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Deastringent Peel Extracts of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Protect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

  • Jeong, Da-Wool;Cho, Chi Heung;Lee, Jong Suk;Lee, Seung Hwan;Kim, Taewan;Kim, Da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7호
    • /
    • pp.1094-1104
    • /
    • 2018
  • The peel of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is a by-product of dried persimmon (gotgam). We investigated if deastringent peel extracts of persimmon cv. Cheongdo-Bansi had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properties. Two different extracts were prepared: thermally and nonthermally treated persimmon peel extracts (TPE and NTPE, respectively). Both TPE and NTPE were fractionated sequentially in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had the highes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capacities among all the fractions. Pretreatment of neuronal PC-12 and SH-SY5Y cells with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increased cell viability after exposure to oxidative stress.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PE attenuated oxidative stress inside both PC-12 and SH-SY5Y cells more effectively than that of NTPE. Furthermore,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inhibited acetylcholinesterase and butyrylcholinesterase. Analysis of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results revealed gallic acid, kaempferol, kaempferol-3-O-galactoside, kaempferol-3-O-glucoside, quercetin, quercetin3-O-galactoside, quercetin-3-O-galactoside-2'-O-gallate, and quercetin-3-O-glucoside as the major phenolics of the TPE and NTPE ethyl acetate fract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deastringent persimmon peel is rich in antioxidants and has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to reduce oxidative stress.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청도반시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unripe astringent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v. Cheongdo-Bansi) o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 박예빈;정하람;이승환;김태완;김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0-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을 40% (v/v) 에탄올-물 혼합 용액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액체-액체 추출법으로 5개 분획물(노말-헥세인, 클로로폼, 에틸 아세테이트, 노말-뷰탄올, 물)을 얻었다. 5개 분획물 중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산화방지능이 가장 높았다.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지방질다당류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산화 질소, IL-6,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켰다. UPLC-ESI-MS/MS를 이용하여 땡감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페놀 화합물로 갈산, 프로토카테츄산, 4-하이드록시벤조산, 쿼서틴-3-O-글루코사이드, 파라-쿠마르산, 쿼서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적과 과정에서 부산물로 버려지는 청도반시 땡감이 산화방지능 및 항염증 효과를 보유한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향후 적과한 청도반시 땡감의 산화방지능에 기반한 항염증 효과를 좀 더 명확하게 밝히기 위해서는 청도반시 땡감에 존재하는 개별 생리활성물질의 정량 분석 및 항염증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Bacillus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세균 물질의 특성 및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의 성장 억제 효과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Compounds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CJ6 and Its Growth Inhibition Effect on Food-Borne Pathogens)

  • 정지혜;장해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03-911
    • /
    • 2011
  • B.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세균 활성 물질의 특성을 규명하고 정제하였다. 생육에 따른 항세균 활성은 배양 4시간부터 나타내어 정지기인 배양 8시간에 최대 활성(102,400 AU/mL)을 나타내고 이후 급격히 활성이 감소되었다. B. polyfermenticus CJ6의 항세균 활성 물질은 $37^{\circ}C$에서 24시간 처리 시 활성의 50% 저하되고 $70^{\circ}C$에서 24시간 처리시 활성이 완전히 소실되어 열에 불안정하였으며, pH 3.0~9.0 구간에서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polyfermenticus CJ6의 항세균 활성 물질은 protease, ${\alpha}$-chymotrypsin을 처리 시 역가가 크게 감소하였으며 proteinase K의 단백분해 효소에 역가를 완전히 상실하여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6는 E. coli O157:H7, S. aureus, S. Typhi, L. monocytogenes의 식중독 세균과의 각각 공동 배양에서 배양 3~6시간 이내에 식중독 세균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 polyfermenticus CJ6가 생산하는 항세균 활성 물질은 SPE, recycling preparative HPLC, analytical HPLC을 이용한 4단계의 정제과정을 통하여 최종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3개의 분획을 분리하였다. 정제된 물질의 분자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UPLC를 이용한 ESI-MS/MS를 시행한 결과 3개의 분획에서 분자량이 다른 5개의 peptide(757.4153 Da, 750.3444 Da, 1024.5282 Da, 1123.6083 Da, 1617.8170 Da)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기존에 보고된 bacteriocin 분자와는 다른 분자량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B. polyfermenticus CJ6와 식중독 세균과의 공동 배양 실험에서 B. polyfermenticus CJ6는 식중독 세균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며 그 원인물질이 되는 새로운 항 미생물 peptides 물질은 천연식품 보존제 및 사료 보존제뿐만 아니라 정장용 제재,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생균제재 등으로도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분리된 5개의 peptide의 정확한 구조 및 특성 규명 등의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