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mbler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3초

마른새우첨가 쌀 collet을 이용한 스낵 제조 시 코팅공정 독립변수의 조건변화에 따른 종속변수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s due to the Condition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Coating Process During the Producing of Snack Using Rice Collet Added with Dried Shrimp)

  • 제해수;윤문주;이재동;강경훈;정희범;박시영;박진효;김정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822-1831
    • /
    • 2015
  • 마른새우가 첨가된 쌀 collet을 이용하여 편이 스낵을 제조하기 위하여 식용유코팅 독립변수 및 혼합조미분말코팅 독립변수 각각 4개(사용량, tumbler 온도, tumbler 속도, 코팅시간)의 조건변화에 의한 각각 2개의 종속변수(코팅수율, 파손율)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용유코팅 시, 식용유 사용량을 10-30%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증가하다가 사용량 20% 이상일 때는 거의 비슷한 값이었으며, 파손율은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umbler 온도를 $40-80^{\circ}C$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다가 $60^{\circ}C$부터는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으며, 파손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Tumbler 속도를 60-100 rpm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속도가 빨라질수록 증가하다가 80 rpm을 기점으로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파손율은 80 rpm 까지는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90 rpm 부터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코팅시간을 2-6분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collet을 식용유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다가 5분 이상이 되면 다시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4분까지는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5분 이상이 되면 급격히 증가하였다. 혼합조미분말코팅 시, 혼합조미분말 사용량을 2-6%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증가하다가 사용량 5%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사용량이 증가할 때 미미하게 증가하다가 사용량 4%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 Tumbler 온도를 $40-80^{\circ}C$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60^{\circ}C$까지는 증가하였으나 $60^{\circ}C$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Tumbler 속도를 50-90 rpm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다가 70 rpm을 기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속도의 증가에 따라 미미하게 높아지다가 70 rpm 부터는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코팅시간을 2-6분으로 조건을 변화하여 식용유코팅 된 collet을 혼합조미분말코팅 할 경우, 코팅수율은 3분까지는 증가하다가 4분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파손율은 코팅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이고 급격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식용유코팅은 tumbler 온도 $60^{\circ}C$ tumbler 속도 80 rpm 코팅시간 4분 식용유 사용량 20%, 혼합조미분말코팅은 tumbler 온도 $50^{\circ}C$ tumbler 속도 70 rpm 코팅시간 3분 혼합조미분말 사용량 3%로 각각 설정하여 스낵을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Chicken Breast as Influenced by the Methods of Mechanical Processing

  • Kim, Hack-Youn;Kim, Kon-Joong;Lee, Jong-Wan;Kim, Gye-Woong;Choe, Ju-Hui;Kim, Hyun-Wook;Yoon, Yoha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1-107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marination process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prepared with chicken feet gelatin and wheat fiber. The chicken feet gelatin was swollen with hydrochloric solution (0.1 N HCl, pH $1.31{\pm}0.02$) and dehydrated by freeze-drying. The composition (w/w) of the marinade was water (10%), soy sauce (12%), phosphate (0.3%), wheat fiber (1.5%), and chicken feet gelatin (1.5%). Three samples of chicken breast were manufactured with Tumbler (only tumbler), Tenderizer (tenderizer and tumbler), and Injector (injector and tumbler). The water content of the Injector samp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umbler and Tenderizer samples (p<0.05). During heating, the lightness of all chicken breasts increased and the redness decreased. The tumbling and cooking yield of the Injector sampl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Tumbler and Tenderizer samples (p<0.05). The shear force of the Tenderizer sampl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Tumbler and Injector samples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color, were observed in the sensory analysis of the samples. Thus, the proper selection of mechanical processing is important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rinated chicken breast, considering the types of final products.

정상체중과 과체중 여대생을 대상으로 컵의 형태에 따른 인지량의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 in Volume Perception according to Cup Shape in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Female College Students)

  • 이명옥;장은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63-69
    • /
    • 2014
  • The volume perception of water according to cup shape was examined in female college students divided into a normal weight group (<23 body mass index, n=51) and an overweight group (${\geq}$23 body mass index, n=48). The perceived water volume was recorded by participants after they observed the water volume in cups with different shape (highball and tumbler) and with different base height (high base and low base), which contained the same amount of water (150 ml). The normal weight group perceived a water volume of 238.5 ml (highball) and 201.6 ml (tumbler) for the high base cups. The overweight group perceived a volume of 245.6 ml (highball) and 188.8 ml (tumbler). For the low base cups, the normal weight group perceived a water volume of 207.8 ml (highball) and 104.1 ml (tumbler). The overweight group perceived a volume of 202.2 ml (highball) and 100.4 ml (tumbler). Both the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liquid in the highball cups compared to the tumbler cups. In addition, both groups perceived significantly more liquid in the high base cups compared to the low base c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stimated variance of perceived volume between the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s according to the cup shape and cup base height. In conclusion, cup shape and base height potentially affects volume perception. Therefore, modifying cup shape may be used in a weight control program to help control caloric beverage consumption.

커피 전문점 텀블러 공유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method of tumbler sharing service for improve the issue of disposable cup)

  • 박가영;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265-270
    • /
    • 2020
  •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한 가지인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국내 커피 전문점에서 사용하는 일회용 컵 사용은 매장 수와 다양한 브랜드 커피 전문점이 늘어남에 따라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카페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텀블러 사용을 권장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자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차로 FGI(표적집단면접법) 실험을 통해 텀블러 사용의 문제점과 개인의 견해를 조사하였다. 2차로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사 서비스를 사례조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경우 유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텀블러 공유에 초점을 두고 있어 카페를 이용 시 제공되는 편의성이 다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커피 매장과 사용자를 위한 텀블러 공유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여 편의성 제공과 자발적 환경보호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금속분말의 회전 볼밀링에 있어서 볼 충진율에 따른 볼 거동의 2차원 모델 시뮬레이션 (Two-Dimensional Model Simulation of Balls Motion in a Tumbler-Ball Milling of Metal Powder in Relation with Its Ball Filling Ratio)

  • 이길근;김성규;김우열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89-196
    • /
    • 2000
  • Effect of ball filling ratio on the behavior of balls motion and their collision characteristic in a tumbler-ball milling of metal powder are investigated by a computer simulation. The discrete element method and the extended Kelvin model composed of nonlinear spring and nonlinear dashpot were employed in the simulation. It can be possible that analysis of the individual balls motion in a three-dimensional actual mill by the two-dimensional model simulation, since the simulated trajectories of ball paths are in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ones. It knows that the balls motion in the tumbler-ball mill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urface conditions of the balls and mill container wall.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individual balls during impact and the impact frequency of the individual ball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ball filling ratio and showed maximum values at about 50-60% ball filling ratio, and then decreased.

  • PDF

통기드럼형 의류용 건조기의 성능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tumbler type laundry dryer)

  • 장용수;이상원;김수연;정평석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187-192
    • /
    • 2000
  • The textile which is rotated in the tumbler dryer is dried by the heated air. the energy consumption for drying textile depends on various paramet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ave the energy and the drying time. One of the various methods for energy saving is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We set the drying equipment for this study and perform the experimental study with the changes of the recirculation rate, the input power, and the air mass flow rate. We found the optimal drying conditions.

  • PDF

고객의 텀블러활용 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 고객감정의 매개역할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Tumbler Experience and Social Legitimacy: The Mediation Effect of Customer Emotion)

  • 윤한성;조상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15-124
    • /
    • 2021
  • 본 연구는 고객의 텀블러활용 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에 대한 고객감정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텀블러를 활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모형분석법을 활용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고객경험과 사회적 정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Hoyle and Smith이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경험은 고객감정과 사회적 정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감정은 사회적 정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의 텀블러 활용경험, 고객감정, 사회적 정당성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제안하고, 사회적 정당성에 대하여 고객경험과 고객감정이 선행요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스마트 텀블러 (Smart Tumbler)

  • 우영운;유용찬;배민석;김경민;김미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81-18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흔히 사용되는 텀블러에 사물인터넷을 접목시켜 좀 더 스마트한 텀블러를 제작하였다. 이 스마트 텀블러는 블루투스를 연동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하루 물 수분섭취, 권장량 설정, 남은 물의 양, 마신물의 양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인바디를 통해 그 사람의 하루 물 권장량을 설정하여 그 권장량만큼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였고, 텀블러의 뚜껑을 닫을 때 마다 초음파 센서로 값을 계산하여 어플리케이션에 값이 나오도록 정보를 새롭게 갱신한다.

  • PDF