과 우수 사례를 제공함으로써 대학에서 투자자들을 중심으로 한 시장전문가와 대학과의 협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첫째, 타 이노폴리스캠퍼스창업사업단의 벤치마킹 모델로 활용가능토록 하고, 둘째, 우수 참여자사례 스토리는 타 사업단이 참가자를 발굴하고 선정하여 검증 후 보강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노하우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대학생 창업활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대학생 중심의 인지적 모델과 대학지원의 통합적 접근 (An Empirical Study of Students' Start-Up Activities: Integrated Approach of Student-Focused Cognitive Model and Supportive Activities of University)

  • 장수덕;이재훈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65-76
    • /
    • 2014
  • 본 연구의 기본적 목적은 대학생들의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창업의도와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을 중심으로 이들 변수들이 창업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연구자들은 대학생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을 식별하고 이들 영향요인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리고 창업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들 요인들이 창업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창업의도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지는 총 769부이며 창업선도대학을 중심으로 설문지가 배포되었다. 설문지는 자기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설문지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위험감수성향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강좌 수강이나 창업동아리 활동과 같은 경험 및 롤모델의 경험 또한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의도는 개별적으로 창업활동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부분매개변수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업의도가 높은 학생들이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을 많이 경험할 수도 창업활동은 더욱 활발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창업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of Restaurant Founder on Transfer Effect in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 Hwang, Gyu-Sam;Jung, Hun-Jung;Kim, Hae-Ryong;Shin, Choung-Seob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0-38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restaurant startup education on transfer effects in learning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lso, problems and ways to provide effective business startup education for a restaurant founder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 - this study collected surveys by conducting direct investigation. From July 20th of 2016 to September 20th of 2016 (approximately 60 days), the survey was collected. Out of 540 surveys, 520 were collected. And excepting 9 surveys which were untrustworthily conducted, total 511 surveys were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 First, as a result of the impact of which factor of a restaurant founder's startup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ransfer effect in learning (the satisfaction of startup education and learning transfer), law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business district analysis education and practical education have turned out be positively related variables. Secondly, as a result of the impact of a restaurant founder'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on transfer in learning, it has been identified that startup education has a positive impact. Lastly, by conducting an analysis to find out which factor from a restaurant founder's transfer effect in learning has an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ll variables, including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transfer effect in learning, are positively influencing factors. Conclusions - a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of a restaurant founder is increasing, there is a higher level of transfer effect in learning. Moreover, as transfer effect of startup business is getting higher, it has an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국내 창업지원프로그램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창업지원프로그램 비교 (A Study on the Improvements for Startup Supporting Programs in Korea :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Startup Supporting Programs)

  • 이재석;이상명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2호
    • /
    • pp.15-34
    • /
    • 2022
  •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청년창업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창업지원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주요 창업지원프로그램들에 대한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 선진국들의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요구되는 창업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창업지원제도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실효성 있게 운영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기존 창업지원프로그램들의 현황 분석을 통해 자금지원, 선발 프로세스, 교육 및 멘토링, 네트워킹, 홍보 및 브랜딩, 사후관리부분에서 실질적 창업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개선방안과 창업지원프로그램들의 성과평가지표에 대한 제언, 연구의 한계점 등을 제시하였다.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in Korea: From Employment Measures to Market Success

  • Ko, Chang-Ryong;An, Jong-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8권1호
    • /
    • pp.97-121
    • /
    • 2019
  • The Korean government has focused on universities or colleges as the main targets of its startup policy since the 2010s. However, the performance is not so good, with a low survival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underpin the success of student startups. First, through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compared the success factors of student startups with those of venture startups, which means the general startup sector, as well as youth startups, also a focus of startup policy targeting youngsters outside universities or colleges. Second, we analyzed case studies of startup companies connected University H. The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main target of student startups is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students.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success factors; existing studies only emphasize the entrepreneurship of students. The results of case studies showed several factors of success similar to those of general venture startups: founders, business model and resources including team, and mentoring.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Exploring the government policy for promoting university startups in Korea)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들어 주요한 대학지원 사업의 하나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대학 창업 지원 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학의 창업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부의 각종 창업 지원 사업을 통해 국내의 4년제 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창업교육이 활성화되고 있고, 창업동아리 지원, 창업 자금 지원 및 창업 공간 지원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창업기업의 형성 및 매출액 등과 같은 정량적 성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정부 재정지원 사업 추진에도 불구하고 대학 창업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요인으로는 부처별 창업 지원 사업 간의 차별성이 부족하고, 사업 추진 체계가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결과 사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이 가장 두드러진 문제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처별 창업 지원 사업의 유사 중복성을 탈피하고, 대학 내 사업 추진 체계를 개선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대학 내 창업지원 조직이 사업별로 분리되어 운영됨으로써 사업 간 및 조직 간 연계성이 떨어지고, 그에 따라 대학 내 창업 지원 사업의 파급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개선이 요망된다.

The Necessity of Startup Cultures Enhancement in a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 CHUN, Sung-Gil;LEE, Cheol-Gyu
    • 산경연구논집
    • /
    • 제12권9호
    • /
    • pp.19-29
    • /
    • 2021
  • Purpose: To thri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highly competitive global market, a company must establish a strong startup culture, which creates a workplace environment that values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solving business-related proble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tartup culture in a competitive environ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oduction and hence produce higher retur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conducted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its steps seek to ensure that the researcher adheres to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data. The method is used for subjective examination of content in any text data and the five steps minimize cases of errors or repetition in used content. Results: Our investigation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resources indicates that leading strategies and creating a pleasant working environment are vital behaviors that companies should consider adopting and implementing to achieve a beneficial startup culture full of productivity and massive returns. Conclusion: This research aimed to discuss the necessity of startup culture's enhancement for for-profit companies and found that the adoption of a startup culture in a company is critical to its success. It is vital to building a solid startup culture to grow and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highly competitive business world.

'질 좋은' 창업의 개념정립과 창업교육 중심의 '질 좋은' 창업육성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Conceptual Study for Creating "A Good Quality Startup" by Algorithm-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양영석;최종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2호
    • /
    • pp.141-150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패러다임이 '질 좋은 창업' 으로 이행되고 있는 추세 속에, 질 좋은 창업의 개념 정립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질 좋은 창업이 창출 될 수 있는 서식지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질 좋은 창업' 에 대한 직설적 논의는 정책적으로는 태동하였지만 이론적으로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성공창업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진행 된 바 이러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미국의 대학창업교육 현황 분석을 통해 질 좋은 창업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고 이의 달성조건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질 좋은 창업' 달성 모형 핵심은 질 좋은 창업성립요소 확보, 이의 혼합을 통한 준비과정, 그리고 이의 실행을 주도하고 지원하는 실행생태계였다. 이러한 모형은 이미 미국 대학교육에서 방대하게 실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의 TEC 프로그램 사례분석을 통해 이를 검증한 '질 좋은 창업육성 시스템' 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