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e-learning

검색결과 2,101건 처리시간 0.031초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Edute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JinHee KIM;HoSung WOO
    • 4차산업연구
    • /
    • 제3권2호
    • /
    • pp.11-17
    • /
    • 2023
  • Purpose - Recently, in the field of language education, interest in edutech has increased due to difficulties in classroom teaching due to COVID-19. Accordingly, we would like to analyze research topics related to e-learning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organized a list of papers to be analyzed by searching for e-learning terms applicabl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RISS. The collected data was electronically documented, keywords were extracted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nd word frequencies were checked, and then viewed through cloud visualization. Result -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on e-learn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increased rapidly in 2021 and 2022. In particular, extensive research on online learning methods has been actively conducted due to the difficulties of face-to-face learning in the COVID-19 era.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flipped learning, hybrid learning, blended learning, mobile learning, and smart learning. Conclusion - Since the research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online class management methods. Therefore, future research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using specific ICT technologies. These efforts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smart education that future education aims for.

수학 성취도가 낮은 학생의 보충 지도 과정에서 블렌디드 e-러닝과 개별화 교수체제의 효과 비교 분석 (The comparison on the learning effect of low-achievers in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 송다겸;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2호
    • /
    • pp.161-17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act on low-achievers in mathematics who studied mathematics us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fter school. Blended e-learning is defined as the management of e-learning using the e-study run by the education office in local.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was proceeded as follows; (1) all students are given a syllabicated learning task and a study guide, (2) students study the material autonomously according to their own p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the teacher strengthens the students' motivation through grading and feedback after students study a subject and solve the evaluation problem. The learning materials for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are re-edited the offline education contents provided by the blended e-learning to the level of students. The 118 $7^{th}$ grade students from the D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achievement tests before and after the study, as well as survey regarding their attitude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lended e-learning has more positive impacts than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ir self-directed learning between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Third, both types utilizing Blended e-learning and Personalized system of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there is not their difference between two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이러닝 특성이 학습자의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learning characteristics on e-learner's scholastic performance)

  • 이헌철;구본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01-209
    • /
    • 2009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육공학 관점과 정보기술 관점의 통합적 연구모형을 통해 이러닝 특성과 이러닝 학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시스템 품질, 이러닝 콘텐츠 특성, 상호작용 등을 독립변수로, 이러닝 학업성과를 종속변수로, 학습동기를 매개변수로 설정,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를 위해 212명의 사이버 대학 재학생들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러닝 특성 중 기술적 품질 컨텐츠 품질 학사지원 등이 학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이러닝 특성과 학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학습 동기는 양자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근거 향후 이러닝 이용자들의 학업성과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이러닝 학습자들의 다양한 수준과 목적을 고려한 강좌 및 강의내용이 적절히 제공되고,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간 상호작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기능이 적극 제공된다면 이러닝의 실질적 유효성을 훨씬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e-포트폴리오의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을 위한 계층적 기법 (A Hierarchical Method for Systematic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e-Portfolio.)

  • 이혜진;박찬;장영희;정지성;성동욱;유재수;유관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8-93
    • /
    • 2009
  • e-러닝 환경에서 e-포트폴리오는 교수자와 학습자 각각 수행한 수업 및 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한 결과물로, 이를 활용할 경우 교수자에게는 수업 설계 및 강의를 돕고, 학습자에게 학습결과물을 확인함으로써 자기반성의 기회를 줄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e-포트폴리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교수자 및 학습자로부터 직접 수집하는 방법과 e-러닝 시스템을 통한 학습활동의 결과물로 자동적으로 수집하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e-포트폴리오를 사용목적에 적합하게 효과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데이터를 계층화 하여 분류한 후에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용 목적에 맞게 상황별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e-포트폴리오 관리를 할 수 있고, 또한 상황별 구성방식에 대한 로직을 추가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만의 e-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다.

  • PDF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e-PBL의 효과 (The Effect of e-PBL in the Earth Science Class of the High School)

  • 김현정;김상달;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2
    • /
    • 2009
  • e-PBL based on constructivism adopted PBL(Problem Based Learning) and WBI(Web Based Learning), and it becomes the advanced model of instruction to be achieved PBL on-line. In this thesis, I applied e-PBL to 'the changing weather' part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I, compared to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and analyzed how it affected on. On the basis of these, this study predicts the applicability o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high school and suggests the improving of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results. The following shows the conclusion with as the central result of research. First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Second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on the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self-efficacy than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 PDF

Combina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Technology

  • Kim Min-Kyung;Kim Won-Il;Kim Jin-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권2호
    • /
    • pp.10-12
    • /
    • 2005
  • Along with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ducation is achieved on-line actively. Therefore, interest about computer aided learning is growing. By a lot of advantages such as expense and time-saving side, this type of learning is widening area gradually. In this paper we discuss some of the learning technology, such as e-learning, m-learning, and u-learning.

  • PDF

MOOCs에 기반한 대학이러닝의 융복합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a convergence development plan of MOOCs based e-learning in university)

  • 최미나;노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9-21
    • /
    • 2015
  • 최근 대학이러닝 환경은 급변하고 있고, 특히 글로벌 유수 대학을 중심으로 한 MOOCs 서비스의 확산은 국내 대학이러닝에도 새로운 변화와 도전을 촉진하고 있다. 급변하는 이러닝 환경 속에서 대학이러닝은 MOOCs를 중심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갈 것인지 융복합적인 관점에서 발전방안에 대한 탐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OOCs를 기반으로 대학이러닝의 융복합적인 발전방안을 개념적 틀과 함께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이러닝 및 MOOCs 관련 문헌 연구, 전문가 자문회의, 대학이러닝을 둘러싼 SWOT 분석, 대학이러닝지원센터 관련자 대상 설문 등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MOOCs의 특성을 반영한 '개방형 고등교육 강좌 서비스', '교수학습 큐레이션 서비스', '교수학습 프랙티스 서비스', '창의적 교수학습 방법 개발 및 공유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용 플랫폼 지원 서비스' 등의 이슈를 융복합적으로 통합한 안을 도출하였고, MOOCs 기반으로 한 융복합적 발전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이러닝의 도약적 발전을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 아울러 국내 MOOCs의 도입과 적용에 대한 논의의 기초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oward a Systemic Approach to Quality Assurance in e-Learn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 JUNG, Ins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1권2호
    • /
    • pp.25-41
    • /
    • 2010
  • Challenges brought by applications of advanced technologies in education call for new approaches that can best ensure the provision of quality e-learning experiences. This paper presents an ecological approach as one of such approaches to quality assurance in e-learning that can monitor, asses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the links between the various elements of e-learning. The ecological model for QA in e-learning emphasizes interrelation transactions between elements (e.g. providers, learners, cultures and policies) and systemic integration of those elements, and stresses that all these elements within a QA system play an equal role in maintaining balance of the whole. The model focuses attention both on individual and societal/cultural environmental factors as cornerstones for QA efforts in e-learning. It addresses the importance of QA efforts directed at changing QA transactions from provider-centered to 'all stakeholder-oriented', from one-size-fits-all model to 'globally oriented, locally adaptive model' and from control framework to 'culture creation framework'.

초등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for Learning Effectiveness Evaluation of e-learning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 차승희;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09-318
    • /
    • 2005
  • 최근 교육의 전 부분에서 이러닝(e-learning)이 도입되고 있고, 또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이러닝과 함께 새로 대두되는 통합형 학습(blended learning)은 오늘날의 교육이 좀 더 새로운 형태의 교육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한 예이다. 본 논문은 앞서 연구된 여러 이러닝 콘텐츠 평가 준거들을 살펴보고,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통해 초등학교에서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문항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 평가 문항과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결과를 이용하여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유효성 평가에 적용해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평가준거와 평가 방향에 대한 논의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통합형 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양질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e-Learning 강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 I 대학 교수.학생.도서관서비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Activate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Service to Support Academic Courses in e-Learning)

  • 이종원;고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의 최근 변화된 강의환경을 고려하여 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상용 디지털 콘텐츠와 대학의 e-Learning 현황을 분석하고 현재의 환경하에서 요구되어지는 대학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강의를 이용하고 있는 I 대학의 교수 학생을 대상으로 e-Learning 강의 지원에 미치는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상용 디지털콘텐츠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도서관의 상용 디지털콘텐츠 제공 서비스 품절은 디지털도서관 서비스 측정모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Digital Library Service Quality Index(이하 DL-SQL모형이라 함)을 바탕으로 4개의 차원(정보시스템 품질, 디지털장서 품질, 고객서비스 품질, 고객커뮤니티 품질)과 7개의 구성요인(검색성, 전담조직 및 인터페이스, 접근성, 디지털장서, 고객지원서비스, 개인화서비스, 고객커뮤니티) 등을 일부 수정하여 디지털 콘텐츠관련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디지털콘텐츠 관련 도서관서비스에서 "고객서비스"와 "고객커뮤니티" 품질 서비스는 "정보시스템"과 "디지털장서"에 대한 품질 서비스보다 e-Learning 강의 지원과 학습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e-Learning 강의를 개설하는 교수와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대학도서관에서 상용 디지털콘텐츠를 구입하여 제공하는 양적 푸싱 서비스 보다는 도서관의 대 이용자 고객맞춤정보 서비스가 e-Learning 강의지원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분석됨으로써 향후 대학에서 e-Learning 강의와 연계된 디지털콘텐츠 구축관련 정책수립시 참고해야 할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