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mine environmen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맹갱도 굴진 작업공간내 방재팬의 화재연 배기효율에 관한 현장실험 및 CFD 연구 (Experimental and CFD Study on the Exhaust Efficiency of a Smoke Control Fan in Blind Entry Development Sites)

  • 응우엔반득;김두영;허원호;이창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1호
    • /
    • pp.38-58
    • /
    • 2018
  • 갱내환기는 지하광산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갱내환기는 정상시에는 작업공간내 유해물질의 희석을 위한 충분한 량의 급기를 통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목적이나 갱내화재와 같은 비상시에는 화재의 확산제어와 구조활동의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공간 국부환기 뿐만 아니라 화재연 제어를 위한 방재팬을 개발하였다. 방재팬은 풍관없이 가동되며 작업공간내 유해물질의 희석 및 배기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동시에 화재시 화재연 배기를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개발된 방재팬과 기존 국부팬의 연결 운전을 통한 화재연의 배기효율 연구가 목적이다. 일련의 현장 실험 및 CFD분석을 통하여 맹갱도 작업공간내 방재팬의 화재연 배기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SF6 추적가스를 이용한 공간내 기류 및 유해물질 유동을 검토하였다. 대단면 석회석 광산에서 수행한 현장실험과 CFD분석 결과를 비교한 결과, 갱내에서 가장 리스크가 큰 맹갱도 굴진 작업장에서 기존 국부팬 1대와 조합 운전하는 경우, 팬의 설치 위치 및 운전모드의 적절한 선택시에 효율적인 화재연 배기가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CFD분석을 통하여 벤츄리효과에 의한 배기효율도 확인할 수 있었다. 팬 설치 위치 및 운전모드가 배기효율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보였다.

토폴로지 유형에 따른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Routing Protocols depending on the Types of Topology in MANET)

  • 김명관;황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34-942
    • /
    • 2005
  • MANET 라우팅 프로토콜들은 각각의 특정한 상황에서 장, 단점을 가지고 있다. 모든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프로토콜은 명확하지 않고, 노드들의 트래픽과 이동 특성에 따라 적합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선택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의 주된 내용은 대한석탄공사 작업현장에 MANET을 구축할 때 적합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선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드들의 이동 특성을 반영한 채탄, 보갱과 같은 작업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채탄과 보갱의 토폴로지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따른 MANET 라우팅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성능 분석 결과는 대한석탄공사의 다른 광업소는 물론 지하 터널 환경에서 MANET 라우팅 프로토콜을 선택할 때 기준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디젤입자 채취를 위한 방법의 비교 (Occupational Exposure Monitoring for Diesel Particulate Matter Using Two Sampling Methods)

  • 이수길;게닉젠크비치;이내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9-14
    • /
    • 2020
  •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ampling efficiencies for monitoring of diesel particulate matter (DPM) using two different sampling methods; In-House PVC cyclone sampling heads and commercial airborne DPM (EC) sampling heads mounted on Dorr-Oliver cyclone heads. Personal exposure levels of DPM, analysed for elemental carbon (EC) were 0.004 - 0.2 mg/m3 for the loader drivers and 0.005 - 0.34 mg/m3 for the specialised mining vehicle (SMV) driver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y results. The highest result (0.34 mg/m3) might be from an irregular production schedule and multiple job tasks requested. The results using the two sampling hea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it is thought that the In-House PVC cyclone with 37 mm quartz filter could be used in place of the commercial sampler as a preliminary screen in place of using the commercial sampler.

국내 석회석 광산 수갱 굴착에 의한 통기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Ventilation Effects of the Shaft Development at a Local Limestone Mine)

  • 이창우;응우엔 반득;키로 록키 키부야;김창오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8권6호
    • /
    • pp.609-619
    • /
    • 2018
  • 주선풍기가 설치된 통기수갱이 굴착된 국내 석회석 광산에서 수행한 통기수갱의 통기효과 분석결과 자연통기 및 기계통기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갱을 통하여 입기되는 자연통기량은 최대 $11.7m^3/s$이었으며 갱내 공기온도의 측정에 의하여 비교적 정확한 정량적 예측이 가능하였다. 선풍기 가동에 의한 배기 통기량은 $20.3{\sim}24.8m^3/s$로 통기량의 변동은 갱도내 장비의 이동에 의한 통기특성곡선의 상향이동에 따른 선풍기 운전점의 변화에 의한 결과이므로 통기저항의 저감 노력이 요구된다. 갱구로부터 수갱까지 총 1912 m 갱도내 난류확산계수는 $15m^2/s$, $18m^2/s$로 나타나 오염물질은 기류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확산되므로 공기질 제어를 위하여 신속한 배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통기용 수갱은 급격히 심부화 및 대형화되고 있는 국내석회석광산의 지속적 개발을 위한 필수적 갱내 환경제어 시설로 권장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단면 갱내 국부 선풍기의 벤츄리(Venturi) 효과 연구 (Venturi Effects Induced by the Local Ventilation Fan in Large-Opening Room-and-Pillar Mining Sites)

  • 이창우;웅웬반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6호
    • /
    • pp.464-472
    • /
    • 2014
  • 환기제어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모든 공간을 개방한 형태의 대단면 주방식 채굴 작업장에 설치하는 국부선풍기의 운전에 따른 기류유동형태는 재순환을 포함하고 있어 복잡하고 정량화가 어렵고 환기효율 또한 매우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부선풍기의 운전에 따라 하류편의 기류 운동에너지 증가 및 정압강하 현상인 벤츄리(venturi) 효과로 인접갱도로부터 기류가 유입되어 기류 유동방향으로 환기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선풍기 종류 및 설치방법 별로 CFD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선풍기는 축류선풍기 1종류 및 프로펠러 선풍기 2종류이며 축류선풍기 중심점 설치 위치를 1.0, 1.5, 2.0m로 변경함에 따른 벤츄리 효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공기질 개선을 통한 작업환경 관리를 위한 국부 환기의 경제성 및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동광산 금스카른광상의 지구화학적 연구 (A Geochemical Study of Gold Skarn Deposits at the Sangdong Mine, Korea)

  • 이부경;전용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4호
    • /
    • pp.277-2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persion pattern of gold during skarnization and genesis of gold mineralization in the Sangdong skarn deposits. The Sangdong scheelite orebodies are embedded in the Cambrian Pungchon Limestone and limestone interbedded in the Myobong Slate of the Cambrian age. The tungsten deposits are classified as the Hangingwall Orebody, the Main Orebody and the Footwall Orebody as their stratigraphic locations. Recently, the Sangdong granite of the Cretaceous age (85 Ma) were found by underground exploratory drillings below the orebodies. In geochemisty, the W, Mo, Bi and F concentrations in the granit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retaceous granitoids in southern Korea. Highest gold contents are associated with quartz-hornblende skarn in the Main Orebody and pyroxene-hornblende skarn in the Hangingwall Orebody. Also Au contents are closely related to Bi contents. This could be inferred that Au skarns formed from solutions under reduced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70^{\circ}C$.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variation of Au contents in the Main Orebody can be explained (87.5%) by Ag, As, Bi, Sb, Pb, Cu. Judging from the mineralogical, chemical and isotope studies, the genetic model of the deposi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The primitive Sangdong magma was enriched in W, Mo, Au, Bi and volatiles (metal-carriers such as $H_2O$, $CO_2$ and F). During the upward movement of hydrothermal ore solution, the temperature was decreased, and W deposits were formed at limestone (in the Myobong Slate and Pungchon Limestone). In addition, meteoric water influx gave rise to the retrogressive alterations and maximum solubility of gold, and consequently higher grade of Au mineralization was deposited.

  • PDF

3차원 절대내공변위를 이용한 터널 막장전방의 지반면화 예측기법 (Prediction of Ground-Condition Ahead of the Tunnel Face by Using 3-Dimensional Absolute Displacements)

  • 이인모;강기돈;박광준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4호
    • /
    • pp.17-32
    • /
    • 1998
  • 최근 수도권의 인구집중 및 경제발전의 가속화에 따른 지상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지하공간에 대한 설계와 시공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지하공동 형성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공기술 및 연구가 많은 발전을 이루어 왔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터널의 시공시 굴진에 따라 지반의 강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3차원 절대내공변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여 막장 전방의 불연속면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연구되었다. 따라서 3차원 계측으로 얻어진 절대내공변위의 분석을 통해 지반변화를 예측, 설계수정 및 변경을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터널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하공간 시공시 하중전이 효과(Arching effect)로 인한 응력의 재배치를 고려하여, 3 차원 연속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지하 공동이 존재할 경우에 대한 3차원 절대내공 변위의 양상을 파악하여 그 존재 및 위치를 예측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파쇄대 및 연약대가 존재하는 경우의 해석을 통하여 공동으로 인한 3차원 절대내공 변위 경향과의 차이를 규명하여 공동 및 파쇄대, 연약대를 가려냄으로써 각 경우의 적절한 지보선정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 지하공 간 개발시 보다 진보적인 정보화 시공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있어 근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열적외선영상을 이용한 동결된 암석의 파괴특성 연구 (Investigation of Frozen Rock Failure using Thermal Infrared Image)

  • 박지환;박형동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2호
    • /
    • pp.144-154
    • /
    • 2015
  • 암석시료에 응력이 가해질 경우 역학적 에너지가 대상 물체에 누적되고, 대상 암석에 한계응력 이상이 가해질 경우 시료의 파괴가 발생한다. 이 때 시료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역학적 에너지는 물리적 변형뿐만 아니라 빛, 열, 소리 등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발산된다. 본 연구에서는 $-10^{\circ}C$ 저온 환경에서 섬록암, 현무암, 응회암을 대상으로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점하중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이때 발생하는 온도 변화를 열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해 측정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파괴 직전 파괴면에 응력이 집중되어 온도가 상승하였고, 파괴 순간 축적된 에너지가 열에너지의 형태로 방출되며 파괴면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것이 감지되었다. 강도가 높고 신선한 섬록암과 현무암 시료의 온도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고 풍화된 암석인 응회암 시료의 온도 상승폭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저온지역에 위치한 암반사면, 터널, 광산 내부의 응력 집중지점을 감지해 향후 발생 가능한 재해를 예방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지진예측을 위한 위성영상 분석에도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