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4초

대학 기숙사 급식 서비스 품질 평가가 급식에 대한 관계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일부 여대생 기숙사를 대상으로- (Effects of a Quality Assessment of a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on the Relationship Intention toward the Foodservice - Focusing on the University Dormitories for Female Students in Gwangju -)

  • 송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5-5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quality assesment of a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on the satisfaction degree, value awareness and relationship intention toward the foodservice. A total of 328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Using SPSS package, Cronbach's alpha,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foodservice vari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service utilization. Customers of less than one year rated the nutrition supply of the university foodservice the highest, followed by those who were customers for more than 3 years and those who were customers for 2 to 3 years, respectively. Second,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foodservice was substantially influenced by price as compared to service quality. Third, the quality assessmen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rice appropriateness of the foodservice. Fourth, foodservice assessment items such as customer-centeredness, pursuit of nutrition supply and food quality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satisfaction degree toward the university foodservice. Fifth, customer-centeredness, pursuit of nutrition supply and food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intention. Sixth, among the items of value awareness for the foodservice, value assessment as compared to service quality, and not price appropriateness, greatly affected the relationship intention. Seventh,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 foodservice affected the relationship intention.

웰빙의식이 대학 기숙사 급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Well-being Awareness on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 송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1-1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and concer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regard to well-being, and how these affected their assessment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Therefore,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8 college students that use a dormitory foodservice.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positive the self-centered and society-centered values in relation to well-being, the greater both the concern and will to practice well-being through the eating well-being foods. Second, the attitude toward well-being foo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aste, amount, temperature, appearance and shape of dishes. Third, unlike the will to practice well-being through the eating well-being foods, the greater the concern about foods of well-being, the more positive was the effect on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foodservice. The greater the satisfaction with the attributes of a foodservice had a substantial influence on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foods. That is to say, the taste and type of dishes played a key role in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foods. Fourth, the concern in relation to foods of well-being had no measurable influence on the decisions with regards to the satisfaction of a foodservice or on the intention to reuse that foodservice.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ttributes and use of a foodservice, the taste, type, appearance and shape of dishe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decisions to use and reuse a foodservice. Fifth, the general satisfaction with the meals served by a foodservice operation had a measurabl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and intention to reuse that foodservice.

전라북도 익산 지역 대학교 기숙사 학생의 식습관 및 기숙사 급식 만족도 조사 (Studies on Dietary Habits and Residence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in Jeollabuk-do Iksan Area)

  • 민경진;최일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42-45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dormitory foodservices'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using dormitory foodservice in the Jeollabuk-do Iksan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95 students (86 male, 109 female). Many students (58.5%) ate less than two meals per day and spent around 30 min eating meals. The results show that snack and midnight meals were the main reasons (37.9%) for unhealthy eating habits. Main source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TV and the Internet (58.5%), followed by friends and people (25.1%), nutrition books (10.3%), elective courses (4.6%), and newspapers and magazines (1.5%).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scores for nutrition, taste, diversity of menu, as well as hygiene of dormitory food court compared to women (p<0.05). Salty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of taste satisfaction, whereas sour taste was opposite. The reason for taste dissatisfaction in the dormitory food court was not salty enough, and it may be related with their eating habit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need education for adequ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nutrition.

서울지역 대학 기숙사생의 식습관 및 영양서비스 요구도 (Dietary Habits and Demands for Nutrition Service of University Dormitory Residents in Seoul Area)

  • 류시현;이우진;권수연;윤지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7-76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demand for nutrition service of university dormitory residents. Out of 4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residing in a university dormitory, 335(74.4%) returned and 265(58.8%) were analyzed. The analyzed sample included 140 males(52.8%) and 125 females(47.2%). The number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ere 183(69.1%) and 82(30.9%), respectively. Male and undergraduate students tend to more frequently use dormitory foodservice than the respective counterpart. About 21% of respondents skipped breakfast everyday and almost 2/3 of respondents skipped breakfast more often than $3{\sim}4$ times a week. The most often chosen reason for skipping meals was 'lack of time' for lunch and dinner as well as breakfast. Graduate students tend to drink coffee more often than undergraduate students.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drink carbonated drinks and alcohol compared with female students. Over half(59%) of respondents were taking multivitamins and mineral supplements. About 80% of respondents perceived their health average or above. New residents having moved in to the dormitory less than a semester before tend to perceive their heath status worse than the residents having lived longer in the dormitory. The demand for nutrition service was high as shown by the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willingness to receive the service: 76% for nutrition assessment service and 63% for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Such demand did not differ between males and female respondents. However, graduate students we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nutrition counseling service than undergraduates.

경북지역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의 고객만족과 충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of University Dormitory Foodservice in Gyeongsangbuk-do Area)

  • 이경아;박소영;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59-266
    • /
    • 2017
  • 본 연구는 경북지역 D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1일부터 8일간 설문조사를 통해 급식서비스 만족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충성도에 따른 고객 분류를 통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 학생 중 기숙사 급식소를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경우는 17.5%, 아침 또는 저녁 한 끼만 이용하는 경우는 48.8%,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33.7%로 나타났다. 급식만족도의 전체 평균점수는 3.19/5.00점이며, 위생요인, 환경요인, 음식요인, 반응성요인, 메뉴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반응성요인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P<0.01) 높았고 1학년이 4학년보다 유의하게(P<0.05)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기숙사 거주기간에서는 1년 미만 군이 2년 이상 군보다 전체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P<0.01)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를 아침 또는 저녁만 이용하는 군과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군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군보다 위생요인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에 대한 고객충성도 평균점수는 2.73/5.00점이며, 재방문 의도, 구전 의도, 전환하지 않을 의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방문 의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고, 구전 의도는 1학년이 2학년과 4학년보다 유의하게(P<0.05) 높은 점수를 보였다. 기숙사 거주기간 1년 미만 군이 2년 이상 군보다 전체 평균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기숙사 급식소 이용 빈도에 따른 차이에서 아침과 저녁 모두 이용하는 군, 아침 또는 저녁만 이용하는 군, 거의 이용하지 않는 군의 순으로 전체 평균점수, 재방문 의도, 전환하지 않을 의도가 유의적인(P<0.001) 차이를 보였다. 급식서비스 만족도 요인인 음식, 환경, 메뉴, 위생, 반응성은 모두 재방문 의도, 구전의도와 양(+)의 유의적인(P<0.001)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급식서비스 만족도 요인 중 음식, 메뉴, 반응성 등 3가지가 전환하지 않을 의도와 양(+)의 유의적인(P<0.001) 상관관계를 보였다. 급식소 이용고객을 급식서비스 만족도와 충성도 고객군(충성 용병 인질 이탈고객)으로 분류한 결과, 충성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에서는 위생요인이, 고객충성도에서는 재방문 의도와 구전 의도가 유의적(P<0.001)으로 높았고, 용병고객군과 인질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에서 메뉴요인이 유의적(P<0.001)으로 낮았으며, 이탈고객군은 급식서비스 만족도 중 메뉴요인(P<0.001)이, 고객충성도에서는 구전 의도(P<0.01)가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으로 대학교 기숙사 급식소의 고객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각 고객군에 따른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보겠다.

대학급식소 영양사의 업무에 따른 교육필요성 분석 (Analysis of Training Needs with Roles in College & University Foodservice Dietitians)

  • 장명숙;이진미;백선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4호
    • /
    • pp.462-472
    • /
    • 2005
  • College and university foodservice dietitians have to be competent for playing a role as the future food service executive as well as the present foodservice administrator in the promising foodservice industry fiel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raining needs corresponding to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m acquire a new knowledge related to self-development and duty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raining needs were differ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ietitian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food services, and training subjects. A future study should develop systematic training strategies for dietitians.

  • PDF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음식의 적정분량 설정에 관한 연구(II) - 산업체급식소와 대학기숙사 급식소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Portion Control of Meal Served by Food Service Operation)

  • 김혜영;김춘매;고성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9-86
    • /
    • 1997
  • Well-balanced meal is very important in its quantity and quality. Especially on the quantity field it becomes difficult for a foodservice operation to decide proper portion for individuals uniformly. These study was focused to setting up a proper portion by each food service oper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1. Individual consumption size from dormitory food service of college: cooked rice 282 g, soups 161 g, pot stewes 162 g, stir fries 53 g, stews 32 g, kimchies 47 g, fresh and boiled salads 43 g, one course dishies 477 g, pan broiles 44 g, meunieres 124 g. Individual consumption size from industry foodservice (white collar worker): cooked rices 228 g, soups 205 g, pot stewes 251 g, stir fries 20 g, stewes 76 g, kimchies 57 g, fresh and boiled salads 36 g, one course dishies 423 g, pan broiles 63 g, meunieres 38 g. 2. Proper portion of meal based on a statistical data is as follows: at college foodservice - cooked rices $280{\sim}290$ g, soups $155{\sim}170$ g, pot stewes 170 g, stir fries 60 g, stewes 35 g, kimchies $40{\sim}60$ g, fresh and boiled salads 50 g, one course dishies 480 g, pan broiles 50 g, meunieres 130 g and at industry foodservice (white collar worker) - cooked rices $220{\sim}250$ g, soups 210 g, pot stewes 250 g, stir fries 20 g, stewes 80 g, kimchies 60 g, fresh and boiled salads 40 g, one course dishies 430 g, pan broiles 70 g, meunieres 40 g.

  • PDF

중국유학생의 한식 메뉴 선호도 및 기숙사 급식만족도 - 목포대 일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 정현영;전은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83-289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유학생 한식메뉴 선호도와 급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목포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유학생 총 1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한식재료 총 40종의 기호도, 중국학생들의 식습관, 한국음식의 인지도와 선호도, 기숙사 급식실태, 급식서비스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자'가 90명(53.9%), 한국체류 기간은 '1학기 거주'가 97명(58.1%), 건강상태는 '건강함'이 80명(47.9%)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음식에 대한 인식도로는 '맛이 담백'이 $3.36{\pm}0.95$점, 한국음식 식품군별 기호도는 고기류에서 '쇠고기'가 78명(46.7%), 생선류는 '갈치'가 48명(28.7%), 야채류에서는 '배추'가 39명(24.4%), 과일류는 '귤'이 82명(49.1%), 우유 및 유제품은 '흰우유'가 65명(38.9%) 등이 가장 높았다. 식습관 중 편식여부는 큰 차이가 없었고, 식사하는 이유로는 '공복감 해소'가 72명(43.1%)으로 가장 높았다. 한끼 식사량으로는 '적당하게'가 98명(58.7%), 식사를 거르는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가 81명(48.5%), 식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가족의 식습관'이 92명(55.1%), 식습관 중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는 '불규칙한 식사시간'이 67명(40.1%)으로 가장 높았다. 한식 메뉴별 인지도에서는 배추김치, 불고기, 깍두기, 삼겹살, 떡볶이, 갈비탕, 곰탕 순, 선호도에서는 불고기, 돼지갈비찜, 소갈비찜, 닭갈비찜, 삼겹살, 갈비탕, 닭도리탕 순이었다. 인지도와 선호도간의 차이검증 결과는 비빔밥, 떡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떡볶이, 잡채, 배추김치, 깍두기(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전복죽, 비빔국수, 소갈비찜, 돼지갈비찜, 닭갈비찜, 생선매운탕, 곰탕(p<0.01), 호박죽, 불고기, 닭도리탕(p<0.05)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숙사 급식실태는 하루 중 식사 횟수로 '2회'가 79명(47.3%), 식사소요시간으로는 '10~20분 미만'이 109명(65.3%), 급식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의무식 규정이어서'가 62명(37.1%), 급식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맛이 없어서' 76명(45.5%)이 가장 높았고, 식사 시 가장 많이 남기는 음식종류로는 '김치류' 46명(27.5%)이 가장 높았다. 급식서비스 중요도에서는 '식기의 위생'이 $4.22{\pm}0.77$점, 만족도에서는 '식사 후 냅킨 거울 급수시설의 설비'에서 $3.64{\pm}0.8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검증 결과는 식당의 위치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p<0.001)가 있었다. 이와 같이 중국유학생들의 급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맛과 다양성을 추구하고 이를 반영하여 음식 맛을 개선하고 음식 맛을 돋을 수 있는 형태나 외관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는 조리법을 개발하는 단체급식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제주지역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 만족도 및 급식메뉴 기호도 조사 (A survey of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menu preference of high school boarding students in Jeju)

  • 김경자;채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1호
    • /
    • pp.77-88
    • /
    • 2014
  • 본 연구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제주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숙사급식 만족도와 급식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기숙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고 기숙사 급식의 질적 향상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성별은 남자가 71.1%, 학년은 2학년 46.0%, 기숙사 거주기간이 2~3학기인 학생이 45.3%, 월평균 용돈은 3만원 미만이 39.0%, 동지역에 거주하는 학생이 68.3%로 나타났다. 방학 중 외식횟수는 한 달에 1~2회가 51.4%, 부모가 맞벌이를 하는 학생은 73.7%, 어머니의 학력은 고졸이 46.9%, 본인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60.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기숙사급식 만족도에 있어서는 메뉴 품질에 대한 만족도 (3.26)보다 서비스 및 위생에 대한 만족도 (3.46)가 높았고, 메뉴 품질에 있어서는 주식 (밥)의 양 (3.70), 음식의 온도 (3.50), 음식의 신선도 (3.42), 음식의 맛 (3.14)의 순으로, 서비스 및 위생에 있어서는 급식 정보 제공 (3.66), 식당 분위기(3.53), 급식 위생 (3.48), 식사질서 지도 (3.43), 원활한 배식 (3.34), 조리종사자의 친절도 (3.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끼니별 급식 만족도는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있어서는 아침식사의 경우 여학생의 만족도 (3.36)가 남학생의 만족도 (2.93)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 < .01). 조사대상이 기숙사급식에서 제공받은 음식의 섭취량을 끼니별로 분석한 결과 저녁식사 (3.70), 점심식사 (3.50), 아침식사 (3.14)의 순으로 나타났고 점심식사와 저녁식사는 남학생의 섭취량 (각 4.12, 4.17)이 여학생 (각 3.72, 3.76)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p < .001). 조사대상 고등학생의 기숙사급식에 대한 개선점에 있어서는 맛의 향상 (43.4%), 메뉴의 다양성 (31.0%), 배식량 증가 (17.4%), 급식위생 (3.8%), 급식환경 (3.3%)의 순으로 응답율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 맛의 향상 (49.2%), 메뉴의 다양성 (28.7%), 배식량 증가 (14.9%), 급식환경 (4.6%), 급식위생 (1.3%)의 순으로, 여학생은 메뉴의 다양성 (36.6%), 맛의 향상 (29.3%), 배식량 증가 (23.6%), 급식위생 (8.1%), 급식환경 (1.6%)의 순으로 나타났다 (p < .001). 조사대상의 주식류에 대한 기호도는 면류 (4.06), 일품음식류 (3.92), 밥류 (3.6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밥류에 있어서는 검정쌀밥 (3.80), 일품음식류는 볶음밥 (4.05), 면류에 있어서는 스파게티 (4.21)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 및 찌개류에 대한 기호도는 갈비탕 (4.10), 김치찌개 (3.99), 된장찌개 (3.92), 순두부찌개 (3.79), 육개장 (3.78)의 순으로 나타났고 동태찌개 (2.72)와 북어국 (2.61)은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조사대상의 부식류에 대한 기호도에 있어서는 찜류 (3.95), 튀김류 (3.87), 볶음류 (3.57), 김치류 (3.54), 구이류 (3.49), 조림류 (3.27)의 순으로 나타났고 무침류는 3점 미만인 2.89를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였다. 메뉴 아이템에 있어서는 갈비찜 (4.24), 닭튀김 (4.23), 닭볶음 (4.19), 돈까스 (4.17), 탕수육 (4.10), 돼지고기볶음 (4.04)의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5점 만점에 대해 4점 이상을 나타냈으며, 콩조림 (2.94), 시금치무침 (2.94), 애호박무침 (2.89), 느타리버섯볶음 (2.84), 생선구이 (2.81), 마늘쫑무침 (2.69), 취나물무침 (2.67), 청경채 겉절이 (2.71), 톳무침 (2.65), 생선조림 (2.63), 건파래 무침 (2.59)은 5점 만점에 대해 3점 미만을 나타내 보통 이하의 기호도를 보여 생선이나 채소류보다 육류를 이용한 음식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후식류에 있어서는 쥬스류의 기호도 (4.52)가 가장 높았고 요구르트 (4.50), 생과일 (4.42), 빵류 (4.33), 우유 (4.08), 떡류 (4.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빵류 (p < .05) 와 떡류 (p < .01)에 대해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의 메뉴 기호도는 기숙사급식 만족도 (r = 0.369), 메뉴 품질 (r = 0.348), 서비스 및 위생 (r = 0.344),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418), 제공된 음식 섭취량 (r = 0.220)과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기숙사급식 만족도는 메뉴품질 (r = 0.944), 서비스 및 위생 (r = 0.931),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70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메뉴품질은 서비스 및 위생 (r = 0.758), 끼니별 만족도 (r = 0.717)와 다소 높은 정 (+)의 상관관계를 (p < .01), 서비스 및 위생은 끼니별 급식 만족도 (r = 0.604)와 정 (+)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p <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기숙사급식에의 의존도가 높은 기숙사생들이 영양적으로 균형 있는 음식을 섭취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배식량 및 배식방법 등을 개선하고 다양한 조리법 및 이벤트 메뉴 등을 개발하는 등 학생들이 성장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충남 공주지역 대학생의 식사행동 및 액체섭취실태 조사 (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Liquid Consum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ngju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4호
    • /
    • pp.327-337
    • /
    • 2009
  • University students tend to have various dietary problems including undesirable dietary behaviors, inadequate intakes of nutrients and biased habits of liquid consum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dietary behaviors (n = 357) by questionnaire survey and to examine dietary nutrient intakes (n = 60) and liquid consumption (n = 853) by food record method for 3-days among university students attended in K University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Most subjects lived in the dormitory or self-boarding house, and they skipped breakfast most frequently and took breakfast most irregularly among three meals. Dietary mean intakes of energy, Ca, vitamin B2 and folate were lower than the KDRI (37-85%), and those of males were poorer than those of females. Ratios of energy intake among three meals and snacks were not distributed evenly, so the mean energy intake from snacks was higher and that from breakfast was lower than the ideal ratio, respectively. Daily mean consumption of liquid was 1,526.4 mL/d for males and 1,151.5 mL/d for females, and these intakes were more than the KDRI (1,300 mL/d for males and 1,100 mL/d for females). However, their sources of liquid consumption were not desirable because alcohol, soda, juice of fruit or vegetable and beverage mixed with fruit juice and/or vegetable juice were major sources of liquid as well as drinking water. These finding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poor dietary behaviors including frequent skipping of breakfast, irregularity of meals, inadequate intakes of nutrients and undesirable pattersirablliquid consumption including high portion of alcohol and soda as alliquid source, and these trends were stronger for males than for females. Therefore, we should endeavor to correct their meal problems id ated to dietary behaviors, nutrient intakes and liquid consumptions through nutritio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