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nar neuropathie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신경내 결절종과 연관된 척골 신경병증의 초음파 진단 (Diagnosis of Ulnar Neuropathy Caused by Intraneural Ganglion at Elbow with Ultrasound)

  • 강인현;배민준;허양록;황기훈
    • Clinical Pain
    • /
    • 제19권2호
    • /
    • pp.97-100
    • /
    • 2020
  • An intraneural ganglion in the peripheral nerve and the resulting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are uncommon and may show various symptoms ranging from local pain to motor and sensory impairment. We report a case of a 76-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with ulnar neuropathy caused by an intraneural ganglion derived from the elbow. We also discuss the pathophysiology, treatment, prognosis, and diagnostic value of ultrasonography in neuropathy caused by a ganglion.

농촌 지역 주민들의 주관절부 척골신경병증 유증상군의 1년 후 변화 (One Year Follow-up Study of Symptomatic Cases of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in a Rural Population)

  • 심영주;임현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9권5호
    • /
    • pp.404-410
    • /
    • 2006
  •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al history of symptomatic patients who did or did not display abnormal results on nerve conduction studies (NCS). Methods: Forty hundred fifty adults were selected among a total of 578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xamination in a rural Korean district. A symptom questionnaire and NCS were used to diagnose ulnar neuropathy at the elbow (UNE). There were 6.4% of the subjects with UNE, 5.1 % of the subjects showed symptoms without a NCS, and 84.2% of the subjects who were asymptomatic. One year later, 20 symptomatic limbs with an abnormality on the ulnar NCS and 22 symptomatic limbs without any abnormality in the ulnar NCS were enrolled in a follow-up study. The natural history of UNE was evaluat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clinical and electrodiagnostic examinations. Results: The 1-year follow-up of the enrolled limbs found that for the symptomatic limbs with an abnormality on the NCS, the degree of severe of the clinical grade changed from 20% to 10%. In contrast, for the symptomatic limbs that were without any abnormality in the NCS, the change of the severe degree of the clinical grade was from 0% to 18.2%. Also, for the electrodiagnostic change, only symptomatic limbs without NCS abnormaliti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motor latency, amplitude and conduction velocity at the 1-year follow-up. Conclusions: The 1-year follow-up study revealed symptomatic limbs that were without any abnormality on the ulnar NCS were more likely to progress than the symptomatic limbs with an abnormality on the ulnar NCS.

림프부종에 의한 신경포착증후군: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Nerve Entrapment Syndrome with Lymphedema)

  • 김홍렬;안덕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95-98
    • /
    • 2010
  • Purpose: One of the most common cause of upper extremity lymphedema is breast cancer surgery. We experienced the nerve entrapment syndrome which was associated with postmastectomy lymphedem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lymphedema induced nerve entrapment syndrome on upper extremity in Korea. Methods: A 54-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tingling sensation on her right hand, which had been present for 1 year. On her history, she had a postmastectomy lymphedema on her right upper extremity for 20 years. Initial electromyography (EMG) showed that the ampulitude of the median, ulnar, and dorsal ulnar cutaneous nerve were decreased, and conduction block was also seen in median nerve across the wrist. In needle EMG, incomplete interference patterns were observed in the muscles innervated by median and ulnar nerves. In conclusion, electrophysiologic study and clinical findings suggested right median and ulnar neuropathy below the elbow. Therefore, we performed surgical procedures, which were release of carpal tunnel, Guyon's canal, and cubital tunnel. Result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until the first two years. The tingling sensation and claw hand deformity were improved, however, the motor function decreased progressively. In 7 years after the operation, patient could not flex her wrist and thumb sufficiently. EMG which was performed recently showed that ulnar motor response was of low ampulitude. Moreover, median, ulnar, dorsal ulnar cutaneous, lateral antecubital cutaneous and median antebrachial cutaneous sensory response were unobtainable. Abnormal spontaneous activities were observed in upper arm muscles. In conclusion, multiple neuropathies were eventually developed at above elbow level. Conclusion: On treating nerve entrapments associated with lymphedema,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be ful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unpredictable results after the surgery, because of the pathophysiologic traits of chronic lymphedema.

전화 상담원 신경병증 (Teleconsultation Neuropathy)

  • 고석민;배종석;박성식;김민기;김병준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7권2호
    • /
    • pp.141-142
    • /
    • 2005
  • Two cases of bilateral ulnar neuropathies caused by telephone overuse are described in people engaged in the job of longtime telephone use. They had worked using telephone all through the working hours. Although they were right handed, they usually used the telephone in their left hand so as to leave their right hand free for writing, and would lean his elbow on the desk. Telesales or teleconsultation is a rapidly expanding field of business. These cases highlights the need of proper training and supplies appropriate to do their job.

  • PDF

압박성 신경병증 (Compression Neuropathy)

  • 김병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28-133
    • /
    • 2008
  • 신경 압박의 원인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것도 있고, 신체 내부 병리가 발생하여 신경 주행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주관절 이하부에서 압박성 신경병증으로 정중 신경, 척골 신경, 요골신경병증이 있다. 정중 신경은 굴곡 지대부위에서 수근관 증후군이 대표적이며, 모든 신경 포착 증후군 가운데 가장 흔하다. 그 외 주관절 부위에서 스트러더스 인대, 상완 이두근 건막, 회내근, 천수지 굴근 기시부 그리고 비정상 근육들에 의한 회내근 증후군과 전 골간 신경 증후군이 있다. 척골 신경은 스트러더스 궁, 내측 상과 후방의 주관, 척수근 굴근 두 기시부 사이의 건막 등에서 눌리는 주관 증후군과, 수근부에서 결절종, 유구골 갈고리 골절 그리고 혈관성으로 오는 척골 관 증후군이 있다. 요골 신경의 심부 분지가 회외근속을 지나면서 만들어지는 부위에서 눌리는 경우 요골 관 증후군이라고 한다. 치료는 초기에는 소염제나 야간부목, 스테로이드 주사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으며, 이에 호전되지 않을 경우 전기적 검사나 영상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면 수술적 감압술을 시행하여야 한다.

  • PDF

상지의 압박성 신경병증의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of Compression Neuropathy in the Upper Extremity)

  • 정양국;김배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4-72
    • /
    • 2008
  • 주관절, 완관절 주변의 압박성 신경병증은 일상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는 상지에서의 흔한 신경병증의 하나로 이에 대한 초음파 검사 소견을 바르게 해석하는 데는 정상적인 신경의 구조와 압박성 신경병증의 병리적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압박성 신경병증에서는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데 압박부위의 신경은 눌려서 편평한 모양으로 나타나고 근위부에서는 고신호강도의 부종성 변화와 신경속 양상의 소실을 보인다. 기본적인 횡주사 및 종주사 영상 외에 관절이나 근육을 동적으로 움직이면서 시행한 초음파 검사는 척골신경이 주관절 굴곡시 삼두박건 내측두와 함께 내상과위로 아탈구 되는 탄발성 삼두박근 증후군이나 능동적 회내근의 수축시 신경압박이 일어나는 원형 회내근 증후군 등에서 신경의 아탈구나 압박소견을 보여준다. 수근관 증후군이나 주관 증후군 등에서는 신경 단면적의 정량적인 계측이나 압박비의 평가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임상적 검사 및 전기생리적 검사와 병행하여 사용할 경우 초음파 영상은 상지에서의 압박성 신경병증을 진단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검사방법의 하나이다.

  • PDF

척골 신경 병증을 동반한 주관절 퇴행성 관절염에서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Debridement with Mini-Open Ulnar Nerve Decompression in Primary Osteoarthritis of the Elbow with Ulnar Neuropathy)

  • 제갈믿음;유건웅;박성배;김종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5-24
    • /
    • 2017
  • 목적: 척골 신경병이 동반된 주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에서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14년 7월까지 43명을 대상으로 최소 절개 신경 감압술만 시행받은 18예를 1군,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과 신경 감압술을 동시 시행받은 25예를 2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술 전과 술 후 6개월의 통증 점수, 관절 운동 범위,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McGowan grade, Bishop rating score를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통증 점수, 관절 운동 범위, MEPS, DASH 호전 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McGowan grade는 각각 1예를 제외하고 모두 1등급 이상의 호전을 보였으나 2군이 유의하게 더 우수하였고(p=0.001), Bishop rating score도 2군이 유의하게 더 우수하였다(p=0.036). 결론: 척골 신경병이 동반된 주관절 퇴행성 관절염에 대하여 최소 절개 척골 신경 감압술과 동시에 시행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은 관절 기능 향상과 척골 신경 회복에 유용한 술식이다.

공기주입 구혈대로 인한 상지마비 2예: 예방을 위한 수칙 (Two Cases of Pneumatic Tourniquet Paralysis: Points for Prevention)

  • 김현석;김영호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13-318
    • /
    • 2018
  • 공기주입 구혈대 사용 시 가장 흔히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인 신경손상은 실제 발생은 드물며 발표된 증례도 많지 않다. 저자들은 상지 수술 후 발생한 신경손상 2예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알리고자 한다. 좌수 재건을 위해 수술을 받은 남성 환자에서 통상적인 감압 휴지기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요골, 정중, 그리고 척골 신경의 손상이 확인되었고 이는 14시간의 총 누적 적용 시간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되었다. 수부 압궤손상으로 재건 수술을 받은 여성 환자는 요골 신경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수술 중 구혈대의 오작동으로 인한 사례로 추정되었다. 이 증례들은 구혈대로 인한 신경손상의 다양한 임상소견이 신경검사 결과와 불일치할 수 있으며, 장기간 불편을 야기하는 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구혈대 사용 시 주의를 요할 점들을 시사해준다.

다한증 치료 기구인 MiraDry®에 의한 근피 및 정중신경 손상 증례 (Musculocutaneous and Median Neuropathy after MiraDry® Procedure for Axillary Hyperhidrosis)

  • 김영민;윤미정;박선하;김민욱
    • Clinical Pain
    • /
    • 제20권2호
    • /
    • pp.135-140
    • /
    • 2021
  • MiraDry®, a microwave thermolysis device, is comparably new non-surgical agent in the field of eradication of sweat glands for treating axillary hyperhidrosis and osmidrosis. So far, altered sensation, swelling, and compensatory sweating are widely known as adverse effects of MiraDry®. Of the few reported MiraDry®-induced neuropathy cases, median and ulnar neuropathies are common. Although, one case has described radial nerve and posterior cord damage with maximized stimulation intensity, musculocutaneous nerve damage induced by MiraDry® has not been reported. Here, we report a case of a 30-year-old woman experiencing left hand weakness after receiving MiraDry® at a local dermatology clinic. Left brachial plexopathy, mainly involving the median nerve and the musculocutaneous nerve with partial axonotmesis, was confirmed by electrodiagnostic studies. Ultrasound evaluation showed corresponding results.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the musculocutaneous neuropathy by MiraD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