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nnel establishment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3초

인공산성우에 대한 조경수목의 내성 비교 (A Study on Resistant Comparisons of Landscape Trees by Simulated Acid Rain)

  • 정용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08-218
    • /
    • 1991
  • To compare the resistance of landscape trees by acid rain, simulated acid rain was treated on the seeds of 6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edrus deodara, Thuja occidentalis) and 6 broad-leafed species (Ligustrum obtusifolium, Acer Buergerianum, Acer Ginnala, Styrax obassia, Cornus Kousa, Magnolia obovata). The experimental design of randomized block arrangement with three replications was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field of Yesan National Agri-Tech Junior College. The seeds of 12 tree species were planted on the nursery soil in the early spring of 1991. The regime of artificial acid rain, in terms of spray frequency per monthly and spray amount at year records. Simulated acid rain (pH 2.0, pH 4.0, pH 5.6 as control) containing sulfuric and nitric acid in the ratio of 3:2 (chemical equivalant basis) diluted ground water, were treated on the experimental plants under condition of cutting off the natural precipitation with vinyl tunnel, during the growing season (April 8 to August 31) in 1991. Seedling establishment, seedling growth and nutrient contents in needles and leav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among the treatment.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In general, coniferous species were more resistant than broad-leafed species in the resistant comparisons of landscape trees by simulated acid rain. But there wer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among the broad-leafed species. 2. Among 6 coniferous species used in this experiment,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Taxus cuspidata, Cedrus deodara and Pinus thunbergii revealed th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But Thuja occidentalis was very susceptible to acid rain, because of no germination in pH 2.0 treatment plot of acid rain. 3. Among 6 broad-leafed species used in this study, Magnolia obovata, Styrax obassia and Ligustrum obtusifolium showed relative resistant tree species to acid rain. But Acer Buergerianum, Acer Ginnala and Cornus Kousa were very susceptible to acid rain, because of no germination in pH 2.0 plot of acid rain treatment.

  • PDF

수도 기계이앙 육묘에 관한 연구 II보. 간역출아방법 및 육묘상내 온도가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 (Rice Seedling Establishment for Machine Transplanting II. Effects of Sprouting and Seed Bed Temperature on the Seedling Characteristics)

  • 이종훈;윤용대;최현옥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36
    • /
    • 1977
  • 조생통일을 공시하여 파종후 3~4시간 태양열을 조사시켜 간역출아시키는 방법에 관한 시험 및 육묘상내의 온도를 달리하여 묘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1977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실 및 답작포장에서 검토한 결과 1. 간역출아방법은 간역출아기간중의 상토온도가 3$0^{\circ}C$부터 2$0^{\circ}C$까지의 범위로 유지된 창고 및 옥외 비닐+거적피복한 처리에서 출아가 균일하였다. 2. 간역출아기간중에 주간 47$^{\circ}C$, 야간 12$^{\circ}C$로 온도교차가 큰 옥외 비닐만 피복처리한 구에서는 출아상태가 불량하였다. 3. 인공기상실내에시 실시한 육묘상내온도는 육묘기에서 32$^{\circ}C$로 출아시킨후 연화기에 주간 $25^{\circ}C$, 야간 2$0^{\circ}C$, 경화기는 주간 2$0^{\circ}C$, 야간 15$^{\circ}C$ 온도처리에서 묘가 강건하였고 묘소질이 양호하였다. 4. 연화기부터 경화기까지 주간 3$0^{\circ}C$, 야간 15$^{\circ}C$의 고온처리구에서는 묘령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과번무상태가 되여 묘소질이 불량하였다. 5. 포장시험에서 실시한 육묘상보온방식에 따른 상내온도는 이중비닐턴넬시와 이중비닐턴넬후 야간거적피복처리구가 관행 비닐턴넬시에 비하여 최저온도가 3~5$^{\circ}C$높았으며 묘소질도 양호하였다.

  • PDF

낙석의 위험성 경감을 위한 사면의 외적조건 특성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Rock Slope for Reducing Rockfall Risk)

  • 지현우;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15-27
    • /
    • 2010
  • 국토의 약 70%가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상 각종 건설공사에 따른 대절토 사면의 형성으로 인해 낙석의 위험성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해마다 반복되는 집중호우 시의 사면 붕괴는 대규모 낙석을 동반하면서 막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현장조사연구 및 기초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낙석이 발생할 경우의 보강 및 낙석 위험도 분석 등에 국한되고 있어, 근본적인 낙석의 거동에 관한 검토 및 분석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적 기법을 이용하여 사면의 외적 요소에 따른 낙석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개별요소법의 하나인 PFC2D가 이용되었다. 사면의 외적 요소로 사면의 표면상태, 구배, 소단 개수, 소단 구배 및 낙석의 크기에 대한 소단의 너비의 비 등이 검토되었으며, 이들 요소에 대한 다양한 변화를 통해 낙석의 거동 메커니즘이 수치해석적으로 분석되었다.

도심지 대심도 터널 및 수직구 구간 지반안정성 평가를 위한 굴착영향범위 설정 사례 (A Cas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Excavation Impact Range for Evaluating the Ground Stability of Deep Tunnels and Vertical Shaft Sections in Urban Areas)

  • 이서현;우상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8호
    • /
    • pp.67-74
    • /
    • 2022
  • 지반굴착시 지반안정성 검토를 위한 대상지역의 설정은 이론식 및 경험식 추정방법과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이론식 및 경험적 추정 방법은 Peck(1969)의 곡선방법, Caspe(1966)의 방법 및 Clough 등(1990)의 방법이 있다. 수치해석에 의한 방법은 과업구간의 현황(지반조건이 가장 취약한 구간, 최대 굴착심도 구간, 주요 인접 구조물 위치 구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취약한 단면에 대해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이론식 및 경험식, 수치해석을 통해서 000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의 수직구 구간 및 터널 구간 굴착시 영향범위를 설정한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고위력 폭약의 석회암 내 장약공 폭발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Ground Vibration Caused by Blast Hole Explosion of High Explosives in Limestone)

  • 김경규;신찬휘;김한림;양주석;배상호;윤경재;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41권4호
    • /
    • pp.17-28
    • /
    • 2023
  • 최근 연구시설 및 자원개발 등의 목적으로 지하공간 활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저심도 암반을 넘어 고심도 암반에 대한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고심도 지하공간 개발은 높은 응력과 높은 온도 조건에서의 암반의 안정성을 고려해야 한다. 고심도의 경우 암반 구조와 불연속면의 상태 등이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진 및 굴착을 위한 암반발파에 의한 지반진동 전파가 지하공동의 응력변화를 발생시켜 암반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발파공학 측면에서 지반진동을 예측하는 방법은 실측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회귀분석을 통한 경험적 회귀모형과 수치해석적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공 발파에 의한 폭발압력 전파특성과 지반진동 전파특성에 대한 경험적 회귀모형을 획득하기 위하여 실험적 방법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노천채굴적 내 광미 적치 시나리오 구축 및 천반 수평필러 안정성 분석 (Establishment of Tailing Disposal Scenario in Open-Pit and Surface Pillar Stability Analysis)

  • 강일석;송재준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4권1호
    • /
    • pp.54-70
    • /
    • 2024
  • 생산이 완료된 노천광산 채굴적을 광미(광물찌꺼기) 적치 장소로 활용하는 방안은 기존 광미 적치 시설(TSF, Tailing storage facility)의 설치 공간 및 운영비용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다. 하지만 장기간에 걸쳐 적치된 광미는 주변 암반에 추가적인 하중으로 작용하여 광산의 역학적 안정성을 저해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주 Marymia 광산의 사례를 참고하여 약 60,400 시간에 걸친 광미 적치 시나리오를 구축하였으며, 다양한 지하 채광장 형태 및 암반 조건에 따른 천반 수평필러의 역학적 안정성을 Sigma/W 해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광미 적치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천반 수평필러의 파괴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는 노천채굴적 내 광미 적치 시 광산 구조에 대한 역학적 안정성 고려가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파시르탄광의 사면안전을 위한 발파지침 수립 연구 (Establishment of a Safe Blasting Guideline for Pit Slopes in Pasir Coal Mine)

  • 최병희;류창하;선우춘;정용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6호
    • /
    • pp.418-426
    • /
    • 2008
  • 인도네시아 파시르탄광에서 적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발파방법은 지표면을 유일한 자유면으로 하는 일자유면 노천발파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일자유면 발파방법은 자유면이 하나뿐이므로 구속이 커서 큰 지반진동을 일으키게 된다. 큰 지반진동은 다시 채광장의 경계를 이루는 사면의 안정성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발파로 인한 지반진동으로부터 파시르탄광의 채광장 사면과 폐석장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발파지침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먼저, 파시르탄광에서 발파로 발생될 수 있는 지반진동 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식을 유도하였다. 다음으로, 채광장 사면과 폐석장의 폐석더미를 관리하기 위한 지반진동 허용수준을 PPV 측정치로 각각 120mm/s 및 60mm/s로 설정하였다. 도출된 예측식과 설정된 허용수준으로부터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발파를 위한 환산거리 조건식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환산거리 조건식은 채광장 사면과 폐석더미에 대해 각각 $D_s{geq}5$$D_s{geq}10$이다. 또한, 환산거리 조건식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천공장 $3.3{sim}8.8m$에 대하여 몇 가지 표준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지상시험장비를 통한 우주발사체 고공환경모사 기법 연구 (High-Altitude Environment Simulation of Space Launch Vehicle in a Ground-Test Facility)

  • 이성민;오범석;김영준;박기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914-921
    • /
    • 2017
  • 우주발사체 고공환경모사의 실험적 연구는 우주발사체 발사 및 임무완수에 대한 독자적 기술력 확보를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형발사체(Korean Space Launch Vehicle; KSLV-II)의 발사 후 마하수 6을 돌파하는 고도 65 km 조건을 선정하였다. 지상시험장비중 하나인 충격파 터널을 이용하여 고공환경모사를 수행하였다. 유동발달 이후 공기열역학적 특성과 수직 및 경사충격파 확인을 위해 선두부 모델의 정체 압력과 정체 열 유량, 그리고 반구형상 모델의 충격파 이탈거리 측정을 통해 유동검증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발사체 측면과 저부면 현상연구에 사용되는 시험모델의 자유류 회복을 위한 충격파 상쇄 기법을 개발 및 검증하였다. 세 가지 유동검증 결과를 통해 이론값과 약 ${\pm}3%$ 이내의 오차를 갖는 정확한 유동이 발달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충격파 상쇄기법을 갖는 천이구간 축소 모델의 경사충격파 경사각과 수평 평판모델의 경사각, 그리고 모델 측면 정압력의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가 각각 2%, 그리고 1% 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충격파 상쇄 기법의 합리적인 효과가 검증되었다.

도심지 공사시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 (Technological Development Trends for Underground Safety in Urban Construction)

  • 백용;김우석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7권6호
    • /
    • pp.343-350
    • /
    • 2017
  • 최근 도심지 지상공간의 포화로 전세계적으로 지하공간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상 및 지하구조물에 인접하여 굴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굴착공사 중 시공 부주의나 시공기술 미흡, 지하수 유출, 급격한 지층의 변화, 토류 시스템 구성품의 문제 등으로 인해 각종 지반함몰 사고가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이를 대응하기 위하여 도심지 지하 시설물에 대한 예방중심의 선제적 재난 재해 관리 및 신속 복구 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굴착공사 시 지반 내부적인 변화 요소(지하수위 변화, 지하매설물 손상 등)와 외부적인 변화요소(차량하중, 지진, 지반굴착 등)를 고려한 지하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동향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지반거동 해석 및 지반함몰 평가기술과 지반함몰 예방을 위한 안전한 굴착 및 보강기술, 지반함몰 발생시 긴급복구 기술의 개선 및 국내 자립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도심지 굴착공사시 지반함몰 예방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부분도 있으나 크게 분류하여 예측/평가기술, 복합탐사기술, 차수보강기술, 긴급복구기술, 굴착기술의 5개 분야로 설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