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n over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57초

ADAMS/Insight를 이용한 1톤 상용트럭의 동역학 해석 및 최적화 (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1ton Commercial Truck Using ADAMS/Insight)

  • 전형호;탁태오
    • 산업기술연구
    • /
    • 제23권A호
    • /
    • pp.15-20
    • /
    • 2003
  • Stochastic simulation technique has advantages over deterministic simulation in various engineering analysis, since stochastic simulation can take into consideration of scattering of various design variables, which is inherent characteristics of physical world. In this work, Monte-Carlo simulation mothod in ADAMS/Insight for steady-state cornering and J-turn behavior of a truck with design variables like hard points and busing stiffnesses have performed to achieve better dynamic performance. The main purpose is to improve understeer gradient at steady-state cornering and minimize peak lateral acceleration and peak yaw rate at J-turn.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design variables that have high impacts on the cornering behavior were selected, and significant performance improvement has been achiev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high impact design variables.

  • PDF

디지털 영상자료를 통한 2018 아시안게임 기계체조 마루운동에 대한 연기내용 분석 (Trend Analysis of Men's Gymnastics on Floor Exercise in the 2018 Asian Games through Digital Video Materials)

  • 한윤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19-62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2018 아시안게임 남자 기계체조 마루운동 결승에 진출한 8명의 최우수 체조선수들을 대상으로 연기내용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공인된 디지털 영상자료를 수집하여 마루운동 국제심판인 감독관 1명과 난도심판 2명이 교차 확인하는 연구 설계를 적용하였다. 난도점수를 충족하기 위해 뒤 공중 요소그룹들을 가장 많이 실시하였고 앞 공중 1/1턴, 뒤 공중 5/2턴, 그리고 뒤 공중 3/1턴 동작을 8명의 모든 선수들이 연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점수분포에서 평균 D점수는 6.0, E점수는 7.9, 그리고 연결가점은 0.25점으로 나타났다. 우수한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D점수는 최소 6.0점 이상, E점수는 8.5 이상, 그리고 연결가점은 0.3 이상의 연기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방향은 난도분석 뿐만 아니라 실시점수에 따른 감점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인장력 측정용 턴버클의 실험 및 해석 (Test and Analysis of a Turn-buckle for Tensile Force Measurement)

  • 이수헌;신경재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83-192
    • /
    • 2009
  • 서스펜션 구조시스템에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인장재 사이에 삽입되어 인장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턴버클이다. 하지만 기존의 상용화되어있는 턴버클은 인장재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장력 측정이 가능한 측정용 턴버클을 개발하고자 여러 연구를 진행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언급된 국부적인 항복을 방지하고, 항복하중의 최대화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시험적인 단계를 넘어 실용화 단계의 새로운 측정용 턴버클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해석을 바탕으로 제시된 해석모델로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 ABAQUS 해석을 수행하고 제작된 실험체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론적 해석, ABAQUS 해석, 실험의 결과는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 환자에서의 위볼기동맥천공지뒤집기피판을 이용한 허리엉치 부위 연부조직 결손의 치료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Coverage for Lumboscaral Soft Tissue Defect in Ambulatory Patient)

  • 문석호;김동석;오득영;이중호;이종원;서제원;안상태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712-716
    • /
    • 2010
  • Purpose: Extensive lumbosacral defects after removal of spinal tumors have a high risk of wound healing problems. Therefore it is an effective reconstructive strategy to provide preemptive soft tissue coverage at the time of initial spinal surgery, especially when there is an instrument exposure.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of a lumbosacral defect, a variation of the gluteal flap is the first-line choice. However, the musculocutaneous flap or muscle flap that is conventionally used, has many disadvantages. It damages gluteus muscle and causes functional disturbance in ambulation, has a short pedicle which limits areas of coverage, and can damage perforators, limiting further surgery that is usually necessary in spinal tumor patient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he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that reconstructs complex lumbosacral defects successfully, especially one that has instrument exposure, without damaging the ambulatory function of the patient. Methods: A 67 year old man presented with sacral sarcoma. Sacralectomy with L5 corpectomy was performed and resulted in a $15{\times}8\;cm$ sized complex soft tissue defect in the lumbosacral area. There was no defect in the skin. Sacral stabilization with alloplastic fibular bone graft and reconstruction plate was done and the instruments were exposed through the wound. A $18{\times}8\;cm$ sized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flap was designed based on the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and deepithelized. It was turned over 180 degrees into the lumbosacral dead space. Soft tissue from both sides of the wound was approximated over the flap and this provided in double padding over the instrument. Results: No complications such as hematoma, flap necrosis, or infection occurred. Until three months after the resection, functional disturbances in walking were not observed.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shows the flap volume was well maintained over the instrument. Conclusion: This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turn-over flap,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superior gluteal artery perforator flap, is a simple method that enabled the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a lumbosacral defect with instrument exposure without affecting ambulatory function.

턴키사업과 CM의 역할 (A Study on the Role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Turn-Key Projects)

  • 김경남;김종훈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223-232
    • /
    • 2002
  • 정부에서는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한 이후 후속적인 제도보완과 함께 시범사업을 선정하는 등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턴키사업에서 CM방식 적용의 경우 설계와 시공이 단일 책임 하에 이루어지는 계약의 특성상 CM 역할의 일부가 제한되고 현행 $\lceil$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rfloor$에 턴키사업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적용상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턴키사업은 그간의 적용을 통해 다양한 문제가 도출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lceil$건설사업관리업무지침$\rfloor$은 미국CMAA의 CM서비스를 비교하여 그 내용이 포괄적이고 CM의 선계이전단계업무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턴키사업에서 CM의 역할을 공사착공 이전까지를 연구범위로 '입찰준비단계', '입찰단계', '실시설계단계', '계약단계'로 구분하여 CM 업무를 규정하고, 제도상의 보완책을 제시하였으며 턴키사업의 CM 역할은 정서적 역할과 전문적 역할로 구분하여 그 내용을 고찰하여 CM적용을 통해 현행 턴키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보안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전철용 IGBT 모듈 설계연구 (Traction IGBT Modules Design Issues and Precautions)

  • 데버랜전고팔;노영환;김윤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3-1859
    • /
    • 2008
  • IGBT modules are designed for low loss, rugged for all environments and user friendly. Low on state saturation voltage with high switching speed is the primary concerns. In this paper selection of IGBT, module ratings and characteristics are discussed. The IGBT design topic of protection against over voltage and over current are covered. Emphasis on turn off switching, short circuit switching and necessary precautions are dealt. Selection of IGBT device, gate drive power, and its lay out considerations are covered in detail.

  • PDF

넓은 온도 범위에서 고정 구동전류로 동작하는 1.25 Gbps 850 nm 산화형 VCSEL 송신기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 1.25 Gbps 850 nm Oxide VCSEL Transmitter Operating at Fixed Current over a Wide Temperature Range)

  • 김태기;김태용;김상배;김성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4권12호
    • /
    • pp.43-53
    • /
    • 2007
  • 넓은 온도 범위에서 고정된 구동 전류로 동작하는 VCSEL(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 송신기의 저전류 동작 특성을 살펴보았다. 사용된 VCSEL은 산화형 850 nm 레이서로, $d^2I_{th}/dT^2$값이 약 $1.346\times10^{-4}mA/^{\circ}C^2$으로 문턱전류의 온도의 존성이 비교적 낮은 것이었으며, 데이터 속도는 1.25 Gbps였다. 칩 상태에서의 광출력-전류-전압을 측정하여 $20^{\circ}C$에서의 광출력이 1 mW가 되는 전류를 on 전류로 설정한 후 $-20^{\circ}C$에서 $8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20^{\circ}C$ 간격으로 온도를 바꾸어가며 off 전류의 변화에 따른 turn-on 특성, turn-off 특성 그리고 eye-diagram을 관찰하였고 온도와 off 전류에 따라 eye-diagram에서 rise time, fall time, extinction ratio, timing jitter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소 문턱전류보다 약 $0.1\sim0.2mA$ 정도 낮게 off 전류를 설정하면 $-20^{\circ}C$에서 $8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off 전류와 on 전류를 변화시키지 않고 1.25 Gbps에서 송신기로 동작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옥정호의 연직 수온분포에 관한 시변화 모델 연구 (A Time Variable Modeling Study of Vertical Temperature Profiles in the Okjung Lake)

  • 박옥란;박석순
    • 생태와환경
    • /
    • 제35권2호통권98호
    • /
    • pp.79-91
    • /
    • 2002
  • 섬진강 상류에 위치한 옥정호의 연직 수온 분포 계절 변화에 대한 시변화 모델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공병단에서 개발한 CE-QUAL-W2모델 구조에 기초하여 호수를 3개의 지류, 50개의 상하류 구획 그리고 49개의 수층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년동안의 연직 수온 및 유속 분 포를 시뮬레이션하였다. 호수내 5개 지점에서 매월 측정된 연직 수온 분포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하고 검증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한 연중 수위 자료 변화를 관측된 자료와 비교하여 호수내 물수지를 확인하였다. 모델 예측값은 실측값과 적절한 일치를 보였으나 7월 관측 자료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여름 장마동안 급격한 수리 현상 변화를 모델이 표현할 수없는 점과 이 기간동안 사용된 기온자료의 정확성이 부족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모델 결과는 옥정호대부분 수역에서 연중 $4^{\circ}C$ 이상을 유지하여 계절에 따른 전도현상이 없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상류 얕은 수역 (수심 20미터 이내)에서는 수온이 $4^{\circ}C$ 이하로 떨어지며 겨울에 물이 얼어 흔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옥정호는 빈혼합 호수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결론은 위도 $20^{\circ}C$ 부터 $40^{\circ}C$ 사이에 위치한 호수는 일회혼합이라는 일반적 경향과는 크게 다르다. 시뮬레이션한 유속 분포를 검토한 결과 여름 장마기간동안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은 수온에 의한 밀도 차이로 인하여 호수 중층으로 유입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노인의 대화기능과 작업기억력 및 이름대기 능력 간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Skills, Working Memory and Naming Ability in Aging Adults)

  • 문지윤;손은남;이옥분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103-121
    • /
    • 2018
  •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기억력의 감퇴, 단어인출력 저하에 따른 건망증, 청력 저하 등의 보편적인 이유들로 기능적인 의사소통능력에 제한을 겪게 된다. 이 연구는 언어장애가 없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대화기능을 알아보고, 연령증가에 따른 대화기능과 작업기억력 및 이름대기 능력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만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 8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화 샘플링은 대상자들과 친숙한 주제의 일상적인 대화 상황에서 수집되었다. 대화차례 주고받기의 분석요소로써 대화차례 총 빈도, 개시율, 유지율, 중첩율, 중단율이 포함된다. 작업기억력 평가를 위해 숫자외우기, 암산, 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이름대기 능력 평가를 위해 한국판 보스턴이름대기 검사(K-BN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대화기능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남성 집단에서 연령별 대화차례 주고받기를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대화기능 중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총 발화빈도가 세 개의 연령대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세 이상 집단 제외). 둘째, 대화기능 중에서 대화차례 유지비율을 이름대기 검사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정상노인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기술이 노화가 진행되더라도 비교적 손상을 적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