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n over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34초

단면회전방법을 적용한 강합성 소수주거더 개발 및 실험적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eel Composite Girder by Turn Over Process)

  • 김성재;이나현;김성배;김장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A호
    • /
    • pp.407-415
    • /
    • 2010
  • 현재 국내에서 설계되고 있는 40~70 m 지간의 강도로교 90% 이상이 박스거더교 형식이며 박스거더교는 휨 강성과 비틀림 강성이 뛰어나 장경간이나 곡선을 갖는 교량 형식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가설현장에서의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현장 안전관리 면에서도 유리한 구조형식이다. 그러나 박스거더는 상하 플랜지와 복부판이 수직, 수평보강재로 보강되는 구조로 부재량과 용접량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교량 형식으로 많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상대적으로 부부재를 줄일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인 플레이트거더교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레이트거더교의 한 형식인 소수주거더교는 강합성교량의 합리화를 위해 많이 채용되는 형식으로, 주거더 간격을 종래의 3 m 정도에서 2배 정도인 6 m 이상으로 증가하여 주거더의 개수를 최소화시키는 경제적인 교량형식이다. 또한, 거더 단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거더의 복부판에 부착되는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를 최대한 생략할 수 있다. 2주거더교는 소수주거더교의 대표적인 형식으로, 유효폭 10 m 전후의 교량에 적합하여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에서는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개발되어왔다. 국내에서는 소수주거더교 적용시 안전율 확보를 위해 유럽이나 일본 등에 비해 많은 강재량을 사용하고 있으며, 설계자들의 친밀도 부족과 박스거더교에 비해 복잡한 설계 등과 같은 여러가지 실무적용 차원에서 적용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합리화 강교량 형식인 소수주거더교의 제작방법을 개선하고 구속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강교량에서 공사비와 직결되는 강중을 줄일 수 있는 신형식 강합성거더(Turn Over Composite Girder) 구조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실물 크기인 20 m 단면회전방법을 적용한 강합성 거더시험체 및 교량시험체를 제작하여 제작성을 평가하고 구조성능 실험을 하여 구조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유턴 흐름을 갖는 차량공조용 플레이트형 증발기의 전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in plate type evaporator with U-turn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 강정길;김종수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472-483
    • /
    • 1999
  • The evaporati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for HFC-l34a in flat plate type heat exchangers with enhanced beads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ree plate type evaporators with different geometric condition of U-turn area were tested. Mass fluxes were tested over the range of 83kg/$m^2$s to 166kg/$m^2$s, and heat fluxes were varied from 4㎾/$m^2$ to 12㎾/$m^2$. Evaporation temperature was 5$^{\circ}C$ with inlet qualities of 0.1 to 1.0. There was no notable difference i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by geometric variation of U-turn area, but the third plate with cross-ribbed channel at U-turn area was better than others in the evaluation using volume goodness factor comparison. Also, the mixtures of HFC-l34a and PAG oil was tested to determine oil effects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As oi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heat transfer coefficient was increased by 22~48% up to the 3wt.%, but decreased by 14~22% at the 4wt.%. The pressure drop was increased by the maximum of 100% as oil concentration was increased.

  • PDF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의 비교를 통한 헤밍 공정에서의 턴다운 및 롤인 결함 예측 (Prediction of Turn-down and Roll-in in Hemming Process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FEA and Experiment)

  • 정헌철;임재규;김형종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105
    • /
    • 2005
  • Hemming process, composed of flanging, pre-hemming and main hemming, is the last one of a series of forming processes conducted on the automotive panels,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outward appearance of them. The hem quality can be quantitatively defined by the hemming defects including turn-down, warp and roll-in. Howeve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and predict the hem quality through the experimental measurement or the numerical calculation since the size of defects is very small. This study is focused on how to simulate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same conditions as in the experiment. The FEA result on turn-down, that was obtained from a finite element model including the spring element linked to the flanging pad, had a good correlation with the experimental data. It was found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lange deeply affects the final hem quality and therefore high rigidity of forming tools and tight assembling tolerance are highly recommended. An over-stroke of the main hemming punch is also proposed to reduce the turn-down.

  • PDF

단거리 순환버스 도입을 위한 통행패턴 기반의 우선순위 결정방법 (A Prioritization Method Considering Trip Patterns to Introduce Short-turn Buses)

  • 문세동;김동규;조신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18
    • /
    • 2019
  • 기존 노선의 일부 구간을 운행하는 버스를 '단거리순환버스(short-turn bus)'라 하는데, 단거리순환버스 관련 연구는 버스 네트워크보다 단일 노선에 대해 최적 회차지점을 결정하였으며, 대중교통의 편의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차내혼잡을 고려하지 않은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버스 네트워크의 노선별 및 구간별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우선순위를 차내 혼잡을 반영하여 결정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교통카드 데이터 기반으로 단거리 순환버스 노선과 중복되는 기존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재차인원을 산정하고,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전후의 버스 네트워크 전체에서의 차내혼잡 감소 편익을 산정하였다. 또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으로 인한 운영자 및 사회적 비용을 산정하여 단거리순환버스를 도입할 노선 및 그 노선 내에서의 운행 구간을 변화시켜 반복적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 노선 내에서 단거리순환버스 도입의 비용/편익 비(B/C)가 가장 큰 구간을 그 노선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구간으로 채택하였다. B/C 값을 기반으로 버스 노선들의 단거리순환버스 도입 우선순위를 결정하였으며, 여러 노선에 도입할 경우의 최적 대수를 산정하였다.

3지교차로에서의 연속좌회전(TPCLT)신호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PCLT(Twice Per Cycle Left-Turn) Operation Impact at Three-legged Signalized Intersection)

  • 오지영;김기철;이철기;오인섭;조남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0-58
    • /
    • 2017
  • TPCLT는 한 신호주기 내에 좌회전을 두 번 주는 신호운영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TPCLT 신호를 시범운영 중인 교차로를 분석대상으로 VISSIM 교통모의분석 프로그램과 SSAM 모형 분석을 통해 그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교차로에 TPCLT 적용 전 후, 주기를 변화시킨 경우를 교통모의분석 하였으며, 9개의 좌회전교통량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효과척도로 선정한 차량 당 평균 제어지체시간과 통행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지체시간 측면에서 현황~+50% 좌회전교통량 시나리오 구간에서 TPCLT 적용한 경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변압기를 이용한 외장형 HID 램프용 공진형 이그니터 (External Resonant Ignitior for HID Lamps by Using the Transformer)

  • 이우철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11호
    • /
    • pp.9-16
    • /
    • 2014
  • The electronic ballast for HID lamps needs high ignition voltage which is consisted of high voltage pulse ignitor. However, In the case of street lamp it is far from a lamp to a ballast, the conventional pulsed high voltage ignitor can not turn on the HID lamps because of reduction of ignition voltage. Therefore, it needs to do the research on a resonant ignition to turn on the HID lamps. However, the resonant circuit which is consisted of LC occurs over current, so the capacity of the ignitor increases. The capacity of the ignitor can be reduced by using the transformer. In this case, the capacitor for resonance is installed to the secondary of the transformer, and the capacitor needs high withstanding voltage. Therefore, it needs to do the research on a resonant ignition to reduce the voltage over the resonant capacitor by dividing the secondary of the transformer.

리프팅 러그의 구조 강도 평가 (The Structural Strength Assesment of Lifting Lug)

  • 허남학;이주성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1권1호
    • /
    • pp.42-50
    • /
    • 2014
  • Lifting lugs are frequently used in shipyard to transportate and turn over blocks. As the shipbuilding technology develops, blocks has become bigger and bigger, and block management technology takes a more important role in shipbuilding to enhance the productivity. For the sake of economic as well as safe design of lug structure, more rigorous analysis is need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wo type of lug, that is, D and T type lugs, non-linear strength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compare the ultimat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wo types of lug varying in-plane and out-of-plane loading directions. Based on the present numerical analysis results, it can be drawn that T type lug is superior to D type lug from view points of ultimate strength and deformation.

인장력 측정용 턴버클의 극한강도 및 설계방법 (Ultimate Strength and Design Method of Turn-buckle for Measuring Tensile Force)

  • 이수헌;신경재;이희두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61-70
    • /
    • 2013
  • 인장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인장재 사이에서 한쪽은 왼나사, 다른 쪽은 오른나사로 구성되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치가 턴버클이다. 인장재의 종류 및 연결 형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턴버클은 장력을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장력조절의 기능과 함께 장력측정도 가능한 측정용 턴버클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 개발된 측정용 턴버클의 비선형해석을 통한 극한강도와 측정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기 개발된 100kN, 200kN, 300kN급 측정한계하중을 가지는 턴버클의 극한강도를 살펴보면, 측정한계하중의 5배 이상의 극한강도를 나타내었다. 추가로 300kN 이상의 고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턴버클 개발을 위하여 검토한 결과 턴버클의 경사부가 휨과 인장에 저항하기 때문에 크기가 거대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300kN급 턴버클을 병렬연결하여 설치를 하면 600kN까지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는 발상에서 병렬연결장치를 구상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가능성을 실험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적인 인장구조물을 설치하여 개발된 턴버클이 외기에 노출되었을 시에 초기 하중의 변화 및 부식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금이 도우핑된 P-I-N 다이오드의 전기적 및 광학적 스위칭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Gold-Doped P-I-N Diodes)

  • 민남기;하동식;이성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47-1549
    • /
    • 1996
  • The electrical and optical switching characteristics of gold-doped silicon p-i-n diod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device shows a dark switching voltage of about 500 V. The switching voltage decreases rapidly when the illumination level is increased. The differential sensitivity of optical gating over linear region is $d(V_{Th}/V_{Tho})/dP_{Ph}$=0.25/uW. The turn-on delay time and the turn-on rise time decrease with increasing optical pulse power. The turn-off delay and the fall time are neglig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