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burned area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비산회로부터 회수한 미연탄소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nburned Carbon from Fly Ash)

  • 안양규;양정일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7권1호
    • /
    • pp.14-19
    • /
    • 1998
  • 비산회에 함유된 잔류 혹은 미연소된 탄소분을 회수하고, 이 미연탄소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연탄소분이 농축된 시료는 비산회를 정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선법을 사용하여 얻었다. 얻은 미연탄소분 시료가 함유하는 탄소분의 총량과 공업 분석을 하였다. 회수된 탄소분에 잔류된 회의 양과 화학조성도 분석하였다. 이외에 탄소분의 크기 분포, 표면적, 기공의 크기, 결정 구조 및 밀도 등과 같은 물성을 측정하였다.

  • PDF

산불 후 산림식생 및 토양환경의 변화 (The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al after Forest Fire)

  • 오기철;김종갑;정원옥;민재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9-29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covery of forest ecosystem at the burned areas of coniferous (Mt. Chosdae) and broad leaved forest (Samsinbong in Mt. Chiri)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Samsinbong,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ppeared at the burned area were 5 species at tree layer, 11 species at sub-tree layer and 24 species at herb layer, and at the unburned area were 5 species at tree layer, 14 species at sub-tree layer, 18 species at shrub layer and 23 species at herb layer, respectively. In the Mt. Chosdae, the total number of species appeared at the burned area only showed to 83 species at herb layer, and at the unburned area were 7 species at tree layer, 13 species at sub-tree layer, 21 species at shrub layer and 46 species at herb layer, respectively. 2.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Samsinbong, pH was 5.8,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Exchange $Ca^{{+}{+}}$ and Exchange $Mg^{{+}{+}}$ were 7.42%, 0.73%, 28.5mg/kg, 1.3me/100g, 13.3me/100g and 2.2me/100g, respectively. But the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passing the time. I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the burned area of Mt. Chosdae, pH was 5.3, and contents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Exchangeable $K^+$, Exchange $Ca^{{+}{+}}$ and Exchange $Mg^{{+}{+}}$ were 6.42%, 0.25%, 24.4mg/kg, 0.7me/100g, 3.7me/100g and 2.1me/100g, respectively, and they also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by passing the time. 3. A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Samsinbong, the total evolved amounts of soil respiration were $4,049.1mg/m^2/h$ and $9,950.0mg/m^2/h$, respectively. A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Chosdae, the total evolved amounts of soil respiration were $4,392.4mg/m^2/h$ and $8,286.5mg/m^2/h$, respectively.

  • PDF

산불피해 후 경과년도가 다른 지역에서 설치류 개체군의 특성 차이 (Differences in Rodent Populations Among Forest Fired Areas Caused by Different Fire Damaged Year)

  • 이은재;이주영;손승훈;김민진;박성진;이우신;임신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91-295
    • /
    • 2008
  • 산불피해 후 경과년도에 따른 설치류 개체군 특성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강원도 삼척과 양양의 미피해지역 및 2000년도와 1980년도 산불피해지역에서 각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흰넓적다리붉은쥐, 대륙밭쥐 그리고 다람쥐 등 총 3종이 포획되었으며, 전체 포획밀도는 2000년도 산불피해지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흰넓적다리붉은쥐와 대륙밭쥐의 포획밀도는 산불 미피해지역보다 피해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다람쥐의 포획밀도는 산불 미피해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역간 설치류의 체중을 비교한 결과 2000년도 산불피해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산불미피해지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층식생의 피도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금오산(金烏山)의 산화지(山火地)에서 벌목지(伐木地)와 비벌목지(非伐木地)의 식물(植物) 군집구조(群集構造) 비교(比較) (Comparison of Plant Community Structures in Cut and Uncut Areas at Burned Area of Mt. Gumo-san)

  • 제상훈;김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509-520
    • /
    • 1997
  • 1994년 4월에 산불이 일어나서, 소나무림과 임상식생이 완전히 전소된 경북 김천시 부상면 금오산(976m)의 일부 지점으로 사면방위가 S10W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을 벌목지와 비벌목지로 구분, 인접한 소나무림을 대조구로 선정하여, 산불이 일어난 후 1년째인 1995년 4월부터 1996년 10월에 걸쳐 식생구조, 종다양성지수, 우점도지수, 균등성지수, 천이도 및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에 출현한 식물은 벌목지가 32종, 비벌목지가 36종, 비산화자가 34종으로 나타났으며, 출현된 식물의 생활형은 벌목지 $H(G)-D_1-R_5-e$ 비벌목지가 $H(M)-D_1-R_5-e$, 비산화지가 $M(N)-D_1-R_5-e$ 형으로 나타났다. 적산우점도는 산화지, 비산화지의 출현한 식물의 층상구조로 볼 때, 산화지 중 벌목지는 초본층만 출현하여, 억새(100.00), 산거울(52.27), 졸참나무(51.19), 큰까치수영(39.40)순이었고, 비벌목지의 교목층은 상수리나무(56.91), 소나무(26.83), 관목층은 졸참나무(50.43), 감태나무(40.51), 싸리(37.85), 초본층은 억새(72.27), 고사리(69.02), 산거울(63.63)순이고, 비산화지의 경우 교목층은 소나무(99.88), 감태나무(21.07), 관목층은 졸참나무(77.47), 소나무(60.03), 청미래덩굴(56.19), 초본층은 억새(82.74), 산거울(74.02), 졸참나무(49.43)순으로 나다났다. 종다양성지수는 벌목지 1.05, 비벌목지 1.32, 비산화지 0.22, 균등성지수는 벌목지 0.70, 비벌목지 0.85, 비산화시 0.63이며, 우점도지수는 벌목지 0.15, 비벌목지 0.06, 비산화지 0.96, 천이도는 벌목지 345.19, 비벌목지 747.47, 비산화지 674.34, 각 지소별 유사도지수는 벌목지와 비벌목지간 0.66, 비산화지와 벌목지간은 0.50, 비산화지와 비벌목지간은 0.61이었다. 토양성분은 pH, 치환성양이온인 $Ca^{2+}$, $Mg^{2+}$, $Na^{2+}$, $NH{_4}^+$-N, $NO{_3}^-$-N은 벌목지가 비벌목지 보다 높게 나타냈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 총질소함량, 총탄소함량, 치환성양이온인 $K^+$는 비벌목지가 벌목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산화지의 관리에 있어서 무조건 벌목보다는 산화지의 식생회복과 재생의 정도를 고려한 선택적인 벌목이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soil respira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 undergoing secondary succession by fire-induced forest disturbance

  • Kim, Jeong-Seob;Lim, Seok-Hwa;Joo, Seung Jin;Shim, Jae-Kuk;Yang, Keum-Chul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3호
    • /
    • pp.113-12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oil $CO_2$ efflux between burned and unburned site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forest in the Samcheok area where a big forest fire broke out along the east coast in 2000 and to measure soil $CO_2$ efflux and environmental factors between March 2011 and February 2012. Soil $CO_2$ efflux was measured with LI-6400 once a month; the soil temperature at 10 cm depth, air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tents were measured in continuum. Soil $CO_2$ efflux showed the maximum value in August 2011 as 417.8 mg $CO_2m^{-2}h^{-1}$ (at burned site) and 1175.1 mg $CO_2m^{-2}h^{-1}$ (at unburned site), while it showed the minimum value as 41.4 mg $CO_2m^{-2}h^{-1}$ (at burned site) in December 2011 and 42.7 mg $CO_2m^{-2}h^{-1}$ (at unburned site) in February 2012. The result showed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the seasonal changes in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soil temperatur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soil $CO_2$ efflux in the burned site ($R^2$ = 0.932, P < 0.001) and the unburned site ($R^2$ = 0.942, P < 0.001) than the air temperature in the burned site ($R^2$ = 0.668, P < 0.01) and the unburned site ($R^2$ = 0.729, P < 0.001). $Q_{10}$ values showed higher sensitivity in the unburned site (4.572) than in the burned site (2.408). The total soil $CO_2$ efflux was obtained with the exponential function between soil $CO_2$ efflux and soil temperature during the research period, and it showed 2.5 times higher in the unburned site (35.59 t $CO_2ha^{-2}yr^{-1}$, 1 t = $10^3$ kg) than in the burned site (14.69 t $CO_2ha^{-2}yr^{-1}$).

산화가 초본층의 발샐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 (Effects of Forest Eire on Herb Layer Development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 박관수;이미정;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48
    • /
    • 2002
  • 본 연구는 산화가 초본층의 발생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00년 4월 대전의 계족산에서 발생한 산화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식생조사는 곰솔우점림 (침엽수림)과 아까시나무우점림(활엽수림)에서 10m$\times$1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실시하였고, 초본층의 발생조사는 7월 21일 Dierssen의 우점도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초본층의 피도는 침\ulcorner활엽수지역 모두에서 산화지가 비산화지보다 높았으며, 출현종수는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차이보다 침\ulcorner활엽수 간에 차이가 더 높았다 토양 시료는 비산화지, 그리고 산화지에서 산화 3일 후 그리고 산화 8개월 후에 0~10cm와 10~20cm 토양깊이에서 채취되었다. 토양 유기물층은 비산화지에서는 깊이가 약 1.5cm이었으나 산화지에서는 유기물층이 없었다. 산화 발생 3일 후 산화지와 비산화지 간의 토양 유기물, 전질소, 유기인산, 치환성 양이온함량, pH및 CEC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화지에서 산화 3일 후와 약 8개월 후의 토양의 화학적 특성들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II. 원인 및 화재안전대책 (Fire at an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II. Causes and Fire Safety Measures)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2-97
    • /
    • 2010
  •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의 원인을 추정하고 화재안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과 사격장 화재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와 잔류화약 분말에 대한 사격시험도 실시하였다. 총구불꽃과 탄자 받이에서의 스파크의 흔적이 CCTV 녹화영상에 나타나지 않았고, 유탄의 충격에 잔류화약이 점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잠재적 점화원 중 담뱃불이 가장 유력한 점화원으로 추정되었다. 또, 사격실에서의 폭발원인은 폴리우레탄 흡음재와 흡음재에 축적된 잔류화약 분말의 격렬한 연소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실내 사격장의 안전대책으로 프로파일 폴리우레탄 흡음재의 사용금지, 잔류화약 제거와 철저한 관리, 탄자받이의 강구조물 제거 등이 필요하다.

CHANGE OF CATALYST TEMPERATURE WITH UEGI TECHNOLOGY DURING COLD START

  • CHO Y.-S.;KIM D.-S.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6권5호
    • /
    • pp.445-451
    • /
    • 2005
  • Most of the pollutants from passenger cars are emitted during the cold-transient phase of the FTP-75 test. In order to reduce the exhaust emissions during the cold-transient period, it is essential to warm up the catalyst as fast as possible after the engine starts, and the Unburned Exhaust Gas Ignition (UEGI) technology was developed through our previous studies to help close-coupled catalytic converters (CCC) reach the light-off temperature within a few seconds after cold-start. The UEGI system operates by igniting the unburned exhaust mixture by glow plugs installed upstream of the catalyst. The flame generates a high amount of heat, and if the heat is concentrated on a specific area of monolith surface, then thermal crack or failure of the monolith could occu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onito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CC during the UEGI operation, so the local temperatures in the monolith were measured using thermocoupl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of CCC rises faster with the UEGI technology, and the CCC reaches the light-off temperature earlier than the baseline case. Under the conditions tested, the light-off time of the baseline case was 62 seconds, compared with 33 seconds for the UEGI case. The peak temperature is well under the thermal melting condi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s not so severe as to consider thermal stress. It is noted that the UEGI technology is an effective method to warm up the catalyst with a small amount of thermal stress during the cold start period.

산불이 곰솔림 산화지의 하층식생 구성과 쌀새(Melica onoei Fr.)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re on Species Composi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and Seed Germination of Melica onoei in Black Pine Forest)

  • 문형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3호
    • /
    • pp.131-136
    • /
    • 2001
  • 산불이 곰솔림 하층식생의 구조와 쌀새(Melica onoei)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관화 지소에서 당년에 출현한 종 수는 38종으로 비산화지소의 20종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우점종은 쌀새, 참억새, 땅비싸리, 싸리 순이었으며, 이들의 실생과 기존의 그루터기에서 나온 새순이 많이 관찰되었다. 산화 당년에 수관화 지역의 하층식생 지상부 생물량은 299.8g/㎡로 비산화지의 3배 이상이었으며, 이듬해 9월에는 하층식생의 지상부 생물량이 537.2 g/㎡로 전년도에 비해 약 1.8배 증가하였고, 비산화지소에 비해 5.8배 높았다. 이중 쌀새가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25.7%로 가장 높았다. 쌀새의 종자발아율은 대조구가 92%이 었으며, 암처리구(D)는 86%로 대조구와 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솔잎(L)과 솔잎 추출물(E) 처리구의 발아율은 각각 45.5%, 39%로 낮았으며, 대조구와 0.5%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L+E, D+L+E 처리구의 발아율은 각각 10.5%와 4.0%로 대조구와 모두 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본 수관화 지소에서 쌀새의 우점도가 증가하는 것은 쌀새의 발아를 억제하던 타감효과 물질이 산불에 의해 제거되었고 동시에 광 조건이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ction of Wildfire-Damaged Areas Using Kompsat-3 Image: A Case of the 2019 Unbong Mountain Fire in Busan, South Korea

  • Lee, Soo-Jin;Lee, Yang-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9
    • /
    • 2020
  • Forest fire is a critical disaster that causes massive destruction of forest ecosystem and economic loss. Hence, accurate estimation of the burned area is important for evaluation of the degree of damage and for preparing baseline data for recovery. Since most of the area size damaged by wildfires in Korea is less than 1 ha, it is necessary to use satellite or drone images with a resolution of less than 10m for detecting the damage area. This paper aims to detect wildfire-damaged area from a Kompsat-3 image using the indices such as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FBI (fire burn index) and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ethods such as Otsu thresholding and ISODATA(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To mitigate the salt-and-pepper phenomenon of the pixel-based classification, a gaussian filter was applied to the images of NDVI and FBI. Otsu thresholding and ISODATA could distinguish the burned forest from normal forest appropriately, and the salt-and-pepper phenomenon at the boundaries of burned forest was reduced by the gaussian filter. The result from ISODATA with gaussian filter using NDVI was closest to the official record of damage area (56.9 ha) publish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Unlike Otsu thresholding for binary classification,since the ISODATA categorizes the images into multiple classes such as(1)severely burned area, (2) moderately burned area, (3) mixture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and (4) unburned area,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undaries consisting of burned and normal forests can be better expressed. It is expected that our approach can be utilized for the high-resolution images obtained from other satellites and dr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