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que aroma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5초

Identific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Cordyceps Militaris

  • Park, Mi-Ae;Lee, Won-Koo;Kim, Man-S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18-22
    • /
    • 1999
  • Flavor characteristics of raw Cordyceps militaris significatntly different from those of dried one. In the case of raw Cordyceps militaris , major flavor components were composed of 5 alcohols, 3 ketones, 4 phenols, 9 alkanes , and 3 alkenes. The major alcohol was 1-octen-3-ol(22.56%, 1147.3% ng/ml), which contributed to the characteristic green flavor. Ketones (3-ocatone, inparticular )were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raw Cordyceps militaris . In contrast, major flavor components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were composed of 4 alcohols, 4 ketones, 3 furans, 4 pyrizines, 2 dithiazines, 5 phenols , 8alkenes , 17 alkanes, and 8 fatty acids. Dried Cordyceps militaris had unique sweet aroma of sesame as wella s a milky flavor. Green or fruit flavor were rarely detected . In alkanes , 10 cosanes, component fo wax were present. Typical flavor components of alkanes such as $\beta$-caryophyllen and Δ-cadinene were also detected. Fatty acids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ranged from myristic acid (14 :0) to linoleic acid (18 ; 2). The sweet aroma of dried Cordyceps militaris was mostly due to pryazines, dithaiazines, and furans. Two dithaizines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flavor components was a roasted bacon flavor. Strong antibacterial acitivity was observed toward Vibrio spp. such as V. vulnificus, V.cholerae, V. parahaemlyticus. Relatively high antibacterial acitivity was shown toward Bacillus subtilis , B,cereus, Staphyllococcus aureus, and Corynebacterium xerosis.

  • PDF

유아용 목재완구의 특성분석 (Characteristic of Wooden Toy for Infants)

  • 조숙경;노은호;양승희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7-325
    • /
    • 2009
  • On the ground of that toy as for infants is an important tool for education as well as play and furthermore it has a great influences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oriented toys made of wood,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Object of the study includes the infants aged 2 to 7, and the wooden toy not only in domestic also international cases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rom the point of function and design in particular, and the infant-oriented wooden toy is finally characterized. The wooden toys are classified in 5 items according to functions. There are toy helping a physical development like small muscles, toy improving the creativity, toy assisting language learning like Korean & English, toy contributing to number understanding and counting, and toy for imitation of social rol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en toy are that the natural color & grain of wood are shown first, and also the natural texture & aroma of wood are felt secondly, and geometric design and shape are often presented thirdly, and recycling is available fourthly, and it is expensive finally. In order to revitalize the wooden toys lagging behind the cheap and diverse toys made of plastic, it is highly needed that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friendly painting, unique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enterprises and use of domestic wood material.

  • PDF

설렁탕 육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인자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Attribut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ollengtang)

  • 홍상필;이남혁;김영호;정보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2-709
    • /
    • 2012
  • Seolleongtang, a traditional broth in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 hot global item for its unique flavor and healthiness.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attribut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for the popular seolleongtang stock products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sensory evaluation and analysis of salt, soluble solid, protein, viscosity and color for the quality control. Our results indicate that color, concentration, viscosity, and freshness are important attributes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seolleongtang stoc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 and sensory attributes among the stock produc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lavor and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as well as beany odor and aroma. Preference and physicochemical aspects also correlated, and indicate that a range of salt, solubility, and viscosity are applicable as quality control factors in seollengtang stock.

Effect of essential oils and linalool on berry quality during simulated marketing of 'Shine Muscat' grapes

  • Yu-Rim Kim;Hyeong-Seok Lee;Young-Jik Ahn;Jinwook Lee;Jong-Pil Ch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973-981
    • /
    • 2022
  • 'Shine Muscat' (Vitis labruscana Bailey x Vitis vinifera L.) grapes recently have been greatly favored in Korea, and as of 2022, account for 38.6% of the total grape market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ost-harvest quality control appropriat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hine Muscat'. In order to continuously increase domestic demand and exports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proper postharvest techniques. Essential oils have remarkable potential as biologically a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ntiseptics for the fruit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and aroma constituent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of 'Shine Muscat' grapes in order to extend fruit quality during a simulated export period. A cluster of 'Shine Muscat' grapes was placed in a newly developed paper box container, and treated with rosemary essential oil, thyme essential oil, and linalool, along with an untreated control.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fruit quality indices, such as cluster weight loss, berry firmness, soluble solids content, titratable acidity, sugar acid ratio, and color change, bu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alleviation of berry shatter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In addition, rosemary oil treatment reduced the proportion of unhealthy berries.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ly developed packaging container along with certain essential oil treatment could be applied as a promising packaging material for table grape export.

파래분말 첨가 설기떡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ulgidduk with Green Laver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숙;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4-6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manufacturing conditions adding green laver, which has a rich aroma and unique taste, to Sulgidduk. The variables in green laver Sulgidduk production were amounts of green laver powder and water. Six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used for sensory evaluations, including color, green laver flavor, green laver taste, moistness, softness, and elasticity. The optimal amounts of the powder and water were found to be 6.84 g for green laver powder and 31.08 g for water, satisfying a target sensory score (7.0/9.0) according to a response surface method. Sulgidduk with these optimal amounts of green laver and water was tasted by 118 consumers and showed a high acceptability score (6.94). Older consumers ($\geq$30 years old) preferred the color and flavor of green laver significantly more than younger consumers ($\leq$29 years old) did (p<0.01). Color analysis results of green laver Sulgiddu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r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from those of Sulgidduk (control)(p<0.01). Texture analysis scores of green laver Sulgidduk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Sulgidduk (control) in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hesiveness and chewiness (p<0.05).

A Method for Making Kimchi Containing Snow Crab in a COVID-19 Environment

  • CHOI, Eun-Mee;KWON, Lee-Se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9-22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imchi recipe for immunity enhancement using snow crab, which has high food value in the era of COVID-19.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now crab kimchi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study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kimchi seasoning containing snow crab seasoning and chitosan powder. Kimchi seasoning is made by adding 5 parts by weight of crab seasoning and 1 part by weight of chitosan powde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asic kimchi seasoning prepared by mixing radish, minced garlic, minced ginger, onion juice, anchovy sauce, red pepper powder and glutinous rice paste. Results: It was possible to develop new flavors, possibilities and characteristics of snow crab kimchi by extending the health and functional effects, taste, and preservation period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unique manufacturing method, taste and function of kimchi, including snow crab. Conclusions: Snow crab kimchi was excellent in taste and aroma while enhancing the health functions of the body, such as improving people's immunity. The developed snow crab kimchi manufacturing method can not only improve people's health, but also expand the choice of preference for kimchi taste and shelf life.

참깨의 수입 형태에 따른 참기름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same oil obtained from imported sesame (Sesamum indicum))

  • 최지영;배수인;김지윤;김정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9-3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통참깨로 제조된 참기름과 수입산 참깨분으로 제조된 참기름, 참깨분과 통참깨를 혼합하여 제조한 참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수입 원료 차이에 따른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색도 분석 결과, 통참깨 참기름인 WS1가 $L^*$ value와 $b^*$ value가 가장 낮았으며, browning index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반면, 다른 통참깨 참기름인 WS2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참기름의 redness는 산가가 높을수록,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산패도 분석 결과, 과산화물가는 시료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산가는 수입산 원료에 따른 경향성은 없었으나, 상관관계 분석 시, 포화지방산함량이 높을수록 낮은 산가를 보였다. 항산화능 분석 결과, 참깨분 참기름의 TPC와 TFC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관능 평가를 실시했을 시, 전반적 기호도는 참깨분 참기름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분석 인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능 평가의 전반적 기호도 항목 점수가 향 점수와 가장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참깨분 참기름이 특유의 고소한 향이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수입산 참깨분 참기름은 특유의 향과 항산화능이 부족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색이나 산패도, 지방산 함량 등에는 통참깨 참기름과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참깨분 참기름의 향기 성분에 대한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야산 재배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Codonopsis lanceolata cultivated on a wild hill)

  • 김준호;최무영;오혜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774-782
    • /
    • 2006
  • 갓 채취한 야산재배 더덕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ead space sampling 방법으로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한 결과 terpene 및 terpene alcohol류 28종, hydrocarbon류 34종, alcohol류 31종, aldehyde 및 ketone류 13종, ester류 25종, acid류 6종, ether류 10종 등 총 167 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확인하였다. 크로마토그램 상에서 차지하는 면적 비율이 큰 10대 주요 휘발성 성분은 dl-limonene(10.2%), ${\alpha}$-guaiene(9.0%), 2,2,6-trimethyl-octane(8.6%), hexadecane(8.0%), isolongifolan-8-ol(4.2%), 2,4,4-trimethyl-1,3-pentanediol diisobutyrate(4.1%), ${\beta}$-selinene(3.9%), 2,2,3-trimethylnonane(3.6%), 3-methyl-5-propyl-nonane(3.1%), 및 ledene(3.1%) 등으로 주로 20분 이내와 40${\sim}$60분 범위에서 나타났으며, 전체의 58%를 차지하였다. 식품의 향기는 기계적 분석 결과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우므로 전문 조향사들의 도움을 받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신선 더덕의 향기 특성으로 풋냄새, 흙냄새, 우유발효 냄새 및 장뇌냄새 등이 묘사되었다. 이러한 향기 특성을 GC/MS에서 확인된 20대 주요 휘발성 성분들과 관련시켜 보면, dl-limonene은 풋냄새 성분이며, ${\alpha}$-guaiene과 isolongifolan-8-ol은 흙냄새를, 우유발효취를 내는 성분들에는 2,2,6-trimethyloctane, hexadecane, 3-methyl-5-propylnonane, 2,2,3-trimethylnonane 등이 속하였다. 이 외에 과일향을 내는 2,4,4-trimethyl-1,3-pentanediol diisobutyrate와 쓴냄새 성분인 ${\beta}$-selinene, ledene, isoledene, ${\delta}$-cadinene 및 나무 냄새를 갖는 ${\alpha}$-humulene, dihydro-${\beta}$-agarofuran 등도 식품의 향기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다. 이에 반해 풋냄새와 관련 있는 성분들 즉, 1-hexanol, 2-methylhexan-3-ol, 3-hexen-1-ol, cis-3-hexenyl butyrate, ethylhexanol, hexyl acetate, trans-2-hexen-1-ol이나 camphor, longiborneol, menthol 등 장뇌냄새의 원인 물질은 함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은데도 불구하고 전문조향사들은 신선 더덕의 특징적인 향기로 풋냄새와 장뇌취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유통업자를 중심으로 향기 특성 및 강도를 판정할 수 있는 훈련이이루어진다면 향기는 더덕의 신선도를 판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백합나무 판재의 VOCs 및 Aldehydes 방출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Aldehydes Emission from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

  • 이민;박상범;이상민;손동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7-366
    • /
    • 2014
  • 백합나무 판재를 벽판재로 이용하기 위해 백합나무의 생재와 건조재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알데히드류 방출 특성을 검토하였다. VOCs 및 formaldehyde를 포함한 aldehyde류의 방출량 측정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 공시된 20 ${\ell}$ Chamber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백합나무의 생재 및 건조재에서는 30여 가지 이상의 VOCs가 검출되었다. 백합나무의 Total VOC 구성 비율 가운데 천연VOC (NVOC)의 비율은 11.1%로 다른 침엽수종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다. 백합나무의 aldehyde류 분석 결과, 심재 및 변재에서 같은 3종(acetaldehyde, ketone, propionaldehyde)이 검출되었으며, formaldehyde의 방출량은 $4.01{\mu}g/m^3$ 이하로 나타났다. m-Tolualdehyde의 경우 백합나무 건조재의 심재에서만 $33.6{\mu}g/m^3$의 방출량을 보였으며, 심재와 변재 모두 ketone의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백합나무 특유의 역한 냄새는 acetaldehyde와 propionaldehyde와 기타 VOCs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건조한 백합나무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ketone의 방출량이 증가하였다.

우유 첨가에 따른 증편의 품질 선택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Milk)

  • 장정선;박영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1-321
    • /
    • 2008
  • 본 연구는 증편의 활용도를 높이고 영양적인 측면에서 증편의 부족한 단백질을 보완하기 위하여 우유를 0, 5, 10, 15, 20 g 첨가하여 제조한 반죽 및 증편의 발효 과정에 따른 기 계적 특성, 관능적 특성을 검사하고 SEM을 사용하여 증편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도 측정에 있어서 L값은 우유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여 20 g 첨가군이 65.4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a값 역시 우유 20 g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b값은 우유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 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p<.001). 2. 우유 10, 15 g을 첨가군에 있어서 발효 8시간의 점도는 각각 5,726.67 cp, 6,600 cp로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우유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으로 높았다(p<.00 1). 3. 경도는 첨가군에 있어서는 첩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군과 첨가군간의 유의 차가 없었으며, 검성과 부서짐성은 우유 5, 10 g 첨가군이 낮게 나타났다. 4. 우유를 첨가한 증편의 부피범위는 $236.67{\sim}255.00\;mL$이며, 대조군이 208.33 mL로 가장 낮았으며, 우유 첨가 10 g (255.00 mL)을 기점으로 감소하였다. 비체적의 경우도 부피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팽화도는 우유 $5{\sim}20\;g(128.28{\sim}133.12%)$ 첨가군이 대조군(122.65%)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5. 관능검사 결과, 증편의 기공은 우유의 첨가량이 많아질 수록 크기가 작아지고 불균일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20 g 첨가군이 가장 낮은 수치이었다. 증편 특유의 탁주향은 우유 첨가량이 많아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1) 20 g 첨 가군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신맛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져 15, 20 g 첨가군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부드러움에 있어서는 우유 무첨가군 시료가 첨가군 시료보다 다소 부드 럽다고 평가되었으며, 첨가군에서는 15, 20 g 첨가한 것이 동일하게 부드렵다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인 바람직성에 있어서는 대조군, 우유 5, 10 g을 첨가한 군이 선호도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색이 흴수록, 단맛이 강하고 쫄깃할수록 더 선호했으며 신맛이 강할수록 전체적인 기호도는 좋지 않았다. 또한, 부드러우며 찰기가 클수록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았다. 관능 특성치들간에는 졸깃할수록 탄력성이 크 고 촉촉하며, 부드러울수록 씹힘성이 좋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7. 전반적으로 우유 첨가량이 적은 것이 기공의 크기가 크고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기공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5 g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기공이 커졌으며, 15, 20 g 첨가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기공이 작아지고 불균일하였다. 전체적으로 우유 10 g 첨가 증편의 기공 크기와 균일한 정도가 잘 발달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기계적 특성과 내부 구조를 관찰함에 있어서 우유 10 g을 첨가한 증편의 경우가 경도, 기공의 균일함 등이 가장 바람직하게 평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대조군과 우유 5, 10 g 첨가 증편의 기호도가 일치하였으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볼 때 우유 10 g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우유의 첨가로 인하여 단백질 보완 효과도 있는 것으로 확인 되어 기능성 증편 제조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