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tructure.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24초

경골어류 잉어과 피라미의 수정란 난막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Fertilized Egg Envelope from Pale Chub, Cyprinidae, Teleost)

  • 등영건;김동희;류동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4호
    • /
    • pp.321-326
    • /
    • 2000
  • 경골어류, 잉어과에 속하는 피라미 수정란을 실험재료로 사용하여 난문의 미세구조, 난막의 표면 및 단면구조를 밝힘으로써 계통분류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라미의 수정란은 부착성란으로 동물극 쪽에 수정을 위한 정자의 통로로 생각되는 한 개의 난문이 관찰되었고 이 난문은 5개의 돌출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난막의 표면은 부속구조물들은 관찰되지 않았고, 수많은 pore canal들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난막은 모두 3층으로 부착성인 전자밀도가 낮은 외층, 전자밀도가 높은 중층 및 9층의 층상구조를 이룬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상과 같은 피라미 수정란 난막의 미세구조적 특징은 피라미의 수정란이 가지는 독특한 형태학적 형질로서 종을 분류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Grey) 유충혈구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Laval Hemocytes in Sericinus montela Grey (Lepidoptera: Papilionidae))

  • 채순용;김상석;권선방;양희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0-100
    • /
    • 1993
  • 본 연구는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Grey)의 유충을 재료로 하여 투과전자현미쟁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혈구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꼬리명주나비 종령유충의 혈구는 구조와 특징에 따라 5종류로 구분되었다. 원시혈구(Prohemocyte)는 세포내에 하나의 큰 핵과 미분화된 세포내 소기관을 가지고 있었다. 부정형혈구(Plasmatocyte)는 섬유다발을 가진 방추행 또는 난형의 비교적 큰 세포로, 특히 방추형의 세포는 길게 발달한 핵을 갖고 있었다. 과립혈구(Granular cell)는 세포질내에 다양한 과립과 잘 발달한 소기관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원형질 돌기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소구형혈구(Spherule cell)는 세포질내에 미세한 물질을 함유한 소구(spherule)를 가자고 있으며 성숙한 세포는 소구내의 물질을 혈림프내로 방출시켰다. 편도혈구(Oenocytoid)는 세포질내 전자밀도가 높은 물결로 채워져 있으며 소기관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았다.

  • PDF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Surface ultrastructure of Pygidiopsis summa (Digenea: Heterophyidae) adult flukes

  • Chai, Jong-Yil;Sohn, Woon-Mok;Choi, Sung-Yil;Lee, Soon-Hy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0권3호
    • /
    • pp.107-112
    • /
    • 2002
  •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Pygidiopsis summa (Digenea: Heterophyidae) adults. Metacercariae were collected from gills and muscles of mullets (Mugil cephalus) caught in a known endemic area, and adult flukes were harvested from dogs after 8 weeks of experimental infection. The worm was calabash form with its posterior part broader than the anterior part. Tegumental spines were densely distributed over the body surface, except on the suckers and genital apparatus, and around the excretory pore. Well differentiated spines were observed on the anterior half of the body, with 14-16 tips ventrally, and 19-20 tips dorsally. On the oral sucker. three pairs of type I sensory papillae (uni-ciliated knob-like swellings) and one pair of type II sensory papillae (aciliated round-swellings) were observed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parts of the lip, respectively. On the lip of the ventral sucker, one pair of type II sensory papillae was distributed only on its posterior part. Sperms were seen emerging from or entering into the genital apparat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face ultrastructure of P. summa was unique among the heterophyid trematodes, especially in digitation of tegumental spines and in distribution of sensory papillae on oral and ventral suckers.

Spermatid Differentiations During Spermiogenesis and Mature Sperm Ultrastructure in Male Crassostrea nipponica (Seki, 1934, Pteroirmorphia: Ostreidae)

  • Kim, Jin-Hee;Chung, Ee-Yung;Lee, Ki-Young;Choi, Moon-Sul;Seo, Won-Jae;Kim, Sung-H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11-316
    • /
    • 2010
  • Spermatid differentiations during spermiogenesis and mature sperm ultrastructure in male Crassostrea nipponica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of this species has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Mature spermatozoa consist of broad, cap-shaped acrosomal vesicle and an axial rod in subacrosomal materials on an oval nucleus showing deeply invaginated anteriorly, two triplet substructure centrioles surrounded by four spherical mitochondria, and satelite fibres, which appear near the distal centriole. The acrosomal vesicle of spermatozoa of C. nipponica resemble to those of other investigated ostreids. Especially, two transverse bands (stripes) appear at the anterior region of the acrosomal vesicle, unlikely 2-3 transverse bands (stripes) in C. gigas. It is assumed that differences in this acrosomal substructure are associated with the inability of fertilization between the genus Crassostrea and other genus species in Ostreidae. Therefore, we can use sperm morphology in the resolution of taxonomic relationships within the Ostreidea. The sperm is approximately $48-50{\mu}m$ in length including an oval sperm nucleus (about $1.0{\mu}m$ in length and $1.41{\mu}m$ in width), an acrosome (about $0.48{\mu}m$ in length and 0.30 in width) and tail flagellum ($46-48{\mu}m$).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 + 2 structure. These morphological charateristics of acrosomal vesicle belong to the family Ostreidae in the subclass Pteriomorphia.

꼬막(Tegillarca granosa) 외투막의 미세구조 (Mantle Ultrastructure of the Granular Ark,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cridae))

  • 마경화;이정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0-275
    • /
    • 2003
  • Histochemical characteristic and ultrastructure of the mantle of the granular ark, Tegillarca granosa are described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he mantle of the clam is composed of outer epidermis, connective tissue and inner epidermis. The simple epidermis consists of supporting cells, ciliated cells of the two types and secretory cells of three types. Connective tissue is composed of matrix, collagen fibers, muscular fibers and hemolymph sinus. The columnar supporting cell is covered with microvilli on the free surface. Ciliated cells are distributed in the inner epidermis with numerous cilia, microvilli and tubular mitochondria. Secretory cell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 B and C) with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secretory granules. Type A secretory cells contains secretory granules with fibrous materials of high electron density Type B secretory cells are more abundant than the other cells, and contains secretory granules of membrane-bounded and high electron density. Secretory granules of the type C cells are divided into fibrous core layer and homogeneous peripheral layer. Type B secretory cells are abundant in the both epidermis of marginal mantle, while large number of type A and C secretory cells are evident in the outer epidermis of the central and umbonal mantle. This result showed that the outer and the inner epidermis of the mantle are related with shell formation and cleaning of the mantle cavity, respectively.

개조개, Saxidomus purpuratus 소화맹낭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the Digestive Diverticulum of Saxidomus purpuratus (Bivalvia: Veneridae))

  • 주선미;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9-165
    • /
    • 2011
  • 개조개 소화맹낭의 해부학적 구조와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재하였다. 개조개는 한국 여수연안에서 2010년 5월에 채집하였다. 소화맹낭은 진한 녹색으로 생식소 위쪽에 위치하며, 일차소관으로 위와 연결되어 있었다. 소화맹낭은 다수의 소화선세관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소화선세관은 단층 상피층으로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호염기성세포는 원주형으로 소화세포에 비해 전자밀도가 높았다.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조면소포체, 관상의 미토콘드리아, 골지체 및 전자밀도가 높고 막을 가진 분비과립들을 함유하고 있었다. 소화세포는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가 발달되어 있었다. 세포질 상부에서는 음소포, 용해소체 및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는 소화선세관의 호염기성세포와 소화세포는 각각 세포외 소화와 세포내 소화에 적당하게 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양식산 경골어류 3종의 난문과 방사대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Egg Micropyles and Zona Radiata in Three Aquacultural Teleosts)

  • 윤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6-133
    • /
    • 1999
  •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 메기 (Silurus asotus) 그리고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의 성숙 난자의 방사대 (zona radiata) 및 난문의 미세구조적 특징을 광학, 주사 및 투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무지개송어와 메기의 난에 있는 난문은 깔대기 형태의 전정과 방사대를 통과하는 끝이 작아지는 통로로 구성되어 있었다. 무지개송어와 메기의 난문은 편평한 구멍과 긴 통로로 구성된 구조를 나타내었다. 메기 난문의 구조는 무지개송어 난문의 구조와 일치되었다. 무지개송어의 난문을 구성하는 내부 벽은 시계방향(우선형)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미꾸리의 난문은 짧은 통로를 지닌 얕은 구멍을 가진 형태를 나타내었고, 시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난문의 벽은 방향성율 나타내었다. 미꾸리의 이러한 나선형의 방향은 무지개송어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개구부 바로 주변부에 있는 표면은 실험에 이용된 3가지 어류에서 모두 여러 가지 크기의 작은 구멍이 존재하였다. 상호 연결부위 (ridge)가 모든 어류의 미수정된 난자에서 관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난성숙시 난막과 난문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해서 3가지 양식어종 난자의 표면형태와 난문의 미세구조를 상호 비교하였다.

  • PDF

뚝지, Aptocyclus ventricosus 피부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Integument of the Smooth Lumpsucker, Aptocyclus ventricosus (Pallas, 1769) (Teleostei: Cyclopteridae))

  • 전미애;김혜진;박정준;김재원;이정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7-155
    • /
    • 2016
  • This study describes the cell type, ultrastructure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research on integument of the smooth lumpsucker, Aptocyclus ventricosus in accordance with the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using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SEM revealed the presence of well-developed finger printing structure in the skin surface. The skin surface of the smooth lumpsucker showed an irregular folds in cross section of light microscope. Integument is composed of outer epidermal and inner dermal layer. The epidermal layer is a stratified layer composed of epithelial cells, mucous cells, vacuolar cells, and granular cells. Epithelial cells are classified into superficial, intermediated, and basal cell. The superficial cells were the squamous with well-developed microridges on the free surface, and the microridges were covered with glycocalyx. The mucous cells of unicellular gland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apical layer of epidermis and contained mucosal materials of neutral glycoprotein. The vacuolar cells of unicellular gland were mainly distributed in the mid and basal layer of epidermis. The proportion of mucous cells and vacuolar cells were $7.0({\pm}1.07)%$ and $40.6({\pm}3.31)%$ of epidermal area, respectively. The granular cells contained membrane bounded secretory granules with high electron density and developed cell organelles in the cytoplasm. The dermal layer was loose connective tissue layer and composed of mainly collagen fibers. It also contained blood vessels and chromatophores of melanophores and reflecting plate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