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Intramuscular Hemangioma Misdiagnosed as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A Case Report

  • Lee, So-Youn;Byun, Jin-Seok;Jung, Jae-Kwang;Choi, Jae-Kap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1권1호
    • /
    • pp.26-29
    • /
    • 2016
  • Intramuscular hemangioma is a rare type of hemangiomas and sometimes overlooked by orofacial pain specialist who encountered various types of masticatory muscle problems. A 42-year-old male, presented with feeling of unilateral hypertrophy on left mandibular area, is finally diagnosed as hemangioma with thrombus by excisional biopsy. However, he was initially treated by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A due to misdiagnosis as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In the present report, we remind the importance of careful examination and diagnostic images to orofacial pain clinicians in early detection of intramuscular hemangioma of masticatory muscles.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모의 변화 (The Change of Facial Contouring after Unilateral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in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Patients)

  • 차유림;김영건;김지현;심영주;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47-251
    • /
    • 2011
  • 교근비대 환자들은 그들의 각진 턱을 심미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교근 두께를 줄이기를 희망한다. 과거엔 수술적인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만 최근 양측으로 주사하는 보톡스 시술이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기에 그 대안으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양측성 교근비대에서 양측에 동량을 주사하는 방법과 달리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편측으로만 주입 후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안모의 부피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술전에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 10명의 하안모 부피를 측정한 후, 편측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25U이 주사되었다. 주사 4주, 8주, 12주 후 같은 방법으로 하안모의 부피를 측정한 뒤 술전의 삼차원 사진과 중첩하여 변화된 부피를 측정하였다. 주사한 쪽의 부피는 술전에 비해 보툴리눔 독소 주사 4주, 8주, 12주 후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주사안한 쪽의 부피는 특기할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주사한 쪽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근육성 비대칭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심미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편측성 교근증대증 치험 이예 (UNILATERAL MASSETER MUSCLE HYPERTROPHY REPORT OF CASES)

  • 이충국;이중익;강희남;신효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5-208
    • /
    • 1977
  • The etiology of masseteric hypertrophy is obscure. When the hypertrophy occurs unilaterally it's appearance is more striking because of the resultant facial asymmetry. Two soldiers were admitted with the complaint of a lump on their jaws. The authors obtained good results on the esthetic & functional aspect in two cases of unilateral masseteric hypertrophy with the Adam's method. The etiology was thought to be the combination of unilateral masticatory and jaw clenching habits when emotionally disturbed or under nervous tension in army services.

  • PDF

교근비대증의 외과적 치료 : 증례보고 (SURGICAL CORRECTION OF MASSETER MUSCLE HYPERTROPHY : REPORT OF THREE CASES)

  • 김수민;여환호;김수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215-219
    • /
    • 1999
  • This article discusses the diagnosis, anatomic consideration, and surgical management of masseter muscle hypertrophy. Surgical correction is advised for patients who have esthetic complaints. Esthetic improvement can be achieved by surgery and not by conservative treatment. Recently, the intraoral method, which leaves no scar on the face and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injury to the marginal branch of the facial nerve, has been supported by many surgeons. Patients who complained of marked swelling of unilateral or bilateral mandibular angle area and showed abnormal bony growth at the mandibular angle area and enlarged masseter muscle received mandibular angle shaving and excision of the inner layer of masseter muscle with intraoral approach. After operation, physiotherapy was done with EAST(eletrical 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for encouraging the mouth opening and reducing the swelling. They showed early maximum mouth opening and reduction of swelling.

  • PDF

특발성 편측 교근비대증;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IDOPATHIC UNILATERAL MASSETER MUSCLE HYPERTROPHY;CASE REPORT & REVIEW OF LITERATURE)

  • 이정구;한명수;김상봉;김학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74-80
    • /
    • 1989
  • 교근의 편측성 혹은 양측성 비후로 정의되는 이 질환은 원인은 분명치 않으나, 아마도 선천적이고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비정상으로 알려져 있고 이외에도 교합과의 관련성, 심리학적 분석등의 관련성도 논의되어 졌다. 감별시는 부위적 특성으로 이하선 질환과의 구별이 요하나 임상적 및 방사선 검사에서 어렵지 않게 진단이 가능하며 치료로는 심미적인 문제로 인해 외과적인 절제가 최선의 치료이고 외과적 절제시에는 하악지의 형태에 대한 평가와 비후된 교근의 부위에 따른 적절한 수술법 선택이 요하며, 아직까지 재발에 관한 보고는 없으나 관찰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