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검색결과 719,882건 처리시간 0.587초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Career Barriers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Youth)

  • 김지민;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5권1호
    • /
    • pp.85-10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진로장애와 우울을 매개로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교 밖 청소년패널 5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31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진로장애, 우울, 스마트폰중독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진로장애와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이중매개가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진로장애와 우울 각각 매개를 확인하였으나 사회적 낙인감은 스마트폰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을 예방하고 청소년 코칭에서의 개입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대순진리 해원상생의 현세 실현과 그 실천수행 연구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Daesoonjinri's Haewon Sangsaeng in this World and Its Practical Action)

  • 금교영
    • 대순사상논총
    • /
    • 제25_2집
    • /
    • pp.71-102
    • /
    • 2015
  • In this paper, this author studied the realization of Daesoonjinri's Haewon Sangsaeng(解冤相生) in this world, for instance discussed the meaning of Daesoonjinri's Haewon Sangsaeng, a world construction with Haewon Sangsaeng, its practical action for the realization of Haewon Sangsaeng, and so forth. A description of the contents is as follows. Daesoonjinri's Haewon Sangsaeng eliminates the resentment of human destiny, and provides the grounds that we peoples can live with, going to help each other. And then the realization of Daesoonjinri's Haewon Sangsaeng in this world will require us to this society. Really Sangje(上帝) wanted to perform it in this world, and has performed it with a reorganizing in the order of heaven and the earth(天地公事). In response to the deeper sublimest will of Sangje, we humans can not help but do as follows: When Sangje has done a reorganizing in the order of heaven and the earth, we humans should participate in it. This is our response to the will of Sangje who wants to build an ideal society in this world. And in oder to participate in a reorganizing in the order of heaven and the earth, we humans should look up Sangje with Sincerity(誠), Reverence(敬), and should practice the words of Sangje with Faith(信). This kind of thing is a route that we should avoid Jeokwon Sanggeuk(積怨相克) and should perform Haewon Sangsaeng. This Haewon Sangsaeng can be achieved with no Chuck(無慼), an altruistic, no greed(無慾), an execution of asceticism(修道), and the practice of Podeok (布德)·Rehabilitation(敎化). No making of a Chuck, doing an altruistic, no greed, an execution of asceticism would not deceive others, would not murder others, would not blame the transgressions of others, would not discriminate, would not harm others. And Podeok·Rehabilitation should be performed well in practice. When performing Podeok and Rehabilitation, we should not nullify them as unjust words or undue actions, and we must be a true. Because we must make the words of Sangje inform a world wide well, and must convince the words of Sangje to peoples so that they can adhere to them with a faith. That's the way that we humans should participate in a reorganizing in the order of heaven and the earth in this current world, and the way that we should contribute to building the ideal society in the world.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도가적 접근 - 제프 말파스와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 (The Taoist Approach to 'Place' and 'Experience' as Seen by Anthropogeographers: Focusing on Jeff Malpas and Lao-Zhuang Thought)

  • 김덕삼
    • 대순사상논총
    • /
    • 제33집
    • /
    • pp.351-379
    • /
    • 2019
  • 장소는 공간과 구분된다. 인문지리학에서 장소는 공간과 달리 사람과 사람의 경험이 강조된다. 본고에서는 인문지리학자들과 방향을 같이하면서 지리학이 아닌 철학에서 출발한 제프 말파스(Jeff Malpas)의 관점과 노장(老莊)의 관점에 기초하여, 장소와 경험에 대한 말파스와 노장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적 의미를 기초로 장소와 공간을 구분하고, 이를 말파스와 노장적 견해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경험'과 '장소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장소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경험은 장소를 장소이게 하는 것으로 말파스가 강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소의 장소됨을 확인하고 장소의 특징을 규명하면서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서 언급된 견해와 말파스의 견해를 비교하며, 장소와 장소 경험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소가 왜 장소여야 하는지, 장소에서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러한 것에 대하여 노장사상에는 어떤 관점과 입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장소연구에서, 장소는 동서양을 떠나 모두에게 의미 있는 주제이다.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동양적 장소론이 보다 정교하게 대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opographic Features in Visibility Analysis)

  • 김영훈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4
    • /
    • 2010
  • 본 논문은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효율성과 활용성에 대한 내용으로써 지형 요소별로 가시권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각 지형 요소와 가시권 분석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eak, pass, pit, ridge, valley를 지형 요소로 선정하고 조망 지점에서 최대 가시 면적을 확보하는 문제를 가시권 문제로 정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지형적 요인을 고려하기 위해 산악 지역에서부터 평야 지역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발고도와 가시 면적과의 상관 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넓은 가시권 확보를 위해 고도가 높은 지점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의미이다. 둘째, 넓은 가시 범위를 보이는 상위 지점들은 해발 고도의 편차가 적다는 점이다. 이는 넓은 가시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해발 고도 지점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가시권 상위 지점들과의 가시권 비교 결과, 모든 연구 지역에 걸쳐 다섯 유형의 지형 요소가 최대 가시권 확보 면적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가시권 분석에서 지형적 요인의 중요성과 지형 요소의 기여방안에 대한 논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최대 가시권 분석에 있어 가시권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변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사료 내 아미노산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ufficient dietary amino acids on the milk production of dairy cows milked three times daily)

  • 여준모;이성훈;이장형;노환국;김완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8권1호
    • /
    • pp.43-51
    • /
    • 2006
  • 본 실험은 젖소의 사료 내 아미노산 중 His, Met, Lys의 부족이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킨 젖소의 유생산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사료 내 His, Met, Lys의 부족을 위해서 조사료로서 그라스 사일리지를 이용하고 또한 농후사료에 이용되는 단백질원으로서 우모분만을 이용하였다. 비록 젖소의 대사에너지 섭취량이 유생산을 위한 요구량보다 훨씬 높았지만 사료 내 특정 아미노산의 부족은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 증가시킨 젖소의 유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한쪽 유구에만 3회 착유를 적용한 결과 2회 착유된 유구의 유단백질 및 유당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의 결과는 특정 아미노산이 제한된 사료조건에서 젖소의 하루 착유횟수를 2회에서 3회로 증가시키는 것은 유생산 반응을 변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유량 촉진방법이 아님을 제시하였다.

정동 이론으로 본 농악의 공감각적 현존과 신체 운동 (The Synesthetic Presence and Physical Movement of Nong-ak as Seen Through Affect Theory)

  • 권은영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5-35
    • /
    • 2020
  • 정동(affect)은 신체가 외부 세계를 감각함으로써 생성되는 강렬함(intensity)과 특질(quality)이다. 이렇게 체험된 정동 중에서 의미와 해석이 부여된 관념이 감정(emotion)이다. 정동 이론(affect theory)은 감정과 정동을 분별하고 정동에 주목함으로써 신체의 반응과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신체를 매체로 하는 공연예술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농악은 '재현'(representation)보다는 정동의 발생 자체에 주력하는 예술이다. 농악은 소리, 색깔, 질감, 신체 운동 등이 중첩되어 공감각적으로 현존하는 공연이다. 여기에는 인간의 신체를 중심으로 악기, 소품, 의상, 무대장치 등 물질적인 것들과 리듬, 기분, 분위기 등 비물질적인 것들이 동원된다. 신체는 이런 것들에 자극되어 공연에 적절하도록 경향성을 띄며, 공연에 몰입할수록 '이미지 없는 신체'(the body without an image)가 되어 '의사-신체성'(quasi-corporeality)을 보이며 행동한다. 마치 의식이 없는 것처럼 자동으로 움직이는 이런 신체는 집단 속에서 더 쉽게 나타난다. 일상의 개인을 집단 속의 '이미지 없는 신체'로 이행(transition)시키기 위해서 농악에서는 '진풀이'라는 집단적인 신체 운동을 수행한다. 이런 신체 운동은 비언어적인 교감과 소통을 높여 정동을 증강시키고, 상호 신뢰와 귀속감 속에서 개개인들의 창조력을 발휘하게 한다. 농악이 일으키는 정동과 감정은 자신과 집단의 존재, 활력, 능력을 확인하고 긍정하는 것으로 작용한다. 이런 긍정성은 집단의 차원에서 농악을 의미 있고 중요한 가치로 기억하게 하였고, 보존하고 전승해야 하는 공연양식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지면재배를 이용한 푸른콩나물의 생육 및 성분특성 (The Growth and Properties of Green Sprouts in Soil Culture)

  • 장광진;이장호;김용태;안충응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6권1호
    • /
    • pp.63-72
    • /
    • 2004
  • 1. 콩나물을 25℃ 및 30℃에서 재배한 경우 17℃ 및 20℃로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발아일수에 따른 콩나물의 수율 및 콩나물의 특성들이 증가되지만 7일차 콩나물부터 부패가 시작하므로 콩나물의 재배에는 20℃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재배토양에 따른 푸른콩나물의 생육시험은 밭 흙, 모래, 피트모스+펄라이트, 황토, 황토+활성탄에서 각각의 생육을 측정한 결과, 일반 모래땅에서 850g으로 생장량이 가장 좋았다. 3. BA 첨가에 따른 푸른콩나물의 몸통의 직경은 BA처리구에서 길어져서 무처리 1.4mm에 비해 BA 240, BA 80배에서는 2.0, 2.2mm로 증가하였고 BA 40배에서는 1.8mm로 다시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4. 푸른콩나물과 일반콩나물을 비교하면 탄수화물은 푸른콩나물의 섬유질이 0.9g으로 일반콩나물 0.6g보다 많았으나 당질은 0.81g으로 일반콩나물 2.9g보다 적었다. Vitamin은 푸른콩나물에서 Vitamin B가 일반콩나물에 비해서 2배 이상 높았으나 Vitamin C의 함량은 일반콩나물에 비해 적었다.

환경 농업 실천을 위한 밭작물 작부체계의 적용 조사 (Studies on Cropping System of Upland Crop for the Sustainable Agriculture.)

  • 강윤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3권1호
    • /
    • pp.20-29
    • /
    • 2001
  • 문헌에 나타나 있는 작부체계의 역사적 고찰과 변천과정, 환경농업이 가능한 밭작물의 작부체계의 적용과 그의 기대소득을 분석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금양잡록(衿陽雜錄)과 산림경제(山林經濟) 등에 의하면 조선조 15~16C에 근경(根耕)과 간종(間種)의 방법으로 보리, 콩, 팥, 조 등과의 작부체계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2. 주곡의 자급이 이루어지고, 못자리의 설치가 빨라진 1970년대 이후 쌀+보리의 작부체계가 83.7%에서 1990년대에는 4.0%로 급속히 떨어져 식량생산 뿐만 아니라 경지이용율도 급속히 떨어졌다. 3. 작부체계의 유형은 토양환경을 감안할 때 두류와 보리, 서류의 유형이 유망하다고 사료된다. 4. 작부체계의 유형별 기대소득은 보리+콩(610천원/10a)과 보리+녹두(663천원)를 빼고는 940천원에서 1,972천원의 범위로 토지생산성이 높았다. 5. 농업환경의 유지와 보전은 토양환경에 과도한 부하를 주는 시비와 농약사용은 양분종합관리(INM) 및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에 의한 병충해종합관리(IPM) 등의 실천으로 가능할 것이다.

강우입자의 물리적 특성평가: 경기도 안성시 지역을 사례로 (Evaluating Physical Characteristics of Raindrop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 김진관;양동윤;김민석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9-57
    • /
    • 2010
  • 한반도 중부에서의 강우사상 동안의 강우입자의 물리적 특성을 규명하고 강우강도와 강우에너지와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09년 사이에 3회에 걸쳐 경기도 안성시 고삼저수지 인근에서 laser-optical disdrometer를 이용하여 강우입자의 크기와 종말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강우입자의 크기분포와 강우입자의 종말속도를 이용하여 강우강도와 강우운동에너지 함유량(KE, Jm-2mm-1)과의 관계와 강우강도와 운동에너지 소비율(KER, Jm-2h-1)의 관계를 각각 제안하였다. 그리고 tipping-bucket 강우계로 측정한 강우강도를 disdrometer 의 강우강도로 보정해주는 관계도 제안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강우강도와 강우의 운동에너지와의 관계는 한반도 중부지방에서 5분 강우강도가 최대 40mmh-1 아래인 경우에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강우의 운동에너지로 변환하고자 할 때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여성영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거울'과 '새장' 모티프 연구 (A Study on 'Mirror' and 'Cage' Motifs Repeatedly Displayed in Korean Female Movies)

  • 김남석
    • 공연문화연구
    • /
    • 제40호
    • /
    • pp.37-69
    • /
    • 2020
  • 이 연구는 한국 여성영화의 흐름을 통해, 그 특징과 미학 그리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살피기 위해 구상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시행하기 위해서 시대별 대표성을 간직한 네 편의 영화를 선택해야 했다.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영화 <미몽>, 1950년대 여성주의에 대한 논쟁을 대대적으로 촉발한 <자유부인>, 여성의 황폐해진 삶과 이율배반적 남성 시각을 결합한 1990년대 영화 <은마는 오지 않는다>, 그리고 한국 페미니즘 영화의 미래 전형을 제시한 <바람난 가족>이 그 대상 작품이다. 특히 이러한 작품들은 시대별 한국 영화의 전형성과 대표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대상작이 아닐 수 없다. 이를 바탕으로 이 작품들에 나타나는 두 개의 공통 모티프를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하나는 여성의 영어 된 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새장' 모티프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들이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고 현재 상황을 점검하는데 필요한 '거울' 모티프이다. 한국의 여성영화는 '새장'과 '거울'의 모티프를 일정 부분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모티프의 연계를 통해 궁극적으로 겨냥했던 작가적 전언을 전달하는 데에도 주력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