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aduate thes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 Part 3 졸업논문 (The Study of Assessment Tool as an Outcomes Achievement : Part 3 Undergraduate Thesis)

  • 김명랑;김동환;정진택;김복기;윤우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97-108
    • /
    • 2007
  •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도구로서의 졸업논문은 4년 동안 습득한 공학의 기초지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과 논문 작성을 통하여 공학적인 논리와 사고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졸업논문의 평가방법으로서의 우수성을 공학교육의 프로그램학습성과 성취도 평가에 이용하려면, 본 기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교육 실정과 프로그램공학 교육의 특징을 살펴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학습성과의 평가도구로서의 졸업논문의 특징과 함께 갖추어야할 성질 및 학습성과 평가를 실제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과 구체적인 루브릭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졸업논문을 이용하여 공학프로그램에서 공학인증기준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온라인 마케팅 태도분석 (Online Marketing Attitude Analysis.)

  • 김세환
    • 산업융합연구
    • /
    • 제9권1호
    • /
    • pp.33-66
    • /
    • 2011
  • As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arrived. an internet market has been developed steadily. This advance of internet market made the augmentation of purchasing clothes, and thus the fashion trade has tried to use effectively the internet marketing as a new channel of profit increasement. However, the fashion trade did not utilize efficiently an internet as a marketing mediation so far. This results from the want of coping with consumer behavior on the internet community. To answer the necessity of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this thesis inquires the difference of buying clothes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consumer. Then this thesis provides the strategy of internet marketing fitted to each lifestyle for making a good profit. The inquiry was conducted to university located on Seoul, and the lifestyle of undergraduate was categorized to five groups, that is, trendy, information-inclined, economical purchase, brand-inclined, and spirit-pursuit types. This thesis analyzed the difference of consumer behavior of each type according to various factor, and presented a marketing strategy fitted to each type from these analysis results.

  • PDF

공학인증에 대비한 학부 GIS 교과과정 분석 (Analysis of the undergraduate GIS course for Accreditation)

  • 고준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45-157
    • /
    • 2009
  • 급속하게 발전하는 GIS분야의 사회적 수요와 대학교육간의 괴리를 해소하고 관련 분야의 미래지향적 인재를 양성하고, 공학인증제의 도입에 따른 GIS분야의 대응방안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서울시립대학교를 비롯한 국내외 학부과정의 GIS교과과정을 분석하였다. GIS분야의 공학인증 도입의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공학인증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해외의 GIS관련 인증사례 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해외 선진국에서 제시한 GIS분야의 핵심교과과정과 지식체계(Body of Knowledge)의 분석을 통하여 공간정보 표준교과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으로 측량 및 GIS관련학회를 중심으로 한 산학협력 포럼이나 협의체의 구성과 논의가 필요하다.

  • PDF

사용자 보안을 강화한 다중 계정 서비스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 공학 교육 실천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Multi-account Service Composition with Enhanced User Security)

  • 강경보;박재순;장은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18
  •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관리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OTP(One Time Password)를 이용한 이중 보안 시스템을 제안 하고, NFC의 1m 미만의 범위 내에서 인식하는 특징과 NFC 자체의 높은 보안성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단계를 강화한 결과물은 4년제 학부체계의 전자공학 전공에서 2인 1조로 1년 6개월 동안 진행한 졸업작품 설계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본 학회의 학술대회를 포함하여 국내 전문학회 학술발표대회 및 논문경진 대회에 3회 참가하여, 중간 결과들을 발표하였고, 지도교수가 포함된 6인의 전공교수들에 의한 3차 심사단계를 거쳐 졸업 작품으로 합격하였다. 합격된 사항은 발표논문 체계로 구성하여 합격한 다른 인원들과 함께 졸업 논문집을 발간하였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얻어진 설계 및 제작의 경험을 통해, 자신감을 얻고 취업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성장의 단계를 갖는 계기가 되었으며, 취업을 통해 공학교육을 실천하는 하나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한국간호의 현재 (Present Situation of Korean Nursing)

  • 최의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0-199
    • /
    • 2004
  • This thesis explores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n nursing by investigating its present situations. Ultimately, the intent of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uture direction of Korean Nursing. As such, the current conditions of Korean nursing is analyz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education, practice, research, nursing policy, expansion of nursing field, and entrepreneurship. In the final conclusion, an appropriate orientation of the future of Korean nursing is discussed. There are two primary Nursing programs, a three-year(63) and a four-year(53), in Korean Nursing education. Master's programs are available at 32 nursing schools or 32 professional graduate schools. A total of 15 nursing schools have a doctoral program in Korea. The ratio of graduates between the three-year and four year programs is 76:24. Hence, it is highly encouraged to expand four-year nursing programs, because it will help raise the social status of nursing professionals as well as the quality of nursing. In the clinical nursing field, independency and self regulation are critical. As such, organizational change, implementation of a standardized nursing m information system, appropriate workforce, and improvement of the reimbursement system in nursing is recommended. In community nursing, the following should be resolved to provide better nursing services: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benefits, establishment of a law enforcing the hiring of nurses, and providing continuing education. The number of nursing research has increased and nursing studies are in great quantity. However, research in practices and theories are more in demanded. Hence, research that integrates theories and practices are very significant. Ultimately, it is critical to support nursing studies that will influence nursing policy.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KNA) is an organization that supervises the nation's nursing policy. The primary focus of KNA is to combine the three and four year undergraduate education systems into 4 years and to establish the Nursing Practice Ac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adapted a system to educate and certify nurse specialists in 10 nursing areas in 21 nursing graduate schools expecting high-quality nursing services and a decrease of cost. The government also allowed nurses to operate facilities for health management or welfare agencies.

  • PDF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한 성격검사문항의 의미표상과 요인구조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Factor Structure and Semantic Representation of Personality Test Items Using Latent Semantic Analysis)

  • 박성준;박희영;김청택
    • 인지과학
    • /
    • 제30권3호
    • /
    • pp.133-156
    • /
    • 2019
  • 본 연구는 수검자가 검사 문항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탐구하였다. 잠재의미분석을 활용하여 성격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를 나타내는 의미유사도 행렬을 제안하였고, 이를 기존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에서 대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제한된 맥락에서 성격의 5요인을 각각 묘사하는 지문을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차원의 축소하여 의미공간을 구성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간편형 한국어 BFI의 요인부하량 행렬과, 예비 연구에서 구성한 의미공간에서 생성한 의미유사도 행렬을 비교하여, 두 행렬이 높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 2에서는 의미유사도를 기반으로 성격검사문항을 생성하고, 수검자의 반응을 수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도출하여 두 행렬이 유사함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성격검사에 대한 수검자의 반응 없이 검사문항의 의미표상을 분석하여 구성타당도를 추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성격검사의 요인구조를 검사문항과 성격요인의 의미표상 간 유사도로 해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격검사 개발에 실용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