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tle typ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여수세계박람회와 지역문화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개발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based on Convergence of International Exposition Yeosu and Regional Culture)

  • 김선영
    • 복식
    • /
    • 제61권1호
    • /
    • pp.58-68
    • /
    • 2011
  • With Expo 2012 Yeosu to be held in 2012,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designs for fashion cultural products in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s of Yeosu are fused. Using symbols of Expo 2012 Yeosu and cultural symbols of Yeosu City as motifs, this study will develop patterns and then, apply them to neckties, handkerchiefs, and T-shirts. Adobe Illustrator CS2 and Adobe Photoshop CS2 will be used. This study developed basic motifs so that cultural resources using camellia, Odong Island, and the Turtle Ship, which represent Yeosu City, could be well harmonized with the topic of Expo 2012 Yeosu. This paper set three basic motifs of new formative images, using graphic images that were made by omission of forms, simplification, overlap, repetition, and calligraphy of the name of Yeosu holding the event. Each set motif was expanded to three motifs again through change, conversion, and mixture of colors, and three types of repetitive applied patterns were developed through revolution, symmetry, repetition, and reversal of each motif. The modern and refined image for neckties, to which the developed motif was applied, was made by directly applying the repetitive pattern of each motif or by making $45^{\circ}$ revolution. For handkerchiefs, revolution, enlargement, reduction, and gradation were applied to the motif so the pattern could be highlighted to the maximum and finally, a colorful image was developed. For T-shirts, three designs-a half-sleeved box type, a sleeveless round neckline type, and a sleeveless V-neckline tight type-were developed, through which availability of the design was increased. Through enlargement, reduction, revolution, and repetition of each motif, this paper layout the pattern on the whole part of a T-shirt, pursuing a decorative and casual image.

형상의학(形象醫學)에 대한 논문 고찰 (Review on Hyungsang Medicine)

  • 서재호;박영배;박영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2-68
    • /
    • 2013
  • Objectives: Hyungsang medicine (HM) is an inspection which emphasi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thological patterns and one's facial or bodily shape, color and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eviously published study results of the HM. Methods: The authors reviewed a total of 51 HM-related studies published from 2000 to 2012 found on PubMed and various domestic Oriental medicine journals. Each study was classified into theoretical, diagnostic, or treatment-related category. Results: Theoretical studies were mostly based on the Nei-Ching and Dong-Eui-Bo-Gam texts, and dealt with differences in form between types such as masculine and feminine, the five organ image types, the four-type categorization of body essence, vital energy (Qi), mentality, and Blood, Gallbladder and Bladder, the four-type categorization of fish, bird, horse, and turtle types, and the six meridian types. Research on diagnosis has been performed on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HM, correlation between HM and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GCM), and Hyungsang medicine and ante-disease pattern (未病類型). Studies on treatments could largely be classified as treatments for specific diseases using certain acupuncture or herbal prescriptions based on HM. Treatments were mostly evaluated solely through subjective symptom improvement of patients. Conclusions: Our review results suggest that HM-related studies were focused on the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utility of HM.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basis of HM and its clinical utility, clinical trials including randomized, treatment-placebo and blind methods are needed.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과 어획량 변동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Fish Density on Artificial Reefs)

  • 이정우;강영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5-548
    • /
    • 1994
  • 각 해역에 시설된 사각형, 반구형,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의 어류 군집상 및 어획량 변동을 조사하여 인공어초 모형에 대한 어종 친화성과 해역별 최대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적정 어초모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1988년 5, 7, 9, 11월에 각 1회씩 삼중자망으로 어획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어획된 어류는 종별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인공어초어장에서 출현한 총 어종수는 45종이며 볼락류, 쥐노래미, 가자미류, 쥐치 및 말쥐치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8종이,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31종이, 그리고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총 18종이 출현하였다. 해역별 주요 우점종은 대부분이 가자미류, 가오리류, 쥐치, 말쥐치, 쥐노래미, 볼락류와 같은 연안정착성 혹은 저서성, 암초성어류였으며 남해 외양만이 회유성 어종인 고등어가 최우점종이었다. 인공어초모형에 따라 저서성, 암초성, 회유성 어류의 조성률이 다르게 나타났다.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회유성어류의 조성률이 높은 반면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에서는 저서성 어류 및 부착생물을 주로 먹이로 하는 어류의 조성률이 높았다. 동해 중부연안을 제외한 전 해역의 인공어초어장중 사각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으며, 동해 중부연안은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에서 어획량이 가장 높았다. 인공어초모형별 어류 군집상은 사각형 인공어초어장과 반구형 인공어초어장은 서로 차이가 있으며, 원통형 인공어초어장은 이 두 인공어초어장의 중간적인 성격을 띤 군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역별로 보면 남해연안과 서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했고, 남해외양과 동해 남${\cdot}$중부연안의 군집상이 유사하였다./TEX>인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수은 오염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카드뮴의 어종별 96hr-LC50은 넙치 28.4mg/l, 숭어 2.55mg/l, 조피볼락 28.7mg/l으로 나타났다. 7. LAS의 96hr-LC50은 0.79mg/l이었고, 숭어에 대한 96hr-LC50은 0.06mg/l, 조피볼락 1.08mg/l으로 기수성 어류인 숭어의 내성이 매우 낮은 점이 특이하였다.치사하지 않으므로, 본 실험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서 무수 수송 장치를 만들면 충분히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X>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EPA, DHA 등 w3 계의 장쇄(長鎖)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가 $22.13\%$로 높게 나타났으며, 양적으로 많은 지방산은 포화산 중에는 palmitic acid($C_{16:0}$), monoene산 중에서는 palmitoleic acid($C_{16:1}$), polyene산 중에서는 hexadecatetraenoic acid($C_{16:4}$), eicosapentaenoic acid ($C_{20:5}$), docosahexaenoic acid($C_{22:6}$) 등이 함량이 많았다. Carotenoprotein으로부터 분리한 총 caroteoid 함량은 $8.80mg\%$였고, 주 carotenoid는 mytiloxanthin($74.79\%$), 3,4,3'-trihydroxy-7',8'-didehydro-${\beta}$-carotene($18.26\%$)였다

  • PDF

한국 전통문양의 이미지 형상화 소고 (A Study on the Figuration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 Images)

  • 장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8호
    • /
    • pp.1001-101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 formativ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Korean pattern image could be interpreted into visual elements of design based on the images, the characteristic formativ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s. Fourteen patterns selected from 5 groups of Korean patterns were used as stimuli. An image evaluation using a 2-point sementica scale of 19 bipolar adjectives, and an impression evaluation of which results were presented by visual drawing using lines and shapes were carried out.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spondenc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Fourteen patterns and 19 adjectives were marked on a perception map composed of two (x and y-) axes. The bipoles of x- and y axes were soft-hard and splendid-artless, respectively. 2. Four clusters semerged to account for the dimensional sturucture of 14 patterns and 19 adjectives. These were splendid image, soft image, individualistic image, and sophisticated image. However there was no pattern which belonged to the cluster, sophisticated image. The Korean pattern image was founded to be better related to the kind of patterns than the type of patterns. 3. The characteristic formative elements obtained from the impression test were contour of motif, repeated line or shape, various curved lines, and decorative elements. 4. The splendid image was related to Bongwhang patterns and detailed line and complexity. The individualistic image was related to the abstractive form of Bongwhang pattern and the decorative form of Cloud pattern both of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point-symmetry and abstraction, and Turtle-back pattern. In this case, the related charac-teristic formative element was identified to be repeated lines. The soft image was related to Moran, Cloud, and Taegeuk patterns. The related characteristic elements were various types of curved lines, decorative elements, and rounded contours.

  • PDF

형장침법 연구 (Study on the Acupuncture in Hyungsang)

  • 강경화;김경철;백근기;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157-1176
    • /
    • 2003
  •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induced from a study on the acupuncture therapy depending on hyungsang of the persons. The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Internal classic (內經)& and &Clinical Lectures by Dr. Jeesan&. The acupuncture originated from the treatment of spasm with numbness in the southern area. The acupuncture is basically a remedy for the exterior disease of meridian but also it can be a cure for the interior disease of Jang and obstinate disease with accurate method. Three mechanisms of acupuncture are described in 'Internal classic'. The first is to make meridian circulate smoothly. The second is to regulate Ki and Hyul. The third is to regulate points through which the meridian-Ki goes in and out smoothly or adversely. There are two ways of acupuncture in 'Internal classic'. One is based on pulse and symptom and the other on the Hyungsang. The former is more generally used therapy, to which depletion method, Asi point method(阿是穴 療法), Inyoung-kigu pulse comparison method (人迎氣口脈法) and method depending on jang-bu disease belong. Acupuncture is done on Su points(輸穴) and back-su point(背兪穴) in case of jang-disease. In case of bu-disease, the treatment is done on Hap points(合穴) and Mo-points(募穴). The latter includes two methods; one according to invariable Hyungsang. And the other to variable Hyungsang. The method of acupuncture according to invariable Hyungsang usually selects Won-points(原穴). Different Hyungsang requires different method of acupuncture; In case of Dam type, the acupuncture is mainly practiced on four-Kwan points with reinforcing and reducing methods achieved by the direction of the needle tip pointing to. In case of Bangkwang type, the acupuncture is usually done on Jungwan(中脘) and Poongyung(豊隆) with reinforcing and reducing methods by means of respiration. In case of female, more effective are the acupoints on the right and lateral parts of the body selected on the basis of five su-points of the twelve meridians matching the heavenly stems and earthly branches. In case of male, more effective are the acupoints on the left, front and rear parts of the eight extra meridians. In case of acupuncture to the person with Hyungsang of five jang and six bu, each person's intrinsic Hyung, color, pulse, must be observed. Because symptoms of jang-bu disease also must be checked up. Acupuncture is done on the Won-points of the meridians related to the jang and bu where the disease starts. The disease of five jang is so obstinate that it requires both of medication and acupuncture for a long time. In case of acupuncture to the person with Hyungsang of animal types, diagnosis is made on the basis of shape, temper, function and color. And the treatment is given on the Won-points of corresponding exterior and interior meridians. For the fish type, the acupuncture is done on the kidney meridian of foot-soyin and the urinary bladder of foot-taiyang. For the bird type, on the heart meridian of hand-soyin, the pericardium meridian of hand-gualyin, and the small intestine meridian of hand-taiyang For the deer type, on the liver meridian of foot-gualyin and the gallbladder meridian of foot-soyang. For the turtle type, on the lung meridian of hand-taiyin and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of hand-yangmyung.

곡성 함허정(涵虛亭)의 경관짜임과 의미경관 (The Landscape Configuration and Semantic Landscape of Hamheo-pavilion in Gokseong)

  • 이현우;심우경;노재현;신상섭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64
    • /
    • 2015
  • 본 연구는 곡성 함허정(전남유형문화재 제160호)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문헌조사 인터뷰' 등의 연구방법을 토대로 연구대상 일원의 풍수형국과 경관짜임 및 조영의도 그리고 의미경관의 특성을 추적한 것이다. 함허정 일원의 입지 및 조망적 조영특성의 분석과 해석의 일환으로, 함허정 일원의 경관상에 드러난 호혜적 자연관과 경관짜임이 어떠한 형태 및 방식으로 표출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첫째, 함허정은 심광형(沈光亨, 1510~1550)이 중종30년(1535)에 군촌(현(現). 전남 곡성군 입면 제월리)에 처소 및 강학을 위한 군지촌정사를 창건한 이후, 지근거리에 1543년 학문연구와 유식(遊息)을 위해 지은 누정이다. 함허정과 군지촌정사가 자리한 군촌마을은 순자강(섬진강)을 마주한 전형적인 배산임수 국면인데, 진산인 동악산은 소가 강가에 누워 한가로이 되새김질 하는 와우형(臥牛形)으로 해석되며, 함허정 일원은 목동(牧童)이 강가에서 피리를 부는 형국으로 와우(臥牛)가 적초(積草案, 풀더미)를 구비하여 평안과 풍요를 누릴 수 있는 길처로 회자된다. 특히, 함허정 뒷동산은 거북이 용궁으로 입수하는 혈맥으로 거북(또는 자라)의 등 위에 앉은 건물[구형(龜形)]이 함허정이며, 절벽 아래 남측의 하중암도(河中巖島)인 구암조대(龜巖釣臺)와 용암(龍巖)은 거북이 지향한 해중 신선경(海中 神仙景)으로 해석된다. 둘째, 함허정은 곡성8경의 제3경 순강청풍과 제9경 설산낙조(雪山落照)의 풍광시점장이면서, 곡성 입면8경의 제2경 함허순자와 제3경 천마귀암(天馬歸岩)의 풍광시점이기도 하다. 한편 음양접합과 같은 '산태극(山太極) 수태극(水太極)'으로 배열된 순자강5곡의 제4곡 경물로서 도학 및 성리학적 토포스로 본 초월적 풍경이자 감각적 투시를 통한 굽음의 미학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특히 비변사인방안지도(18C 중엽)와 옥과현지(1788년) 등에 순자강5곡 중 제2곡 합강정과 제4곡 호연정(함허정), 그리고 제3곡 무진정이 묘사되었음을 볼 때 순자강5곡 경물은 피안(彼岸)과 차안(此岸)의 세계를 넘나들며 선경세계로 귀의하는 장소정체성은 물론 조선후기 명소적 연계경관으로서의 지명도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비워둠의 미학이 절묘하게 드러난 함허정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등 노거수 수림경관, 구암조대와 용암, 첩석(疊石) 등 바위경관, 군촌마을 문화경관 등이 지근경(至近景)으로 펼쳐지고, 중경요소로 순자강 평호(平湖)와 마산봉, 고리봉 등이 산악경관으로 조망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고리봉 마산봉 무등산 설산 등이 개방성 강한 $180^{\circ}$ 조망범위로 펼쳐진다. 특히 군지촌정사의 사랑채인 망서재(望瑞齋)의 당호는 "서석산(瑞石山)을 전망하는 집"이라는 뜻을 갖는데, 조산인 무등산과 설산을 앙경(仰景)하는 등 다채로운 차경(읍경(揖景), 환경(環景), 원근(遠近), 앙부경관(仰俯景觀))에 대한 조망지향적 의도가 중층적(中層的) 경관짜임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넷째, 실존[주거(住居) 강학처(講學處)]과 이상향[누정(樓亭) 재실(齋室)]이 접합된 군지촌 정주환경의 살림집[제월당], 강학처[군지촌정사], 누정[함허정], 재실[구암사, 청송심씨 4현 배향] 및 묘역 등은 '생성-풍요-초월-회귀'로 이어지는 사대부들의 생애주기와 관련한 의미론적 연계경관으로 인식된다. 특히 함허정 관련 시문은 순자강 일대의 가경 예찬과 유유자적한 삶에 대한 호혜적 자연관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주지할 때, 함허정은 자연귀의와 안분지족의 요체이자 거점처이며, 수심양성(修心養性)하는 은일지소로서의 현학성이 형이상학적 의미경관으로 표출된다.

고려 왕실의 연례 문화와 청자 주기(酒器)의 상징적 의미: 왕권과 주기(酒器) (Sovereignty and Wine Vessels: The Feast Culture of the Goryeo Court and the Symbolic Meaning of Celadon Wine Vessels)

  • 김윤정
    • 미술자료
    • /
    • 제104권
    • /
    • pp.40-69
    • /
    • 2023
  • 본고는 조형적으로 일반 그릇과 차별화되는 청자 주기의 형태에 주목하여 왕실 연례 문화와의 관계를 조명하고 조형적 상징성과 시기별 조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에서 확인되는 국왕의 재위별, 연례의 유형별 설행 횟수와 설행 목적을 통해서 청자 주기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왕실 연례는 군신(君臣) 간의 위계질서를 확립하고 유대감을 구축하는 왕권 강화의 수단이자 왕의 업적과 성덕을 찬양하여 국왕의 권위와 능력을 보여 주는 통치 행위이기도 하였다. 왕실 연례의 설행 횟수는 실제 왕권 강화를 시도했던 예종대(1105~1122), 의종대(1146~1170), 충렬왕대(1274~1308), 공민왕대(1351~1374)에 늘어나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왕실 연례의 설행이 급증하고 연례 문화가 바뀌는 예종대와 충렬왕대를 기점으로 청자 주기의 기종 및 조형이 변화하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연례에서 국왕과 신하는 다양한 음주 행위를 통해서 국왕의 장수를 기원하거나 태평한 시절을 찬미하였기 때문에 술을 담고 따르는 주기의 조형은 시각적 상징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연례에서 음주 방법은 국왕이 신하에게 또는 신하가 국왕에게 직접 술을 따르기 때문에 주자와 잔의 조형은 참석자들에게 시각적으로 큰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12세기에 신선, 난(鸞), 귀룡, 어룡, 호로병 등의 도교적 소재나 황촉규와 같은 유교적 소재가 청자 주자와 잔으로 조형화되는 현상은 국왕에 대한 송축(頌祝)과 충성, 불로장생을 기원하는 연례의 목적이 시각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연례에서 부르는 헌선도(獻仙桃)나 환궁악(還宮樂)의 내용이 청자 주기의 조형과 일치하는 점이 주목되었다. 연례에서 사용하는 당악(唐樂)의 가사는 국왕의 불로(不老), 난로(難老), 장생(長生)을 기원하고 왕업의 번창과 태평성대의 모습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가사 내용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인물형 주자>나 시카고미술관 소장 <청자 승난인물형 주자> 등의 조형에 반영되었다. 주기의 조형에 연례 문화의 일면이 시각화된 사례는 고려청자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주기의 조합은 연례의 분위기나 술의 종류에 따라서 시기별로 변화를 보인다. 고려가 몽골제국으로 편입된 이후에 새로운 술이 유입되고 연례 문화가 변화하면서 주기의 용도와 조합에 큰 변화가 있었다. 충렬왕대부터 원 황실의 영향으로 왕과 공주가 함께 연례를 개최하거나 몽고식 연회인 보르차연[孛兒扎宴]이 열리고 몽고 여인들이 쓰는 고고관(姑姑冠)을 쓰고 연회를 여는 변화를 볼 수 있다. 충렬왕대에 연례 문화가 변하기도 하지만 설행 횟수가 132회로 급증하는 것은 원 황실 공주와의 혼인으로 인한 왕권 강화의 측면도 있다. 급증한 연례에서 이전에는 없었던 포도주, 동락(湩酪), 소주 등의 새로운 술과 함께 고족배(高足杯), 옥호춘병, 이(匜), 용두잔 등 신기종의 청자 주기가 등장하였다. 새롭게 나타난 청자 주기는 모두 원 황실이나 몽골제국의 일원인 칸국에서 사용된 금속기 등을 모본으로 하여 제작된 것이다. 고려 후기에 청자 주기의 변화는 기존 연구보다 시야를 확대하여 유라시아 일대에 위치했던 칸국들의 잔치 모습이나 주기와 비교하여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전에 없었던 고족배, 이, 용두잔, 옥호춘병 등 새로운 형태의 주기가 유입되었고 이러한 흐름에 맞춰서 청자 주기의 조합과 용도도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새로운 양식의 청자 주기는 공간적, 지리적으로 연결될 것 같지 않은 고려와 몽골제국의 칸국을 연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본고는 청자 주기와 왕실 연례 문화와의 관련성을 조명하였지만 이는 고려청자의 용례를 연구하는 시작에 불과할 뿐이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관점에서 청자의 사용처와 사용례를 밝히는 연구가 더 많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