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Public Facilitie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임대주택 유형별 부재의 사후보전 수선시기 설정연구 (Analysis of the Breakdown repair time of the Building Components in Public Rental-Housing Types)

  • 이강희;안용한;채창우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129-136
    • /
    • 2013
  • The rental housing has played a key role to supply a decent living space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The owner of the rental housing should maintain and manage the building physica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rents should use the housing without any damage and pay a certain fare for the rent. A ren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 private and public. The public rent is mainly to supply a living space for non-available home owner with a low-rent fare. Many of public rent are built and supplied by the public institution or local government. The supplier would take a responsibility to maintain the building and components, reflected by the maintenance plan and repair scope. In this paper, it aimed at providing the repair time in building components of the public rental housing such as lighting, electrical cable, paintings and etc.. The repair time is analyzed with three calculation methods which are solved by the probability and empirical approa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he repair time of the electrical facilities are maintained with 11yr, 10yr and 7 in permanent, public and redevelopment rent respectively. The roof proof has a repair time with 14yr, 11yr and 8 in permanent, public and redevelopment rent housing respectively. Second, Most of the components has a prior length of the repair time in permanent, public and redevelopment rent sequently. There is a difference in repair time according to the rental types. Therefore, it would continue to research the difference in aspect of the living style, building physics, living consciousness and etc.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 환경색채 연구 - 서울과 동경을 중심으로 - (Environment Color of Public Sports Equipment Surroundings in Small Urban Parks - Focused on Seoul and Tokyo -)

  • 박혜경;오지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6권
    • /
    • pp.179-187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소공원 색채환경에 관한 연구로서 사회체육시설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과 동경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색채환경 차이를 이해하고 시민건강증진을 위한 도시소공원 사회체육시설 색채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서울과 동경에 위치한 순환선인 2호선과 야마노테선을 중심으로 인근 지하철역에 위치한 도시소공원을 선정, 분광측색기로 환경색채를 측정하였다. 서울 도시소공원 4곳, 동경의 도시소공원 4곳 총 8곳을 직접방문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물, 공원시설물, 바닥 포장면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울과 동경의 도시소공원의 사회체육시설 영역의 환경색채는 전반적으로 Y계열(Y, YR, GY)의 색채의 분포가 높게 나타났다. Y계열 다음으로 서울의 경우 B계열(B, BG, PB), 동경은 R, P계열로 나타나 색상분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사회체육시설물의 경우, 서울보다 동경이 다양한 색상분포를 보였고, 서울이 명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 밝은 색채가 시설물에 적용되었고 동경의 경우 원색에 가까운 고채도의 색채가 적용되고 있었다. 세 번째, 공원시설물 색채는 서울과 동경이 비슷한 명도, 채도값을 나타냈고, 색상분포에서 서울은 Y계열-B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나며, 동경은 Y계열-R계열 순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바닥포장면의 명도와 채도도 서울과 동경이 비슷하게 나타나지만 색상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색채의 생리적, 심리적 반응에 대한 연구결과를 사회체육시설 색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남한산 초등학교의 UPDP와 영국 DQIfS 절차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an UPDP of Namhansan Elementary School and a DQIfS in U.K.)

  • 고인룡;강태웅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5-23
    • /
    • 2012
  • Two government 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EDUMAC and AURI, are developing some tools for an user participating design process in public recently. The tools are originated from DQI/DQIfS, launched in 2002 by CIC(Construction Industry Council) in U.K.. At the beginning DQI/DQIfS was not a tool for making a decision but for a communication between layman and experts of architectural process. Because of this intent the most crucial thing is not DQI/DQIfS itself but how to use the tool: CIC is trying to develop various ways of facilitation. Domestic situation is no exception. Without a proper tool there were an independent user participating process in 2001 and it must have been the first participating process in architectural discourse. Through the seven workshops, the users of Namhansan elementary school drew not only the vision of the school but also concrete requirements which have been continuously adopted so far. The aims of this paper to analyse two facilitation processes: DQI/DQIfS in U.K. and the case of Namhansan process. Even not a proper tools for the process there was a spontaneous facilitation in Namhansan process. When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the Namhansan process and the DQI/DQIfS process there are considerable similarities in terms not only of the process itself but also the results. It shows that there are possibilities to make a Korean facilitation in a user participating process and this study must be the first step.

한국의 관학 대기과학 연구 발전을 위한 미국 협동연구 사례 분석 - 콜로라도대학 환경과학협동연구소를 중심으로 (A Study of Public-Academia Cooperative Research in the USA for Improvement of Atmospheric Research in Korea: Based on the CIRES Case)

  • 송병현
    • 대기
    • /
    • 제23권3호
    • /
    • pp.357-365
    • /
    • 2013
  • A public-academia cooperative research system is suggested to improve the level of national research on atmospheric science and to enable the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to meet its overloaded demand for research and results. As a practical example of cooperative research the CIRES case was reviewed. CIRES, the Cooperative Institute for Research in Environmental Sciences, located at the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is one of NOAA's 18 cooperative research centers located at universities across the U.S. NOAA, th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as a part of government, gives clear guideline for research topics and supplies research funds to research centers and audits their research processes and accomplishments. NOAA Boulder Laboratories, as a large, well-established government research center managed by government scientists, supplies depth of experiences and major research infra-structure to CIRES. CIRES pursues innovative and challenging research with their younger and brand-new researchers who are university employees. This cooperative work between government research organizations and the university produces high level research efficiently. Not only does Boulder have a beautiful natural setting where researchers live and work but also the city is a home to many scientific agencies and research facilities. This robust scientific network provides rich opportunities for CIRES researchers to collaborate with others in their scientific fields.

부산도시보건소의 기능별 공간구성 및 면적배분에 관한 연구 (AA Study of Spatial Composition and Area Distribution by Function in Public Health Centers of Busan)

  • 조희영;윤소희;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55-65
    • /
    • 2015
  • Purpose: Korea is increasing in the demand for medical services due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population aging in modern society. Thus, the importance has been emphasized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community and the publicity and substantiality of public health centers. However, the environmen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required functions and developed services as a urban public health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lane type and area composi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in Busan and to identify the property of their spatial configuration Methods: Eight public health centers in Busan, were classified, which had been selected as a medical tourism city. Subsequently, space requirements were analyzed, facilities were typed, vertical, horizontal spaces were reviewed, and area ratios by business function were calculated. Results: A review of the property of spatial configuration and an analysis of the area ratio revealed the three findings. 1)The horizontal analysis found various types: a single type, a multi-type, a radial type, and a circular type, 2)The vertical analysis showed that since a care function (general practice), and a task function (maternal and child health) were concentrated in lower level spaces, the lobby and core were closed located for providing quick medical services. 3)The analysis of the area ratio in public health centers in terms of their function indicated that each public health center' program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rea. Implic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spatial structural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city public health center by identifying their state and classify their functions and types an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ir area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patial composition. It was thus aimed to presenting implications in establish public functions and roles by activating business through in connection with the number of municipalities in many ways, such as regional health. medical welfare, etc. to improve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and by providing differentiated programs in accordance with local characteristics.

U.I.의 개념 및 제작에 관한 고찰-서울산업대학교 U.I. 매뉴얼을 중심으로- (Conception and Design of U.I.-U.I. Manu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전양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177-185
    • /
    • 1998
  • 영국의 산업혁명에서 태동되어 유럽 각국으로 급속히 보급, 발전된 새로운 조형예술의 개념 즉, 디자인 운동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더욱 발달된 산업기술과 국제화시대로 인하여 보다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기업의 다양화, 전문화 그리고 국제화 등과 함께 등장한 디자인에 있어서의 아이덴티티의 개념은 모든 시각표시물의 표준화라는 작업을 통하여 그 결과의 나타나게 되었고, 또한 이러한 개념은 상품판매에 의한 이윤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고 있는 기업에서뿐만 아니라 국가기관이나 학교, 병원 또는 각종 종교단체 등과 같은 공공기관 및 단체에서도 도입하여 적극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1910년 개교한 이래 90여 년이라는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서울산업대학교는 그 동안 여러 가지 교 명의 변경과 함께 주변환경과 시대적 특성에 맞는 나름대로의 시각 표시 물을 사용해 왔으나, 1998년 학교 영문명칭의 변경으로 인하여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새로운 이미지의 표방과 함께 U.I.)University Identification)라는 개념을 정식으로 도입하여 최초로 매뉴얼을 제작하게 되었으며 이는 시대적 추세에 의한 필연적 결과라 할 수 있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Design of a Public Library in Ubiquitous Life)

  • 한희정;김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3-217
    • /
    • 2010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영국, 미국, 일본의 노인공동생활주택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플랭클린(Franklin)의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ontex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in the U.K,, U.S.A., and Japan - with Perspective of Franklin's Social Constructionism -)

  • 유병선;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5호
    • /
    • pp.27-38
    • /
    • 2005
  • There have been many requests for development of senior housing in Korea. Therefore it was very important to review how senior houses are established and managed in other countries. In this point, this research compar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omes for the elderly in the U.K, U.S.A and Japan. Through the process, this research aime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the literature review on senior congregate housing with Franklin's(1998) social constructionism perspective. This kind of research might be utiliz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erformance of any systems of housing for the ag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structural context, government in the U.K, U.S.A., and Japan were positively concerned with solving the housing problems for senior citizens despite some differences. Secondly, from an institutional context, institutions related with provisi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were systematically consolidated and they all adapted the housing and welfare policy. Thirdly, in organizational context, there was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provision and management that exclusively oversaw the housing for the elderly in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urthly, in operational context, standards regarding space were clearly set both for individual units and common spaces as well as for facilities and services for the residents. Finally in terms of intersubjective context, the competency of housing manager and ways to involve the families which were important for residents' independent life were under study.

유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거복지동 계획방법에 관한 연구: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을 중심으로 (A Design Methodology of the Welfare Building for Providing u-Healthcare Services: Focused on the Gayang 7th Apartment Complex)

  • 이지은;윤영호;양동석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4
  • 주거 공간에 건강관리에 필요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은 'aging in place'의 실현을 가속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주거공간의 변화는 의료비를 절감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복지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가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헬스케어 서비스(Healthcare service)를 아파트 단지 내에 적용하는 계획방안에 대해 도출하고 주거복지동의 첫 사업 대상지인 가양 7단지 영구임대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먼저 거주자의 헬스케어 서비스 이용의향에 대해 조사하고 관심이 높은 응답자를 중심으로 실제 시범사업이 적용된 서비스의 사용모습 관찰 및 심층 인터뷰를 통해 추후 계획시 고려할 사항에 대해 도출하였다. 가양 7단지의 경우 유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고령자보다는 고령자 진입층에서 더 강력하게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주호의 협소함으로 기기 설치 및 측정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관찰조사 결과 주호는 사용자세의 불편함으로 입식구조의 측정공간 계획이 필요하며 장비보관장소도 필요하다. 그리고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건강측정, 건강관리, 외부 시설과 연계된 시설로 나눠 계획할 수 있으며, 이는 건강측정 공간을 기본형, 즉 최소형으로 하여 점차 확대 적용할 수 있다. 가양 7단지의 경우, 별도의 복지 건물이 신축되므로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혼합형의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으며, 반자립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까지 확대 적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지속가능한 국립공원의 관리체계 개선방안: 환경용량 기반의 u-Park 체계 수립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f Sustainable National Park Management System: focusing Establishment of Management Based Environmental Capacity)

  • 손민호;이우균;송철철
    • 환경정책연구
    • /
    • 제5권4호
    • /
    • pp.51-84
    • /
    • 2006
  •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과도한 이용을 방지하여 국립공원의 우수한 자연환경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GIS를 활용한 환경용량 산정과 유비쿼터스(Ubiquitous) 개념을 이용한 공원 관리체계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종래의 국립공원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자연자원, 인문자원, 시설물, 이용객에 관한 연구 및 그에 대한 관리 기준을 개별적인 입장에서 연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통합분석 방법을 활용한 수용력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생태적 보전성과 환경적인 민감성을 고려한 환경생태 지수, 매력가치에 근거한 탐방유인지수를 산정하였다. 수용력의 효과적인 분석 및 관리를 위하여 GIS를 이용한 종합적인 관리대책 방안으로 관리지수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리산 국립공원의 경우 유도가 필요한 5등급이 71%를 차지하였고, 분산이 필요한 1등급 지역이 0.01%를 차지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용량 산정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의 수집을 위해 방대한 자연 환경과 시설물, 탐방객에 대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위해서 유비쿼터스 개념의 모니터링 방안을 마련하였다.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GIS기반의 공간의사 결정체계를 통한 환경용량의 정량적, 정성적인 목표를 수립하여 지속가능한 국립공원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GIS 공간의사결정 시스템과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을 통합한 시스템을 통해 효과적인 국립공원의 관리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