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ography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36초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using Combined Corner and Contour Detection

  • Lim, Sooyeon;Kim, Sang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1호
    • /
    • pp.68-75
    • /
    • 2017
  • Interactive Typography is a process where a user communicates by interacting with text and a moving factor. This research covers interactive typography using real-time response to a user's gesture. In order to form a language-independent system, preprocessing of entered text data presents image data. This preprocessing is followed by recognizing the image data and the setting interaction points. This is done using computer vision technology such as the Harris corner detector and contour detection. User interaction is achieved using skeleton information tracked by a depth camera. By synchronizing the user's skeleton information acquired by Kinect (a depth camera,) and the typography components (interaction points), all user gestures are linked with the typography in real tim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both English and Korean, where users showed an 81% satisfaction level using an interactive typography system where text components showed discrete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gestures.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possible to ascertain that sensibility varied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speed of the text and interactive alter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teractive typography can potentially be an accurate communication tool, and not merely a uniform text transmission system.

타이포그래피의 체계적 이론을 활용한 그래픽디자인의 실무적 발전 방안 (Practical Study for Developing Graphic Design Adopting Systematic Theories of Typography)

  • 이기복;홍영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80-91
    • /
    • 2010
  • 현대 사회의 디자인 영역에 있어 타이포그래피는 정보전달과 심미적 기능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대단히 중요하며, 특히 오디언스(audience)로 하여금 보다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가독성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해 보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Kinetic Typography)를 중심으로 한 트렌드, 타이포그래피의 해체와 영역 확장, 그리고 조형 예술적 관점에서 분석한 타이포그래피 등으로서 실무차원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표현 전략과 타이포그래피의 이론에 근거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이포그래피의 체계적 이론을 활용하여 그래픽디자인의 효용성 증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그래픽디자인 영역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Creative 38 Annual Awards 등, 2008년과 2009년에 게재된 최근의 작품을 중심으로 타이포그래피의 이론과 접목되는 작품을 연구사례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그래픽디자인의 표현 전략을 높이기 위한 효용성 증대 방안을 제안하여, 디자이너가 여러 가지 작업을 실행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실무차원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들에게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체계적 활용 방법을 통하여, 오디언스에게 시각적 감동을 줄 수 있는 창의적인 디자인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Web환경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적용방법 중 캘리그래피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applying plan of Caligraphy among the applying ways of Typograpty in the Web-environment.)

  • 박정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15-22
    • /
    • 1999
  • 그 동안 활자인쇄매체의 타이포그래피의 적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였고 또 그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에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지면출력을 위한 편집디자인이 아닌 Web환경에서의 가상공간의 편집디자인을 활자인쇄매체에 적용되는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 이였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Web상황에 타이포그래피을 적절히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리서치를 통한 Web상황에서의 바람직한 타이포그래피의 적용방법과 타이포그래피의 적용 한계점을 알아보고 그 것에 대한 대체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 PDF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활용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품에 관한 연구 - 'Interactive Floral Type'을 중심으로 (An Interactive Typography Piece, using Interactive System - Focusing on 'Interactive Floral Type')

  • 김현희;이동호;김현희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1-45
    • /
    • 2015
  • 근래 들어, 인터랙티브한 매체의 활성화로 인해, 사용자의 인풋과 인터랙션을 타이포그래피에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가 발전하고 있다. 기존의 고정(fixed) 되어 있던 매체에서의 타이포그래피 디자인과 달리,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는 인터랙티브 시스템(Interactive system)을 바탕으로, 다양한 디자인 결과물을 즉각적으로 양산해 낸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연구를 통해 작품을 구현했다. 기초 연구 단계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고찰해 보면서, 함수의 개념을 빌려 인터랙티브 시스템을 이해하고자 했다. 작품 구현 단계에서는 플래시 액션스크립 (Flash action script)을 이용해 인터랙티브 타이포그래피 작품 '인터랙티브 프로럴 타입(Interactive Floral Type)'을 디자인하고 구현했고, 사용자의 마우스와 키보드의 인풋에 따라 타입의 크기, 색상, 레이아웃, 모션이 변화함으로써, 타이포그래피의 기본 조형 요소인 '개별 글자'가 '꽃'의 모양으로 실시간 변화하는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작품을 구현했다.

웹 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의 적용방법과 캘리그래피 디자인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applying of Caligraphy design among the applying ways of Typography in the Web-design)

  • 박정현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9-36
    • /
    • 2004
  • 그동안 아날로그 환경에서 타이포그래피 적용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었고, 그 연구를 바탕으로 오늘의 디자인에 적용되어 왔다. 그 결과 지면 출력을 위한 편집디자인은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web환경에서의 웹디자인은 프로그램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그대로 이용하는 현실이다. 웹디자인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체가 개발되었으나 서체로는 다양하고 개성있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수 없고, 다시말해서 개성이 사라지고 획일화되어 남과는 차별화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는 불만의 요소가 되어왔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웹디자인에서 타이포그래피를 적용시키는 방법과 자신의 개성을 강조하고픈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 시켜줄 대체 방안을 논하고자 한다.

  • PDF

한국 광고의 타이포그래피 표현 경향 연구 - 2000년도 이후 인쇄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Propensity of Typography in Korean Advertisement - Focused on Printing Advertisement after 2000year -)

  • 김동빈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9-228
    • /
    • 2007
  • 인쇄 광고는 이미지 기호와 언어 기호로 구성된 상업적 정보전달 텍스트의 집합체이다. 이는 그림을 통한 시각적 자극과 글자를 통한 언어적 소구가 복합되어 정보를 전달하게 됨을 의미한다. 타이포그래피는 인쇄 광고에서 언어적 소구를 시각화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인쇄 광고에서 시각적 표현 요소로서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한국 인쇄 광고의 타이포그래피 표현은 1990년대를 거치면서 2000년 이후 급속한 질적 성장을 이루었다. 이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의 한국 인쇄 광고 타이포그래피의 표현 경향을 표현 구조의 변화, 표현 규칙의 변화, 표현 방법의 변화 등으로 밝혀 내었고, 그 분류에 따라서 각각 3가지 방향으로 특징적 분석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른 사례연구를 통해 인쇄 광고 타이포그래피 표현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위한 기본모션 API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imitive Motion API for Kinetic Typography)

  • 조윤아;우성호;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763-771
    • /
    • 2015
  • The kinetic typography animates the static text and it will enable the delivery the opinion and emotion, but we should use professional software or do complex coding precess to create a motion into an existing static tex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primitive motion API which is the way to configure the kinetic typography easily by adding a motion into the static text.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movement of the text, defined the underlying levels of the movement and designed the primitive motion API to express the kinetic typography promptly. Furthermore, we verified the performance of the primitive motion API by testing the usability. Using the primitive motion API to implement the kinetic typography explicitly might substitute for tedious coding process and usage of the existing professional software so it makes anyone be able to apply the kinetic typography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현대패션의 유형과 미적 특성 (Pattern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m Fashion using Typography)

  • 김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2호
    • /
    • pp.283-295
    • /
    • 2009
  • This research covers the ways in which typography, which has been expressed in a diverse range of fields and changed communication functions from the era of reading to the era of feel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times and social demands, has been represented in modem fashion, along with examining its inherent aesthetic characteristics. I reviewed the general information of typography's fundamental notions and functions through documented records, and analyzed the inherent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the typographical patterns shown in modem fashion based on art work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llections after 2000.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at typography in modem fashion has been used for improving brand image, expressing social slogans, expressing images, linguistic function for playful expression and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of modeling functions. Typography in modem fashion has always been diversely expressed harmoniously with linguistic and modeling functions. Through th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were firstly parodies through direct sentences addressing political and social ideologies, economic gaps, environmental issues and anti-war protests. Secondly, by using brand logos, typography was used as a commercial means like brand-image transfer and separation through customization of other brands. Thirdly, the aesthetic and artistic value of fashion were expressed after being used as experimental visual components like image, motive and patterns which are all elements of fashion design. Fourthly, by distortion and transformation of characters or childish decorations, along with the harmonization of words, cathartic humor was provided for the calloused senses of modern people.

  • PDF

글자 개념의 인식론적 변화로 본 타이포그라피 (Typography in Epistemological Change of Letter Concept)

  • 안병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146-156
    • /
    • 2007
  •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데리다의 $\ulcorner$그라마톨로지$\lrcorner$와 타이포그라피의 글자 개념을 차례로 살펴보고, 책과 문자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타이포그라피의 미래를 확인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ulcorner$그라마톨로지$\lrcorner$란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을 통해 소리로부터 글자를 복권(復權)시키고자 하는 데리다 '문자학'을 뜻하고, 타이포그라피란 글자를 공감각(共感覺)적으로 활용하는 창작 영역이다. 이 연구가 가능한 이유는 첫째, $\ulcorner$그라마톨로지$\lrcorner$와 타이포그라피는 글자라는 연결 고리를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이고 둘째, 타이포그라피에서 글자는 역사학 철학 문학 언어학과 같은 주변 학문과 연관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며 셋째, 형이상학의 울타리에서 소리에 종속된 글자의 권리를 회복하고자 하는 $\ulcorner$그라마톨로지$\lrcorner$의 뛰어난 실험성 때문이다. 타이포그라피의 주된 목적은 의미의 정확한 전달이다. 그러나 진보를 향한 창의로운 사고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실험성에 있으며, 따라서 타이포그라피의 목적을 단순히 의미 교류를 위한 소통으로만 제한할 수 없다. 이런 이유로 타이포그라피에 대한 연구에서 아직 접근되지 않은 주변 학문에 대한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교육 프로그램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Experimental Typography)

  • 원유홍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33-44
    • /
    • 2000
  • 타이포그래피는 시각디자이너가 관여하는 분야 중에서 가장 감성적이며 잠재적 창조력이 발휘되는 영역이다. 심미적 결과를 도출하는 디자인 과정은 디자이너의 감수성과 창의성에 따라 그 결과가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는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성 발휘에 큰 걸림돌 격인 고정관념 즉, 편견과 선입견을 제거하고 타이포그래피의 문맥과 메시지 전달에 충실 할 수 있는 사고의 전환과 전반적 감각을 개발하고 교육하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한다. 오늘날은 타이포그래피의 환경 변화로 인해 전통적 타이포그래피의 본질과 효용성이 의심받게 되었으며 이러한 전승적 가치로부터 새로운 탈출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영감과 테크놀러지의 공존이라는 대명제 아래 가히 폭발적 변신과 융화가 일어난 상황에서 새로운 경향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실험 타이포그래피를 현실화할 몇 가지 교육 프로그램으로 Typeface, Typortrait, 타이포그래피 에세이,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소개하며 이를 계기로 타이포그래피 실험의 새로운 진전과 교육계의 이해 확산을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